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대학교재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 : 에듀테크 100% 활용하기 (특수교육편) 이미지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 : 에듀테크 100% 활용하기 (특수교육편)
박영스토리 | 부모님 | 2025.04.01
  • 판매가
  • 23,000원
  • S포인트
  • 230P (1%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403Kg | 288p
  • ISBN
  • 979117279061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인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을 지원하여 교사가 주도적으로 수업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디지털 전환의 소용돌이 속에서 교사들이 주도적으로 교육 혁신을 이끌어가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지원한다. 이에 책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개별 학습자의 요구에 맞춤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을 담고 있다.

  출판사 리뷰

머리말

우리는 디지털 대전환과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진보는 우리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학교교육은 교육의 내용, 교육의 방식, 학습의 접근성, 그리고 교육 평가의 내용과 방식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습니다.
이 책은 교사가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관점에서 기획되었습니다. 저자들은 처음 이 책을 기획할 때, 교사가 교육 혁신의 주체가 되어야 하며, 모든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따라 학습에 성공할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것만이 아니라, 교육의 성과를 위해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바로 ‘교사의 주도성’이 가장 중요한 교육 혁신의 요인이라는 것입니다.
이 책은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인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을 지원하여 교사가 주도적으로 수업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즉, 디지털 전환의 소용돌이 속에서 교사들이 주도적으로 교육 혁신을 이끌어가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이에 책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개별 학습자의 요구에 맞춤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을 담고 있습니다.
교육은 이론과 실제가 어우러질 때 지속적인 혁신이 가능하다고 믿고 있습니다. 숲을 보면서 나무 하나, 줄기 하나, 잎과 꽃에 이르기까지 전체를 담고자하는 큰 포부를 담아 전문성을 갖춘 2명의 교수와 7명의 교사가 저자로 참여하였습니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3개의 파트, 9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art 01의 Chapter 1은 정제영 교수가 집필하였습니다. 디지털 대전환과 인공지능시대의 도래에 따라 미래를 위한 학교의 혁신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부분적인 개선은 학교 시스템의 혁신을 가져오지 못한다는 역사의 교훈을 담아 전체적인 시스템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교사가 이끄는 맞춤형 교육, 즉 하이터치 하이테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Chapter 2는 이영선 교수님이 특수교육에서의 디지털 기술(AI)의 적용에 대해 집필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디지털 기술이 장애학생의 학습 접근성과 독립성을 지원하며, 개별화된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다룹니다. 학습 데이터 분석과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통해 반복적인 교사 업무를 줄이는 한편, 정서적 지원과 상호작용에 집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포용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접근성과 사용성을 고려한 설계를 통해 기술이 특수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확장하고, 장애학생의 학습 참여와 성취를 증진할 가능성을 논의하였습니다.
Chapter 3은 이대송 선생님이 디지털 기반 특수교육에 대해 집필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제6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2023-2027)’과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특수교육의 디지털 교육과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멀티미디어북과 실감형 콘텐츠 등 다양한 디지털 교수학습자료가 어떻게 특수교육에 적용되는지 소개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AI 디지털교과서 추진 배경과 디지털교과서와의 차이점, 핵심기능, 특수교육 AI 디지털교과서를 살펴본 후, 홍보영상, 웹 전시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AI 디지털교과서를 직접 살펴볼 수 있도록 설명하였습니다.
Part 02의 Chapter 1은 이수빈 선생님이 특수교육에서의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수업설계에 대해 집필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특수교육에서의 맞춤형 교육과정의 의미를 알아보고, 디지털 기술을 통해 특수교육 현장에서 학습의 다양성을 실천하는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디지털 특수교육 수업 설계의 3단계 로드맵을 따라 실제 수업 사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장을 통해 디지털 기술로 여는 특수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Chapter 2는 김소정 선생님이 AI 코스웨어의 기능과 맞춤형 교육에 대해 집필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특수교육 맥락에서 AI 코스웨어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개별화교육계획(IEP)의 지원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습니다. AI 코스웨어의 주요 기능인 학습자 데이터 분석과 진단평가 기능 등을 상세히 알아보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AI 코스웨어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하며, 특수학급 수학 수업의 적용 사례를 통해 실제적인 사례를 살펴볼 수 있도록 설명하였습니다.
