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엘런 데이비스가 35년간 신학대학원에서 축적한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구약 입문서다. 저자는 그리스도인과 유대인 모두를 위해 이 책을 집필했으며, 유대인 독자를 배려해 구약성서를 ‘이스라엘의 성서’ 또는 ‘히브리 성서’라고 부르고 있다. 저자의 평생에 걸친 강의와 연구가 집대성된 이 책은, 구약성서 각 권에 대한 면밀한 읽기와 함께 정경적·신학적·문학적·역사적 접근법을 흥미롭게 조명한다.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42편의 구약학 에세이는 포괄적이면서 상세하고, 학문적이면서 예술적이며,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매력적인 통찰로 가득하다.저자는 역사적-비평적 관점에서 구약성서를 예리하게 분석하면서도, 본문을 하나의 통일체로 다시 읽고 그 안에서 풍부한 신학적 함의와 교회를 위한 깨우침, 목회적 울림을 이끌어 낸다. 또한 기독교와 유대교 전통의 고전적 자료와 최신 연구 성과를 통합시켜 현대 성서 주석의 모범을 제시한다. 책 전반에서 저자는 현대 독자의 경험과 관심사에 주목하고, 많은 예시를 통해 성서 해석이 잠정적이고 열려 있는 작업이며, 과거와 현재, 여러 세대와 문화 사이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장구한 협업임을 보여준다.
출판사 리뷰
탁월한 여성 신학자 엘런 데이비스의 듀크 대학교 구약 명강의
“이 책은 신학적 통찰로 가득한 구약 입문서이자,
다시 읽고 소중히 간직할 수작(秀作)이다!”
―김회권·김영봉·류호준·송민원·월터 브루그만·스탠리 하우어워스·플레밍 러틀리지 추천
이 책은 엘런 데이비스가 35년간 신학대학원에서 축적한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구약 입문서다. 저자는 그리스도인과 유대인 모두를 위해 이 책을 집필했으며, 유대인 독자를 배려해 구약성서를 ‘이스라엘의 성서’ 또는 ‘히브리 성서’라고 부르고 있다. 저자의 평생에 걸친 강의와 연구가 집대성된 이 책은, 구약성서 각 권에 대한 면밀한 읽기와 함께 정경적·신학적·문학적·역사적 접근법을 흥미롭게 조명한다.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42편의 구약학 에세이는 포괄적이면서 상세하고, 학문적이면서 예술적이며,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매력적인 통찰로 가득하다.
저자는 역사적-비평적 관점에서 구약성서를 예리하게 분석하면서도, 본문을 하나의 통일체로 다시 읽고 그 안에서 풍부한 신학적 함의와 교회를 위한 깨우침, 목회적 울림을 이끌어 낸다. 또한 기독교와 유대교 전통의 고전적 자료와 최신 연구 성과를 통합시켜 현대 성서 주석의 모범을 제시한다. 책 전반에서 저자는 현대 독자의 경험과 관심사에 주목하고, 많은 예시를 통해 성서 해석이 잠정적이고 열려 있는 작업이며, 과거와 현재, 여러 세대와 문화 사이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장구한 협업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저자의 구약성서 연구는 신학교와 교회, 학문과 현장, 기독교와 유대교 사이의 막힌 담을 허물고, 성서의 새롭고 광대한 세계 안으로 독자를 인도한다. 깊은 학문성과 섬세한 목회적 감성이 어우러진 이 책은, 비평적 관점을 넘어선 통전적이고 실천적인 성서 해석학에 관심 있는 목회자 및 신학생은 물론, 구약성서를 온전히 이해하기 원하는 모든 독자에게 귀한 선물이 될 것이다.
특징
- 탁월한 구약학자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신학자 엘런 데이비스의 대표작
- 35년에 걸친 저자의 듀크 대학교 강의와 연구, 목회가 이 한 권 안에 집약되어 있다.
- 구약성서에 대한 예리하고 비판적인 분석과 함께 통전적이고 실천적인 해석을 맛볼 수 있다.
대상 독자
- 구약성서를 포괄적이면서도 상세하게 이해하고 싶은 이들
- 다양한 방법으로 구약성서에 접근하고 싶은 이들
- 구약성서를 신학의 자료이자 삶의 근거로 삼고 싶은 이들
이 책의 목적은 오늘날 신학적 주석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나는 이 책을 유대인과 그리스도인 모두를 위해 집필했으며, 설교 강단에서 주석을 수행하는 이들을 포함해 학문적 배경이나 회중적 배경에서 가르치고 공부하는 이들을 염두에 두었다. 이 책은 실천신학적인 작업이다. 즉 이 책은 성서 자체가 인간의 상황과 성향에 대해 실제적이고 정직하기를 멈추지 않으며, 하나님 체험이 어떻게 우리 존재를 정의하고 그 모습을 결정짓는지 흔들림 없이 주목한다는 나의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히브리 성서의 거의 모든 책에 대한 면밀한 읽기를 보여주며, 각 책의 중요한 구절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이 책의 접근법은 성서에 대한 나의 또 다른 이해를 반영한다. 나는 성서 각 책이 정경에 고유한 기여를 하며, 성서의 다른 부분의 관점을 가져오고, 보완하고, 도전한다고 이해한다. 더 나아가 성서 정경이 그것을 권위 있게(내가 속한 성공회 전통에서는 이 용어를 명확히 정의하지 않는다) 여기는 이들에게 안내서로서 지니는 가치는, 대체로 개별 책들에(심지어 하나의 책 안에도) 나타나는 다양하고도 때로 상이한 관점들에 있다.
