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최태만
1962년 경북 청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미대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국대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84년 계간 「예술계」를 통해 등단한 이후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조소예술과 관련한 많은 글을 썼다. 1992년 제1회 조각평론상을 받았고, '제10회 월간미술대상' 전시기획 부문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 '2004부산비엔날레' 현대미술전 전시감독을 역임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서울산업대 조교수 등을 거쳐 현재 국민대 예술대학 미술학부에 재직 중이다.지은 책으로는 <소통으로서의 미술>, <한국조각의 오늘>, <미술과 도시>, <어둠 속에서 빛나는 청춘, 안창홍>, <미술과 혁명(1998 중앙일보 우수도서 100선,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미술과 사회적 상상력>, <한국현대조각사연구>, <다섯 빛깔 룽다와 흰색 까닥 - 미술평론가 최태만의 티베트 미술 순례기>, <한국 현대조각사 연구> 등이 있다.
지은이 : 고충환
미술평론가. 영남대학교 회화과와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9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했으며 성곡미술대상(2001)과 월간미술대상 학술 부문 장려상(2006)을 수상했다. ‘비평의 쟁점전’(포스코미술관), ‘조각의 허물 혹은 껍질전’(모란미술관), ‘드로잉조각, 공중누각전’(소마미술관)을 기획한 바 있으며, 저서로 <무서운 깊이와 아름다운 표면>(2006)이 있다.
지은이 : 김진엽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와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철학박사)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교육-철학연구소에서 수학했다. 「구상전具象展 미술평론상」을 수상하며 미술평론가로 활동을 시작했고, 모란미술관 학예연구원, 월간 《미술세계》 편집국장, 공주 국제미술제 기획위원을 거쳐 용인대학교 조형연구소 특별연구원, 경남도립미술관 학예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또한 아시아프 기획위원, 단원미술제 운영위원, 마을미술프로젝트 평가위원, 《미술평단》 주간을 역임했고, 단국대학교 중앙대학교 홍익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미술이론을 강의했다. 현재 한국미술평론가협회 총무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문예회관연합회 운영위원, 성남문화재단 전시기획부장으로 근무하면서 다양한 전시기획과 문화행사 등을 기획했다. 저서로는 《조각, 미술관, 문화》(공저, 다빈치, 2005), 《예술과 과학과 만나다》(공저, 이학사, 2007), 《열린 미학의 지평》(공저, 사문난적, 2008), 《한국현대미술가100인》(공저, 사문난적, 2009), 《오늘의 미술가를 말하다》(공저, 학고재, 2010), 《한국미술평론 60년》(공저, 참터미디어, 2012), 《손상기의 삶과 예술》(공저, 사문난적, 2013), 《공공미술, 마을이 미술이다》(공저, 도서출판 소동, 2014)가 있고, 역서로는 《미술과 물리의 만남》(국제출판사), 《회화의 기법》(국제출판사), 《아크릴기법》(국제출판사) 등 10여권이 있고, 논문으로는 「가다머의 실천지」, 「해석학과 예술작품의 해석」, 「20세기 한국현대조각의 전망」, 「미술작품해석의 다양한 전망으로서의 현대과학」 등 50여 편이 있다.
지은이 : 백기영
1969년 강원도 평창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1997년부터 2003년까지 독일에서 수학하였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생명의 땅 프로젝트'(진흥아트홀2004), '정원-이주 프로젝트'(조흥갤러리 2003) 및 졸업 전(뮌스터 쿤스트 아카데미 2002) 등이 있으며, 작업실 리포트(사비나 미술관 2004), 'negativ & positiv Power'(갤러리상2004) 외의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지은이 : 문혜진
미술평론가, 미술이론 및 시각문화 연구자KAIST에서 재료공학을,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미술이론을, 연세대학교에서 미디어문화연구를 전공했다. 현재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90년대 한국 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2015), <면세미술>(공역, 2021), <사진이론>(공역, 2016), <테마현대미술노트>(번역, 2011)이 있다. 제19회 월간미술대상(2023) 평론 부문, 제8회 사진비평상(2006) 평론 부문을 수상했다.