Chapter 3은 이주은 선생님이 특수교육에서의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에 대해 집필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HTHT 교육이 기술적 도구(하이테크)와 정서적 지원(하이터치)을 결합하여, 장애 학생들에게 최적화된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해 개별화된 학습을 지원하고, 교사의 역할을 보완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 장에서는 특히 다양한 사례를 통해 HTHT 교육이 학습 몰입과 흥미를 높이고, 학생들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과정을 탐구합니다. 또한, 기술적 요소와 인간적 지원의 조화가 특수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실현하는 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논의하였습니다.
Chapter 4는 김초희 선생님이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합화에 대해 집필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교수적합화의 정의와 필요성, 기본 원리와 유형을 다루고 이를 바탕으로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합화 전략을 제시하였습니다. 교수 환경, 집단, 내용, 방법, 평가 등 교수적합화의 다양한 측면에서 AI 디지털교과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수학과 영어 과목 사례를 들어 서책형 교과서와 AI 디지털교과서를 과목 특성과 학습 내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하는 수업 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AI 디지털교과서가 통합학급에서 교수적합화를 지원하고 학생 개개인의 학습 요구를 충족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종합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Part 03의 Chapter 1은 안지훈 선생님이 특수교육과 포용기술(Inclusive Technology)의 만남을 통한 디지털 기반 특수교육의 미래에 대해 집필하였습니다. 이 장에서는 AI 디지털 도구가 장애학생들의 학습 잠재력을 발현시키는 포용기술로서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보편적 학습 설계(UDL)와 접근성의 원칙을 통해 모든 학습자를 위한 교육환경을 구축하는 방안을 탐색하였습니다. 특히 포용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UDL과 접근성,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에서의 기술 활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AI 디지털 도구의 실제적 적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미래 특수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종합적으로 논의하였습니다.
Chapter 2는 김진관 선생님이 미래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량에 대해 집필하였습니다. 개별 맞춤형 인공지능 활용 교육은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차원이 아님을 강조하며, AI디지털 도구 기반의 교육 혁신의 근원적 이유이자 궁극적 목표는 곧 수업의 혁신이므로 기술이 교육에 효과적으로 통합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교육 혁신의 핵심이자 주체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며, AI 디지털 도구의 성공적 적용을 위한 제언을 통해 디지털 교육 대전환의 시대, 교사가 이끄는 교실 혁명의 방향성을 제공합니다. AI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교육 혁신은 기술의 도입을 넘어, 교사의 역량 강화, 교육과정과의 연계, 그리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 학생의 깊이 있는 학습과 역량 함양에 특히 중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지금은 디지털 교육 대전환을 해야 할 골든 타임입니다. 그러나 교육부의 정책만으로교실의 변화를 이루어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실제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주체는 교사이기 때문입니다. 교사가 주체가 될 수 있는 방법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의 주도성이고, 정책은 이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스스로 혁신하는 교사가 늘어날 때 대한민국의 교실에 변화가 생기고, 조그만 변화가 모여 혁명적 변화로 확산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교육 혁신에서 이론과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의 수립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론만으로는 디테일이 부족하고,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수업의 디테일만 강조하면 큰 방향을 놓칠 우려가 있습니다. 이론에 기반한 정책과 현장의 노력이 결합될 때 우리가 바라는 교실 혁명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믿고 있습니다. 이 책이 교실혁명을 위한 작은 시작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이 책의 저자들은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을 함께 만들어가고자 하는 작은 소망으로 뜻을 모았습니다. 너무나 바쁘신 일정 중에도 열정적으로 함께 해주신 저자분들께 감사드리며, 언제나 한결같이 기획, 편집, 출판에 도움을 주신 박영스토리 대표님과 직원분들께 고마움을 전합니다. 디지털 교육 혁신을 소망하는 예비 교원과 현장 선생님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하지만 이 책은 완성형이 아니라 진행형입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환경과 기술에 맞추어 더욱 업그레이드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2025년 4월
저자를 대표하여 정 제 영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영선
University of Kansas, Special Education, Ph.D.한국특수교육학회 상임이사전)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SSK) 지원사업 등 포용적 디지털 환경 조성을 위한 다수의 연구 수행 중

