지은이 : 카츠마타 쿄
<밀교, 마음의 부처 찾아가는 가장 빠른 길>
머리말 _14
│ 제1부 │ 밀교의 개요
제1 밀교란 무엇인가 _19
1. 밀교·진언종의 의미 _19
⑴ 밀교-불교의 한 유파 _19
⑵ 인도에서 유파의 명칭 _21
⑶ 쿠카이空海 대사의 용어 _24
⑷ 진언종 _25
2. 밀교의 분류 _27
⑴ 지역별로 본 밀교의 분류 _27
⑵ 인도 밀교의 분류 _29
⑶ 중국·일본에서의 분류 방법 _30
⑷ 티베트불교에서의 분류 방법 _31
제2 밀교 경전의 성립과 특색 _36
1. 밀교의 원류 - 인도 고대의 베다종교 _36
2. 불교에서의 밀교의 발전 과정 _39
⑴ 초기불교 _39
⑵ 부파불교에서 대승불교·밀교로 _40
⑶ 밀교 경전의 성립 과정 _41
3. 밀교 경전의 분류 _45
⑴ 태장법부胎藏法部 _45
⑵ 금강정부金剛頂部 _45
⑶ 제경부諸經部 _46
⑷ 보살부菩薩部 _46
⑸ 명왕부明王部 _47
⑹ 천부天部 _48
4. 밀교 경전의 특색 _49
⑴ 경전과 의궤 _49
⑵ 밀교 경전은 다라니장陀羅尼藏 _50
⑶ 밀교 경전에 설해진 밀교적인 것 _51
⑷ 신앙의 대상 -보문과 일문 _53
⑸ 관법과 기원 _54
제3 중국 밀교의 성립 _57
1. 밀교 경전의 번역 - 삼국시대에서 초당 시대까지 _57
2. 중국 밀교의 성립 - 中唐 이후 _59
⑴ 선무외善無畏(637-735) _59
⑵ 금강지金剛智(671-741) _60
⑶ 일행一行(683-727) _61
⑷ 불공不空(705-774) _62
⑸ 혜과慧果(745-805) _63
제4 나라奈良 시대의 밀교 _65
⑴ 밀교 경전의 전래 _65
⑵ 밀교가 보급된 형태 _66
제5 공해空海 대사의 입당구법과 진언종 _68
1. 젊은 날의 수행 _68
2. 입당구법入唐求法 _71
3. 새로운 밀교 - 진언종의 개종 _76
⑴ 고웅산사高雄山寺시대 _76
⑵ 고야산의 개창 _77
⑶ 동사東寺의 경영 _79
⑷ 사회적 활동 _80
⑸ 문예방면의 활동 _81
│ 제2부 │ 진언밀교의 사상
제1 밀교 사상의 조직화 _87
제2 밀교 사상의 교판 _90
1. 진언밀교의 교판 _90
2. 현밀이교의 교판 _92
⑴ 능설能說의 불신佛身 _93
⑵ 소설所說의 교법 _94
⑶ 수행의 방법 _96
⑷ 성불의 빠르고 더딤 _96
⑸ 교익敎益의 우열 _99
제3 십주심十住心의 사상 _101
1. 십주심 사상의 구성 _101
⑴ 열 가지의 주심住心 _101
① 이생저양주심異生?羊住心 _104
② 우동지재주심愚童持齋住心 _105
③ 영동무외주심?童無畏住心 _106
④ 유온무아주심唯蘊無我住心 _107
⑤ 발업인종주심拔業因種住心 _107
⑥ 타연대승주심他緣大乘住心 _108
⑦ 각심불생주심覺心不生住心 _109
⑧ 일도무위주심一道無爲住心 _109
⑨ 극무자성주심極無自性住心 _110
⑩ 비밀장엄주심秘密莊嚴住心 _111
⑵ 구현일밀九顯一密과 구현십밀九顯十密 _112
2. 십주심사상의 특징 _114
⑴ 인간 마음의 여러 가지 모습 _114
⑵ 비교 사상론적 고찰 _115
⑶ 마음의 만다라 _116
제4 밀교의 불타관 _117
1. 총설 _119
⑴ 석가모니불에서 제불·제보살로 _119
⑵ 통일적인 불타관의 성립 _121
2. 본존 - 구제적인 신앙의 대상 _126
3. 대일여래와 4불四佛 _128
4. 불신관佛身觀 _131
⑴ 1신설에서 2신설로 _131
⑵ 2신설에서 3신설로 _132
⑶ 밀교의 불신관 - 4신설四身說 _133
5. 신앙의 대상 _136
⑴ 여래부[佛部] _136
⑵ 불정부佛頂部 _138
⑶ 불안부佛眼部 _138
⑷ 금강부金剛部 _139
⑸ 보살부 _140
⑹ 명왕부明王部 _141
⑺ 천부天部 _142
6. 팔조八祖 _144
⑴ 부법의 팔조 _144
⑵ 전지傳持의 8조 _145
7. 만다라 _147
