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용섭
서울 출생이다. 에스앤엘(S&L) 파트너스의 입법지원센터장과 파트너 변호사이며,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와 세종대 법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제3대 한국조정학회 회장과 제7대 한국행정법학회 회장 등을 맡아 국가발전을 위한 학술활동을 크게 진작하였다. 서울대 대학원 법학과 재학 중 사법시험 제26회에 합격한 후 사법연수원(제16기)을 수료하고 육군 제2군사령부 수사장교를 마쳤다. 1990년 법제처 사무관 특채로 공직에 진출하여 서울대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독일 만하임(Mannheim)대로 유학을 떠나 1994년 12월 게어드 로엘레케(Gerd Roellecke)의 지도하에 법학박사학위(Dr. iur)를 취득하였다. 독일 유학후 법제처 사회문화행정심판담당관, 경희대 법대 부교수, 법무법인 아람 구성원변호사, 한국법제연구원 감사, 전북대 법대 및 로스쿨 교수, 전북대 법학연구소장 등을 거쳤고 전북대에서 2024년 8월말 정년퇴직하면서 대한민국 옥조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스스로 호고(好古)주의자를 표방하며 새로운 영역인 법과 인문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아마바둑 4단의 애기가이면서 추사(秋史) 김정희의 학예정신에 매료된 ‘추사 매니아’이기도 하다. 동서양의 고전 읽기와 클래식을 즐겨 감상하며 사주추명학에도 조예가 있다. 평소 법조실무와 학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쓰기를 통해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각과 따뜻한 위안을 함께 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직필과 객설>, 가산 김용섭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행정법학의 새로운 방향>, <행정법이론과 판례평석>, <행정판례평석> 등이 있다.
지은이 소개
머리말
제1부 법률시론과 시사법학(時事法學)- 법치국가의 과제와 공정사회를 위한 논의 -
제1장 법치국가의 과제
1. 헌법재판관 임기연장 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스포츠와 헌법재판
3. 대통령의 계엄과 탄핵을 둘러싼 법적 논의
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결과의 함의와 국회 정상화 비전
5. 행정기본법안의 적극행정조항에 관한 비판적 논의
6. 공무원 근무관계의 법적 성질
7. 대법원장 상설자문기구 사법행정자문회의 설치타당성
8. 특허심판의 임의전치채택 이상적 해결책인가
제2장 공정사회를 위한 논의
1. 공직이 맑아야 시장이 밝아진다
2 독일문화의 특징과 독일사회로부터 배울 점
3. 은광연세(恩光衍世)와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4. 초고령사회 노인의 법률문제와 변호사의 역할
5. fair play를 지향하는 스포츠와 스포츠 법학
6. 스포츠 에이전트의 법적과제
7. 스포츠 반도핑(Anti-Doping) 중재기구의 설립필요성
8.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바둑진흥법안 공청회 진술인 의견서
제2부 법과 인문학 에세이- 독창적 법률가, 사색과 성찰 그리고 나의 길(My Way) -
제1장 독창적 법률가
1. 에테아 호프만 (E. T. A. Hoffmann)
2. 무애(無碍) 서돈각 박사
3. 로스코 파운드(Rosco Pound)
제2장 사색과 성찰
1. 법과 인문학의 길
2. 법률가에게 필요한 인문학적 소양과 상상력
3. 추사와 교육자
4. 법률가와 추사 김정희
5. 인생의 단계와 호모루덴스(homo ludens)
6. 시간의 자기결정권과 시간의 효율적 활용
제3장 나의 길(My Way)
1. 나와 경희법대
2. 흥구와 법대교수
3. 나의 아호이야기
4. 나의 삶에서 숫자 24의 특별한 의미
5. Gerd Roelleck 교수 추천서
6. 졸업축사 메세지
7. 나의 종강사
8. 나의 서평
(1) [서평] 경제법시리즈 Ⅰ, Ⅱ, Ⅲ (신동권 한국공정거래조정원장 著)
(2) [서평] 국제상사조정체계:싱가포르 조정협약을 중심으로(박노형 著)
(3) [서평] “법과 나라발전(한국헌법 약사)”(박윤흔 전 대구대 총장 著)
(4) [서평] 정책, 규제와 입법(박균성 전 한국법학교수회장 著)
(5) [서평] 긍융소비자 보호법(전상수 외 3인·홍문사 펴냄)
(6) [서평]〈경쟁정책과 공정거래법-한국, 미국 그리고 EU〉(신동권 한국해양대 석좌교수 著)
(7) [서평] 입법과 해석을 아우른 중대재해처벌법의 지침서
(8) [서평] 영화나 각종 사례 통해 설명한 공정거래법 핵심 이슈
9. 나의 시세계
(1) 도쿄여로(東京旅路)
(2) 숲속 오솔길에서
(3) 석양낙하(夕陽洛下)
(4) 언덕위 바람
(5) 하얀목련
(6) 난초의 기억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