지은이 : 정제영
서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부가 지정한 미래교육연구소장과 창의교육거점센터장을 맡고 있다. 제44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10여 년간 근무하여 사무관과 서기관으로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두루 경험한 바 있다. 교육정책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취학 기준일 변경 등 학제 개편 정책, 외고 등 특목고를 포함한 고교체제 개편 정책, 자기주도학습전형 도입 등을 담당하여 추진했다.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미래교육정책의 기획과 집행, 평가 과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학생 맞춤형 교육 시스템 개발 연구,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굴하고 개입하는 Early Warning System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챗GPT 교육혁명》,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4》, 《AI 교육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AI융합교육개론》,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뉴 이퀼리브리엄》,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정책론》, 《교육정치학 이론과 적용》, 《한국의 교사교육》, 《디지털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의 시대》 등이 있다.

지은이 : 김진관
대전둔천초등학교 교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소프트웨어교육과 석사2023 대한민국 정보교육상2021 신나는 SW · AI 교육 수기 공모전 최우수상AI티처스쿨 커뮤니티 대표교사T.O.U.C.H. 교사단 초등 대전 대표교사교육부 교육과정 - 수업 - 평가 현장지원단 초등 실과과교육부 교실혁명 선도교사(AIEDAP 마스터교원) 및 연수 강사2024 교육부 전국 단위 수업 평가 연구회 T.R.I.P.O.D. 회장2024 교실혁명 컨퍼런스 강의 노하우 나눔 강사2023~2024 유초중 1급 정교사 및 중등 교감 자격연수 강사2024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영상 나눔(교육부 유튜브 교육TV)2021~2022 대전교육정보원 대전AI교육지원체험센터 파견교사‘명탐정 준의 AI 파란 노트’ (공)대표저자대전광역시교육청 ‘교육자를 위한 생성 AI 툴 라이브러리’(2024 Ver) (공)저자‘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 AI 디지털교과서 100% 활용하기(초등편, 중등편)’ (공)저자

지은이 : 안지훈
서울교육대학교 인공지능융합 석사한국증거기반현장교육학회 이사교육부 특수교육 국정 AI 디지털교과서 전문가 자문단2021 장애학생 정보화 교육 발전 우수교원 교육감 표창

지은이 : 김소정
경인교육대학교 AI교육 석사 수료SeeD 특수교육디지털교육협회 부대표교육부 AIEDAP 마스터교원, T.O.U.C.H 교사단제1회, 2회 AI융합교육 수업지도안 공모전 교육부장관상

지은이 : 김초희
서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석사교육부 AI 디지털교과서 현장적합성 검토 지원단서울시교육청 AI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수학교육 선도교원서울특별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AI 디지털교과서 연수 강사

지은이 : 이대송
창원대학교 특수교육 박사 수료꿈키움 교사연구회 회장전) 대구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겸임교수Enjoy IT! 스파이크 에센셜 모두 다함께 놀자. 1,2권 공저

지은이 : 이수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학사SeeD 특수교육디지털교육협회 감사교육부 AIEDAP 마스터교원, 교실혁명 선도교사서울특별시교육청 디지털 교육혁신 핵심교원서울특별시교육청 강남서초 AI 에듀테크 선도교사한국과학창의재단 2022 AI 교육 선도학교 우수 운영사례(교육활동 운영부문) 이사장상

