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리틀 히포크라테스’ 시리즈.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의학은 질병에 시달리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의학은 크게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초의학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연구하고, 임상의학은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학은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그만큼 보람이 크고 매력적이기도 하다.
최근 들어 의사가 되려는 어린이들이 늘면서 의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리틀 히포크라테스’ 시리즈는 어린이들이 인체와 생명의 소중함을 생각하고 의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의학의 각 분야를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우리를 살아 숨 쉬게 하는 호흡》은 호흡계의 역할을 살펴보는 책이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평생 호흡하고 살지만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잘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호흡은 우리가 살아 있게 해 주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다. 호흡으로 들어온 공기 속의 산소는 몸속의 세포가 에너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입에서 폐까지, 호흡의 과정과 원리를 설명하면서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춘 의학지식과 의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책이다. 들숨과 날숨, 폐와 혈액순환 등에 대해 기초적인 지식을 익힐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리뷰
‘리틀 히포크라테스’ 시리즈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의학은 질병에 시달리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의학은 크게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초의학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연구하고, 임상의학은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학은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그만큼 보람이 크고 매력적이기도 하다.
최근 들어 의사가 되려는 어린이들이 늘면서 의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리틀 히포크라테스’ 시리즈는 어린이들이 인체와 생명의 소중함을 생각하고 의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의학의 각 분야를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우리를 살아 숨 쉬게 하는 호흡!
《우리를 살아 숨 쉬게 하는 호흡》은 호흡계의 역할을 살펴보는 책이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평생 호흡하고 살지만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잘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호흡은 우리가 살아 있게 해 주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다. 호흡으로 들어온 공기 속의 산소는 몸속의 세포가 에너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입에서 폐까지, 호흡의 과정과 원리를 설명하면서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춘 의학지식과 의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책이다. 들숨과 날숨, 폐와 혈액순환 등에 대해 기초적인 지식을 익힐 수 있을 것이다.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호흡
우리가 숨을 쉬면 공기가 코를 통해 몸속으로 들어온다. 공기는 코를 거쳐 인두부와 후두부를 지나 기관으로 들어간다. 기간은 양쪽 두 개로 나누어진 폐를 거쳐 마지막에는 허파꽈리라고 부르는 폐포에 도착한다. 여기서 산소는 폐포 벽을 감싸고 있는 모세혈관 속의 혈액 속으로 들어가고, 혈액을 타고 온몸을 돌면서 몸속 세포에 전달된다. 이것이 들숨의 과정이다. 날숨은 세포가 사용하고 남은 찌꺼기인 이산화탄소가 혈액에 녹아 반대로 이동하는 과정이다.
처음 공기가 들어오는 입구인 코는 냄새를 맡는 것 외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들어오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는 보온 기능, 습도를 높여주는 가습기 기능, 그리고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필터 기능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코로 숨을 쉬는 것이 중요하다.
호흡이 일어나려면 폐가 늘어나고 줄어들어야 한다. 그래야 공기가 폐로 들어오고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폐 자체가 움직이는 것은 아니고 폐 주변의 근육이 수축이나 이완을 하면서 폐를 움직인다.
그렇다면 우리 몸에 폐가 두 개인 이유는 뭘까? 호흡이 생존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폐를 다쳐 숨을 쉬지 못하면 바로 사망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두 개의 폐를 갖도록 진화해 왔다. 불편하기는 하지만 한 개의 폐로도 생명은 유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고산병이 생기는 이유, 깊은 물 속이나 높은 산 위에서 호흡의 변화, 동물과 식물의 호흡 등, 흥미롭고 신기한 호흡 관련 내용이 가득하다.
<리틀 히포크라테스> 시리즈는 어린이들이 의학에 관심을 가지고 인체와 질병, 나아가 생명에 대해 생각해 보면서 의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도록 현직 의대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기획한 교양서입니다.
우리가 숨을 들이쉬면 ‘코’로 공기가 들어와서, 입안의 뒷부분인 ‘인두부’를 거쳐 성대가 있는 ‘후두부’로 간 다음, 목 앞쪽의 연골이 만져지는 ‘기관’으로 들어가게 돼. 후두부에서 공기는 기관으로 들어가고, 음식물은 식도로 들어가지.
만약 코가 막혀서 입으로 숨을 쉬게 된다면, 코의 이러한 세 가지 기능이 작동하지 못하게 돼. 그러면 호흡할 때 폐로 들어가는 공기는 건조해지고, 먼지도 함께 들어가게 되므로 염증도 잘 일어나고, 미생물에 의한 감염도 생길 수 있어. 그러니 반드시 코로 숨 쉬는 데 문제가 없도록 잘 관리해 주어야 해.
호흡에서 들숨이 일어나려면 폐가 팽창되어야 밖의 공기가 폐로 들어올 수 있고, 날숨이 일어나려면 폐가 수축되어야 폐 속 공기가 밖으로 배출될 수 있지. 그런데 폐는 풍선과 비슷한 공기주머니인 폐포들이 모여 있는 구조여서 스스로 팽창이나 수축할 수 없어. 대신 폐를 둘러싸고 있는 주위의 근육이 수축이나 이완하면서 폐를 움직이는 거야.
작가 소개
지은이 : 조영욱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인체생리학 교수로, 뇌신경과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경희대학교 의과학연구소장, 신문방송국장, 의과대학 학과장, 대학원 학과장을 거쳤고, 경희대학교 입학 관련 업무에 오래 진행하면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의학 분야 진로 특강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의사협회 학술이사이자 대한의사협회지 편집인으로 각종 의학 논문의 편집 활동도 수행했습니다. 쓴 책으로 《우리 몸을 돌고 도는 피》, 《처음 의학》 등이 있습니다.
목차
008 머리말 | 인체의 가장 중요한 기능, 호흡
012 묻고 답하고 | 호흡이 궁금해
1 호흡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018 호흡기계의 해부학적 구조
020 공기 흐름의 주요 통로인 기관
022 수축과 확장으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기관지
025 습기를 유지하고 이물질을 없애는 점액
027 코로 숨 쉬는 것이 중요한 이유
036 말하고 노래하는 원리
2 폐는 어떻게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까?
042 정상 호흡 횟수와 호흡량
044 폐의 팽창과 수축 과정
047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의 중요성
051 우리가 2개의 폐를 갖고 있는 이유
054 안정상태의 호흡량과 최대 호흡량
3 폐 속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060 기체 분자가 이동하는 방법
064 폐포에서 혈액으로, 혈액에서 폐포로
065 폐포를 둘러싸고 있는 폐모세혈관
4 산소는 어떻게 세포까지 운반될까?
074 산소가 운반되는 과정
075 산소 운반에 중요한 단백질인 혈색소
076 혈액에서 운반되는 산소의 양
079 운동할 때 혈액 속 산소량의 변화
5 이산화탄소는 어떻게 폐로 운반될까?
084 이산화탄소가 운반되는 과정
085 이산화탄소 운반에 중요한 탄산반응
086 혈색소에 직접 결합해서 운반되는 이산화탄소
6 운동할 때 호흡은 어떻게 조절될까?
094 호흡을 조절하는 뇌의 호흡중추
095 화학수용체의 역할
096 산소가 부족할 때 호흡이 늘어나는 과정
099 이산화탄소가 증가할 때 호흡이 늘어나는 과정
7 바닷속과 산에서의 호흡은 어떻게 달라질까?
106 잠수할 때 필요한 숨 참기와 과호흡
111 높은 산에서 발생하는 고산병
114 맺음말 | 정교하고 흥미로운 생명의 호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