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한국근현대미술  이미지

한국근현대미술
MMCA 과천 상설전
MMCA | 부모님 | 2025.06.25
  • 판매가
  • 28,000원
  • 상세정보
  • 14.8x22 | 0.582Kg | 416p
  • ISBN
  • 978896303444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출판사 리뷰

본 도록은 MMCA 과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다.

MMCA 과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은 소장품 중 총 270여 점의 작품을 엄선하여 20세기 한국미술 100년의 역사를 《한국근현대미술 I》, 《한국근현대미술 II》로 나누어 개최한다.

《한국근현대미술 I》은 대한제국 시기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 세상이 크게 변화된다는 인식과 세상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의식이 혼재된 20세기 전반의 미술을 다룬다. 이와 함께 오지호, 부부 작가인 김기창과 박래현, 이중섭의 작품 세계를 ‘작가의 방’을 통해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한국근현대미술 II》는 해방 이후 195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말까지 여러 양상으로 분화한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국립현대미술관의 주요 소장품을 통해 조망한다. 그리고 김환기와 윤형근을 조명하는 특별 섹션을 통해 두 작가가 각자의 방식으로 구현한 ‘한국적 추상’의 성취를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도록은 국립현대미술관 이수정 학예연구사의 《한국근현대미술 I》, 이현주 학예연구사의 《한국근현대미술 II》 기획글과 함께 각 전시의 주제별 작품 해제 및 도판, 수록작 목록 등을 제공한다.

소장품 11,800여 점 시대를 맞은 2025년 개최되는 MMCA 과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은 지금까지의 수집과 전시, 연구 결과가 집약된 결과물이다. 대향(大鄕) 이중섭(李仲燮, 1916-1956)의 <정릉 풍경>(1956), 김기창(金基昶, 1913-2001)의 <정청>(1934)처럼 구입한 작품도 있지만, 작가와 유족, 소장자의 뜻에 따른 기증으로 미술관의 소장품이 풍성해질 수 있었다. 특히 이중섭의 <황소>(1950년대), 백남순(白南舜, 1904-1994)의 <낙원>(1936년경) 등 근대미술의 대표작을 망라한 이건희컬렉션이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되고, 이건희컬렉션전이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한 전국 주요 미술관을 순회하면서 초유의 관심을 모았고, 이는 우리 근대미술에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수정, 기획글 「언제나, 누구에게나 - 새롭게 보고 읽기 위하여」

《한국근현대미술 II》는 소장품이라는 공공 자원을 통해 한국미술사의 흐름을 재조명하는 동시에, 소장품의 수집과 지속적인 연구, 전시 등 미술관이 축적한 역사성과 학술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미술의 변화를 보다 다층적으로 조망하고자 했다……이번 전시는 단지 과거의 서사를 반복하거나 고정된 흐름을 전시하는 공간이 아니라, 현재의 시점에서 동시대 미술과 지속적으로 호흡하는 ‘열린 서사’의 장이 되기를 지향한다.
이현주, 기획글 「여러 겹의 시간: 다시 보는 미술의 장면들」

<허유, 유인명 초상>(1924-1925)은 한 쌍의 족자로 이루어진 부부 초상화이다. 남성은 흉배가 부착된 관복에 각대를 두르고 있는 관리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두 인물의 신분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는 없다. 채용신은 의뢰인의 사회적 신분과 관계없이 요청에 따라 초상화를 제작했으며, 관직의 여부와 상관없이 관복을 입고 있는 모습을 그리기도 했다.
한국근현대미술 I, 「1. 새로운 시선의 등장: 광학과 카메라, 근대적 지식 체계와 미술 - 채용신, <허유, 유인명 초상>」

  작가 소개

지은이 : 국립현대미술관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이후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이전하였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완공, 개관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1998년에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인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여 근대미술관으로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11월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소격동에 전시실을 비롯한 프로젝트갤러리, 영화관, 다목적홀 등 복합적인 시설을 갖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을 건립·개관함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재건축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를 개관하여 중부권 미술문화의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배명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목차

4 발간사―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10 기획글―이수정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이현주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MMCA 과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
20 1. 새로운 시선의 등장: 광학과 카메라, 근대적 지식 체계와 미술
28 2. 근대 서화의 모색
금강산, 조선의 산수를 찾아서
46 3. 미술 / 미술가 개념의 등장
인물화: 인물화에 담긴 근대적 시선
풍경화: 조선의 명승 유적부터 이국적 풍광까지
정물화
92 4. 모후산인 오지호
102 5. 조선의 삶을 그리다
120 6. 동행: 우향 박래현과 운보 김기창
130 7. 폐허 위에서: 한국전쟁과 조형실험
166 8. 폐허 위에서: 가족을 그리며
186 9. 대향 이중섭

MMCA 과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I
198 1. 정부 수립과 미술
210 2.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서
228 3. 추상미술의 확산
258 4. 푸른 여백, 마음의 풍경: 김환기
268 5. 모더니스트 여성 미술가들
290 6. 행위, 사물, 개념: 전위미술의 실험들
310 7. 한국적 추상의 모색
322 8. 청다색, 천지문: 윤형근
330 9. 한국화의 새로운 전환
352 10. 형상의 회복과 현실의 반영
374 11. 동시대를 향하여

392 수록작 목록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