_서문
창세기를 속도를 내어 읽기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속도를 늦추게 하는 요소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창세기에는 수수께끼 같은 문구, 계속 읽어 나가며 염두에 두어야만 할 낯선 개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학적 패턴과 신학적 역학, 우리 머릿속에 무의식적으로 가지고 있는 주일학교식 그림과 전혀 다른 하나님 묘사, 또 성서 전체에서 가장 풍부한 인물 연구가 다수 등장한다. 따라서 이 책을 읽을 때는 여유를 가지고 천천히 읽어야 한다.
_ 창세기 - “우리의 형상을 따라”
출애굽기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는 이스라엘 백성이 어떻게 야훼를 그들의 하나님으로 ‘알게’(인식과 포용이라는 심층적 의미에서) 되는 가이다. 그 일차적 주제는 두 가지 다른 주제로 확대된다. 첫째, 이스라엘이 민족으로 형성되고 “모든 민족 중에서” 선택한 야훼의 특별한 “소유”로서 좌충우돌하며 자라는 과정, 그리고 둘째로 야훼를 알려고 하지 않는 파라오의 지속적인 거부다.
_ 출애굽기 – 이집트 탈출
작가 소개
지은이 : 엘렌 데이비스
탁월한 구약학자. 듀크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성경 및 실천 신학과 석좌교수이며, 최근 2015년과 2016년에 걸쳐 학장으로 섬겼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비교문학을 전공했고, 버클리 소재 신학교인 Church Divinity School of the Pacific(CDSP)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M.Div.)를 받았으며,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구약학으로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그리고 이후 유니온신학교,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 버지니아신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듀크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정착했다. 엘런 데이비스는 구약학 교수로서, 히브리어 번역에 뛰어나다. 밀도 있는 학문적 지식과 생생한 히브리어 번역은, 영적으로 참여하며 구약 성경을 읽는 방법을 친절하고 깊이 있게 가르쳐 준다. 구약의 역사서와 시가서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저자는 하나님과 풍성한 관계를 맺고, 그 관계 안에 머무를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Scripture, Culture, and Agriculture: An Agrarian Reading of the Bible과 Proverbs, Ecclesiastes, and the Song of Songs 외에 다수의 저서가 있다.
목차
감사의 말
서론_공평하게 다루기: 실제적이고 비평적인 성서 해석
01 창세기
“우리의 형상을 따라”
보완과 단절
복과 함께 시작된 여정
02 출애굽기
이집트 탈출
하나님의 백성됨
03 레위기
거룩함을 구현하다
야훼와의 하나됨 그리고 땅
04 민수기
복의 표지, 죄가 부른 재앙
느리게 폭력 읽기
05 신명기
사랑과 경외를 배움
토라와 약속의 땅에서의 삶
06 여호수아
비정복 내러티브
거대한 혼란: 주전 13세기 가나안
07 사사기
지도력과 불만
08 룻기
취약한 보호자
09 사무엘상하와 열왕기상
통일 왕국: (거의) 실패한 소망
선택받은 자들의 비극: 사울의 왕권
다윗을 어떻게 볼 것인가
지혜, 능력, 예배: 솔로몬의 통치
예언적 말씀의 통치
10 소예언서
주전 8세기의 즉흥시 발표회: 예언자들의 공연
번영에 제기된 의문
정의와 친밀함
대적을 미워함
11 이사야
왕을 보라
확장되는 비전
12 예레미야와 예레미야애가
슬픔을 아는 이
하나님께 진실을 말하다
재앙과 사랑시
13 에스겔
세상 끝을 예언하다
14 시편
실재와 찬양
탄식의 지혜
15 잠언과 전도서
평범한 사람들의 시
16 욥기와 아가
하나님과의 친밀함: 고뇌와 환희
하나님과의 갈등 배우기
친밀함의 환희
17 에스더와 다니엘
이방인의 세계와 유대적 상상력
대량 학살과 해학
역사의 풀무에서 살아남기
18 에스라-느헤미야와 역대상하
정체성 협상
두 번째 정착
다시 읽는 이야기
주
용어 해설
인명·지명·성구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