지은이 : 홍경한
여러 영역을 넘나드는 활동으로 주목받는 미술비평가, 칼럼니스트, 전시기획자다. 미술에 대한 애정과 해박한 지식에서 나오는 날카로운 비평은 미술계에 이정표가 되고 있다.2000년 월간 《미술세계》를 시작으로 《퍼블릭아트》, 《경향 아티클》에서 편집장을 지냈고, 아트 서바이벌프로그램 ‘ART STAR KOREA’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 부산비엔날레 집행위원, 서울시립미술관 기획전 ‘공허한 제국’ 예술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 ‘강원국제비엔날레 2018’ 예술총감독을 비롯해 대림문화재단 사외이사, 인천아트플랫폼, 박수근미술관 운영 및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그의 미술에 대한 가치관은 《주간경향》, 《YTN》, 《강원일보》, 《메트로》 등의 고정칼럼을 통해서도 접할 수 있다.artcritic.pe.krfacebook.com/pieta999
지은이 : 강은주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이화여자대학교에서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청주공예비엔날레 전시팀장, 경기문화재단 학예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원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이 : 강재현
사비나미술관 학예실장사비나미술관이 지향하는 기술, 과학, 건축, 문학, 한국전통 등 타분야와의 융복합 전시를 책임기획, 진행하고 있다. 강홍구, 안창홍, 홍순명 등의 작가연구를 맡고 있다. 한국박물관협회와 한국사립미술관협회 우수큐레이터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김성호
미술평론가, 성신여자대학교 초빙교수중앙대 서양화과 학사와 동대학원 문화예술학과 석사, 파리10대학 철학과 DEA, 파리1대학교 미학예술학과 박사를 졸업했다. 2016순천만국제자연환경미술제, 2018다카르비엔날레 한국특별전, 2020창원조각비엔날레, 2021강원국제트리엔날레, 제7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에서 총감독 및 예술감독으로 활동했다. 중앙대 겸임교수, 여주미술관 관장을 역임했다.
지은이 : 김수진
미술평론가성균관대학교 예술철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한국미술평론가협회 신인미술평론가상을 수상했고, 현재는 한국미술평론가협회 기획분과장, 청주미술관 운영위원, 성균관대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이 : 김윤섭
미술평론가, 아이프미술경영연구소 대표명지대 대학원 미술사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제6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예술감독 및 2021~2022 한강조각프로젝트 전시감독을 역임했다. 현재 예술나눔 공익재단 아이프칠드런 이사장, 숙명여대 겸임교수, 예술경영지원센터 이사,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 및 작품가격 평가위원, 서울시공공미술위원회 위원, 아이프미술경영연구소 대표 등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이 : 이경모
미술평론가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미술비평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월간 <미술세계> 편집장을 역임하였고 여러 대학 및 대학원에서 미술 이론을 강의하였다. 뉴욕주립대(빙햄턴)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한국미술평론가협회 미술평단 주간으로 활동하고 있다.
책을 내며 : K-조각의 힘, 미래를 응원합니다
자연과 생명체, 조화와 공존의 세계관 : 이길래
홍경한 미술평론가, 전시기획자
여성 서사 깃든 초월적 세계 : 이수경
강은주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
질문의 기술, 연민하는 조각 : 김승영
고충환 미술평론가
동물, 자연, 환경과 관계 맺는 인간 : 금중기
강재현 사비나미술관 학예실장
형상의 본질에서 찾는 새로운 조형성 : 이재효
이경모 미술평론가
패러디, 혼성, 변주의 조형 언어 : 성동훈
김성호 미술평론가, 성신여대 초빙교수
해체와 구축의 시각유희 : 박선기
최태만 미술평론가
시간의 경계 허무는 초월적 미감 : 신미경
김윤섭 미술평론가
최소한의 물질로 존재 근원에 접근 : 박승모
김진엽 미술평론가, 한국시각예술문화연구소 소장
기억을 수집하는 이미지 포획자 : 고명근
김수진 미술평론가
기계생명체로 기술문명을 성찰하다 : 최우람
문혜진 미술평론가
소멸과 생성의 기억을 발굴하는 고고학적 풍경 : 차기율
백기영 前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
K-조각의 미래를 위한 좌담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