지은이 : 이주은
이화여자대학교 AI융합교육전공 석사 수료서울특별시교육청 디지털 교육혁신 핵심교원국립특수교육원 에듀에이블 현장지원단2023 장애학생 정보화 교육 발전 우수교원 교육감 표창

  목차

PART 01 디지털 교육이 온다 6

CHAPTER 1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의 방향 (정제영)
1 디지털 대전환과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 1 4
2 미래를 위한 학교의 혁신 방향 1 7
1 미래 교육을 위한 시스템적 접근 1 7
2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의 혁신 방향 2 1
3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의 방향 27
1 디지털 기반 미래 교육: 하이테크 교육 27
2 하이터치 하이테크 교육 30
3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 36
· 참고문헌 42

CHAPTER 2 특수교육에서의 AI, 디지털 기술의 적용 (이영선)
1 특수교육대상자와 특수교육 44
1 특수교육대상자: 무엇이 특별한가? 44
2 특수교육: 특별하게 설계된 교육의 의미 47
3 디지털 전환, AI시대의 특수교육대상자 5 1
1 기술의 가능성과 새로운 장벽 5 1
2 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지원하는 접근, 보조공학 56
3 디지털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포용 기술 60
4 AI 디지털교과서 시대,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기술 적용 방향 67
1 AI 디지털교과서가 가져올 특수교육의 변화와 가능성 67
2 특수교육에서의 AI 디지털 코스웨어 도입 및 적용을 위한 원칙 69
3 AI 시대, 더욱 중요해진 특수교사의 역할 7 1
· 참고문헌 및 사이트 73

CHAPTER 3 디지털 기반 특수교육의 이해 (이대송)
1 특수교육 디지털 교육 관련 정책 74
1 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3~’27) 74
2 2022 개정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85
3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 86
2 특수교육 디지털 교수학습자료 88
1 멀티미디어북 88
2 실감형 콘텐츠 92
3 AI 디지털교과서의 이해 97
1 AI 디지털교과서 추진 97
2 디지털교과서와 AI 디지털교과서의 차이 100
3 AI 디지털교과서 핵심서비스 102
4 특수교육 AI 디지털교과서 104
4 AI 디지털교과서 살펴보기 106
1 홍보영상 106
2 AI 디지털교과서 웹 전시 시스템 107
3 AI 디지털교과서 출판사 누리집 109
·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1 1

PART 02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

CHAPTER 1 특수교육에서의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수업설계 (이수빈)
1 디지털 전환 시대와 맞춤형 교육과정의 비밀 114
1 디지털 전환과 교육의 변화 114
2 특수교육의 변곡점, 맞춤형 학습의 디지털 동행 119
2 디지털 도구와 함께하는 맞춤형 수업 설계의 로드맵 126
1 디지털 특수교육 수업 설계의 3단계 로드맵 126
2 디지털과 만난 특수교육, 생생한 수업 모음. ZIP 133
3 디지털 기술로 여는 특수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하여 148
· 참고문헌 및 사이트 150

CHAPTER 2 AI 코스웨어 맵핑과 맞춤형 교육
: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이해와 활용 (김소정)
1 AI 코스웨어 이해하기 152
1 AI 코스웨어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 152
2 특수교육 맥락에서의 의미 153
3 개별화교육계획(IEP) 지원 도구로서의 가능성 155
2 AI 코스웨어의 주요 기능 156
3 개별화된 학습 지원 기능 159
4 AI 코스웨어 활용의 실제 163
1 AI 코스웨어를 적용하기 전 고려 사항 163
2 특수학급 수학 수업의 적용 사례 168
3 장애 유형별 활용 방안 1 7 1
5 효과적 활용을 위한 제언 173
· 참고문헌 및 사이트 176