⑴ 만다라의 성립과 의미 _147
⑵ 양부兩部 만다라 _148
1 ) 태장계만다라 _152
① 중대팔엽원中臺八葉院 _153
② 변지원遍知院 _154
③ 지명원持明院 _155
④ 관음원觀音院 _156
⑤ 금강수원金剛手院 _157
⑥ 석가원釋迦院 _158
⑦ 문수원文殊院 _158
⑧ 제개장원除蓋障院 _159
⑨ 지장원地藏院 _159
⑩ 허공장원虛空藏院 _160
⑪ 소실지원蘇悉地院 _161
⑫ 외금강부원外金剛部院 _161
2) 금강계만다라 _166
① 갈마회?磨會 _166
② 삼마야회三摩耶會 _169
③ 미세회微細會 _170
④ 공양회供養會 _171
⑤ 사인회四印會 _172
⑥ 일인회一印會 _172
⑦ 이취회理趣會 _173
⑧ 항삼세갈마회降三世?磨會 _174
⑨ 항삼세삼마야회降三世三摩耶會 _175
3) 사종만다라四種曼茶羅 _177
⑴ 대만다라大曼茶羅 _177
⑵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茶羅 _177
⑶ 법만다라法曼茶羅 _178
⑷ 갈마만다라?磨曼茶羅 _179
⑸ 만다라의 확대해석 _179
4) 마음의 만다라 _181
5) 별존만다라別尊曼茶羅 _184
제5 진언밀교의 인간관 _186
1. 홍법 대사의 구법의 중심과제 _187
2. 미오적 존재로서의 인간 _190
3. 마음의 본성 탐구 _192
4. 심성본정心性本淨의 사상 _194
5. 깨달음이란 ? 비밀장엄심·마음의 만다라 _198
6. 범성불이凡聖不二 _200
7. 자심불사상自心佛思想 _202
제6 즉신성불의 길 -진실한 삶의 길 _207
1. 귀의삼보 _208
2. 발보리심 _210
3. 보리심계를 지킴 - 삼매야계 _212
⑴ 보리심계[삼매야계]의 의미 _212
⑵ 보리심계를 갖추는 방법 _213
⑶ 보리심계를 지키는 의미 _215
4. 보리심의 내용 _216
⑴ 신심信心 _216
⑵ 승의심勝義心 _216
⑶ 행원심行願心 _217
⑷ 대보리심大菩提心 _217
5. 정보리심淨菩提心을 관하는 방법 _219
⑴ 월륜관月輪觀 _219
⑵ 아자관阿字觀 _221
6. 사중금계四重禁戒 _225
⑴ 대승의 가르침을 비방해서는 안 된다. _225
⑵ 보리심을 버려서는 안 된다. _226
⑶ 교법을 아껴서는 안 된다. _226
⑷ 사람들을 괴롭게 해서는 안 된다. _227
7. 십선계十善戒를 지킨다. _228
8. 보리심계와 종래의 계와의 관계 _232
9. 사은四恩 - 네 가지 은혜를 알고[知恩] 보답한다[報恩] _234
10. 사섭四攝의 이타행 _238
⑴ 보시布施 _238
⑵ 애어愛語 _239
⑶ 이행利行 _240
⑷ 동사同事 _241
제7 즉신성불 사상 -원리와 실천 _244
1. 즉신성불 사상의 원류 _244
2. 『즉신성불의』의 성립 _246
3. 육대무애六大無碍 _249
⑴ 육대 _249
⑵ 육대체대六大體大·육대능생六大能生 _250
⑶ 육대무애六大無? _251
⑷ 육대연기 _252
4. 사만각불리四曼各不離 _253
⑴ 사종만다라 _253
⑵ 만다라적인 세계관 _254
⑶ 사만각불리 _255
5. 삼밀가지 _256
⑴ 삼밀 _256
⑵ 삼밀가지성불三密加持成佛 _256
6. 즉신卽身의 의미 _260
7. 체·상·용의 삼대三大 _261
8. 일체지지·오지·실각지 _262
9. 세 가지 즉신성불卽身成佛 _264
⑴ 이구성불 _264
⑵ 가지성불 _265
⑶ 현득성불 _267
제8 밀교의 특성 _269
1. 신비성[深秘性] _269
2. 상징성 _272
3. 주술성 _274
4. 사상事相과 교상敎相 _275
5. 양재초복과 즉신성불 _278
⑴ 양재초복 _278
⑵ 속질성불·즉신성불 _279
│ 부록 │
티베트불교에서의 밀교 _289
역자후기 _374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