CHAPTER 3 특수교육에서의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 (이주은)
1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의 이해 178
1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의 의미 179
2 교사가 주도하는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 180
2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의 실제 183
1 현악기 연주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 183
2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 188
3 인터랙티브 독서 활동을 통한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 195
3 특수교육에서의 하이터치 하이테크(HTHT) 교육에 대한 기대 202
1 HTHT 교육이 열어가는 특수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202
2 HTHT 교육 도입의 과제와 해결방안 205
3 HTHT 교육과 특수교육의 미래 206
· 참고문헌 및 사이트 207

CHAPTER 4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합화 (김초희)
1 교수적합화의 개념 208
1 교수적합화의 정의와 필요성 208
2 특수교육과 통합학급 맥락에서의 교수적합화의 의미 209
3 교수적합화의 기본 원리 2 1 1
4 교수적합화의 유형 2 1 2
2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합화 2 1 3
1 교수적합화 절차 2 1 3
2 교수 환경 적합화 2 1 4
3 교수 집단 적합화 2 1 7
4 교수 내용 적합화 2 1 8
5 교수 방법 적합화 220
6 평가 적합화 222
3 통합학급에서의 과목별 교수적합화 사례 225
1 수학(서책형 교과서&AIDT 병행형) 225
2 영어(AIDT 집중형) 230
4 AI 디지털교과서를 통한 교수적합화의 실천과 미래 234
· 참고문헌 236

PART 03 교사가 만드는 교실혁명

CHAPTER 1 디지털 기반 특수교육의 미래 (안지훈)
1 특수교육 포용기술(Inclusive Techlolgy)과의 만남 238
1 모두를 위한 교육: 특수교육과 포용기술의 만남 238
2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을 위한 접근성과 UDL의 역할 246
1 특수교육과 보편적 학습 설계(UDL) 247
2 특수교육과 접근성 252
3 통합교육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와 접근성 258
· 참고문헌 및 사이트 263

CHAPTER 2 교실혁명: 미래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김진관)
1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의 방향과 AI 디지털 도구의 역할 266
1 맞춤형 개별화 학습은 또 다른 이오의 세계 266
2 가장 큰 변화의 메시지는 ‘인공지능 기술 자체’일 수 있다 268
3 핵 개인의 시대, 인공지능과의 협업 270
4 교육 혁신은 곧 자율적 수업 혁신 272
2 디지털 기반 교육에 대한 현실적 우려와 극복 275
1 스톡데일 파라독스(Stockdale Paradox) 275
2 AI 디지털 도구가 도깨비방망이가 될 수 있을까? 276
3 정책 수립의 타당성과 대의명분만으로 충분할까? 281
4 윤리적 쟁점을 관리하고 감독할 규정이 충분한가? 282
5 AI 디지털 도구가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가? 283
3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의 핵심이자 주체로서의 교사 285
1 새로이 요구되는 교사의 역량 285
2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의 열쇠가 된 교사의 역할 2 9 1
4 AI 디지털 도구는 어떻게 교사의 무기가 되는가 292
1 아티스트로서의 교사의 역량 292
2 아티스트를 위해 존재하는 조력자, AI 디지털 도구 293
3 디지털로 모든 수업의 순간을 채우지 않아도 295
4 교사의 수업 디자인에 또 하나의 가능성을 달다 296
5 AI 디지털 도구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제언 297
1 선택과 집중에 기반한 고도화 298
2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을 지원하는 상호작용 촉진의 도구 299
3 다양한 성취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수업 설계 및 실행 도구 299
4 역량 함양과 깊이 있는 학습을 지원하는 AI 디지털 도구 301
5 교사 역량 강화의 체계성 확보 302
6 학교 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정책적 지원 304
7 교사를 중심으로 한 학교, 지역사회, 교육 당국 간의 협력 305
6 마치며 306
· 참고문헌 및 사이트 309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