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때로는 긴 설명보다 짧은 문장 하나가 마음을 움직인다. 흔들리는 삶의 갈피에서, 고전의 문장들은 조용한 대답이 되어준다. 《나는 왜 고전이 좋았을까》는 고전을 사랑해온 저자가 그 문장 속에서 발견한 위로와 통찰, 그리고 내면의 변화를 차곡차곡 담아낸 기록이다. 이 책은 ‘고전을 읽어야 한다’는 당위에서 출발하지 않는다. 오히려 오래된 문장을 천천히 곱씹으며 자신을 되돌아보고, 삶의 방향을 다듬어가는 한 사람의 여정을 따라간다. 《데미안》 《월든》 《이반 일리치의 죽음》 《토지》 《모비 딕》… 저자는 이 고전들 속에서 자신의 상처와 마주하고, 삶의 무게를 견디는 단서를 찾아냈다.
저자는 말한다. “고전은 지나간 시대의 기록”이 아니라고. 오히려 시간의 풍파를 견뎌낸 문장들이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지고,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는 이들의 마음을 두드릴 수 있다는 사실을 조용하지만 단단한 목소리로 들려준다. 삶의 어느 지점에서 멈춰야 했던 이들에게, 한 줄의 문장이 등을 토닥이고, 한 권의 책이 길을 비춰주는 경험. 그것이야말로 지금 우리가 고전에 다시 눈을 돌려야 하는 이유다. 《나는 왜 고전이 좋았을까》는 그렇게 오래된 문장 속 온기를 따라 걷는, 깊이 있는 독서의 동행이자 사유의 기록이다.
출판사 리뷰
“왜 고전이 좋은가가 아니라, 나는 왜 고전이 좋았을까”
삶을 가로지르는 질문 앞에서 고전은 가장 오래되고 가장 단단한 등불이었다
우리는 매일 선택의 갈림길에 선다. 어떤 선택은 하루의 기분을 바꾸고, 어떤 선택은 인생의 결을 바꾼다. 그 수많은 선택들 사이에 ‘고전을 읽는 일’이 있다면, 그것은 단순한 독서가 아니라, 삶을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이의 내면에서 비롯된 결심일 것이다. 《나는 왜 고전이 좋았을까》는 바로 그런 선택과 만남의 경험에서 비롯된 책이다. 저자는 묻는다. 고전은 왜 지금 이 순간에도 여전히 우리 곁에 머물며, 어떤 문장들은 왜 그토록 오래도록 가슴에 남는가. 그리고 자신은 왜, 그 오래된 문장 앞에 자꾸만 발길을 멈추게 되는가.
저자는 오랜 시간 책을 매개로 사람들과 만나온 독서활동가다. 27년간 교육자와 기획자로 일하며 어린이부터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대와 함께 책을 읽어왔고, 특히 ‘함께 읽기’의 힘을 믿으며 숭례문학당과 도서관, 학교 등에서 고전 읽기와 글쓰기 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그녀는 말한다. 고전이 품은 질문은 결코 낡지 않았으며, 함께 읽고 나눌 때 오히려 더욱 생생하게 되살아난다고. 《햄릿》의 “사느냐, 죽느냐”라는 고뇌, 《안나 카레니나》의 선택 앞에서의 흔들림, 《이반 일리치》의 죽음 직전의 자각… 이 모든 갈등과 성찰은 오늘을 사는 우리 삶과 놀랍도록 닮아 있다.
이 책은 고전 속 문장을 인용하는 데 머무르지 않는다. 저자는 그 문장들이 삶의 어느 지점에서 자신을 붙잡았고, 어떻게 다시 걸어갈 힘이 되어주었는지를 정직하게 기록한다. 책장을 넘기며 떠오른 기억, 마음을 흔든 한 줄, 그리고 그 문장을 곱씹으며 자신을 다듬어온 시간들이 차분하게 펼쳐진다.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결국 낯선 타인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는 일이라는 것을, 이 책은 삶의 언어로 증명해낸다. 그래서 고전을 낯설고 멀게만 느껴온 이들에게 이 책은 조용히 다가가 이렇게 건넨다. 지금 당신이 가장 필요로 하는 문장이, 어쩌면 이미 오래전에 쓰인 고전 속에 숨어 있을지도 모른다고.
“고전은 어렵지 않다. 함께 읽으면 더 깊고, 더 따뜻하다”
읽을수록 삶이 보이고, 나를 다시 사랑하게 만드는 문장들
《나는 왜 고전이 좋았을까》는 고전을 처음 접하는 이에게는 방향이 되어주고, 이미 고전을 읽어본 이에게는 다시 고전 앞에 앉을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이 책은 고전 읽기를 ‘지적 과시’가 아니라 ‘삶의 감각을 회복하는 과정’으로 바라본다. 그 안에는 오랜 문장을 붙들고 고민하고 토론하며, 마침내 그 문장을 자신의 언어로 옮겨내는 사람들의 시간이 녹아 있다.
저자는 고전이란 인간 존재의 본질과 맞서는 깊은 질문을 품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질문은 혼자서 감당하기에 벅찰 만큼 묵직할 때가 많다. 그래서 함께 읽는 것이 중요하다. 서로의 시선으로 문장을 다시 보고, 서로의 해석을 거쳐 고전이 나에게로 건네는 말을 더욱 선명하게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독서 모임을 통해 《토지》 《모비 딕》 같은 ‘벽돌책’도 끝까지 읽어내고, 서로의 인생과 문장이 만나는 장면들을 거듭 목격해온 저자의 체험에서 비롯되었다.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한 시대를 통과한 문장을 곱씹으며, 결국 자기 삶을 되돌아보는 일이기도 하다. 그 과정에서 독자는 지식보다 관계, 해답보다 질문, 외형보다 중심을 더 깊이 들여다보게 된다. 이 책이 전하는 고전 읽기의 즐거움은 그러한 변화의 시작점을 마련해준다. 인생의 어느 지점에서 멈춰 선 이들, 마음을 다시 단단히 세우고 싶은 이들, 함께 읽는 고전의 온기를 통해 내면의 결을 다듬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긴 호흡의 동반자가 되어줄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신은하
책 모임을 사랑하는 독서 활동가입니다. 좋은 책일수록, 두꺼운 고전일수록 혼자 읽는 것보다 함께 읽을 때 더 깊이, 더 끝까지 읽을 수 있다고 믿는 ‘함께 읽기’ 마니아이기도 합니다. 사람은 쉽게 바뀌지 않지만, 책 모임을 통해서는 충분히 변할 수 있다고 믿기에 그 효과를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불과(문학 석사)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학 석사)를 졸업하고, 27년간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자와 기획자로 활동해 왔습니다. 아이들의 사춘기를 계기로 ‘엄마의 자아 찾기’를 시작했고, 2011년부터는 인문학 학습 모임에 꾸준히 참여해 오고 있습니다. 현재는 숭례문학당, 시립도서관, 고등학교 등에서 독서와 글쓰기 관련 강의를 하고 있으며, 어린이부터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하는 책 모임을 통해 ‘어제보다 오늘, 조금 더 성장하는 삶’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목차
Prologue : 고전 읽기 좋은 나이, 고전이 필요한 인생
Part 1. 나는 왜 고전이 좋았을까
나의 케렌시아에서 고전에 기댄 시간
고전이 정말 인생을 바꿔줄까요?
다음 버스를 기다리게 하는 힘
웅덩이에 물을 채우듯이, 우물을 깊이 파듯이
마흔, ‘진짜 공부’가 시작되는 나이
Part 2. 흔들리지 않는 삶이 어디 있으랴
존재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있도록 - 프란츠 카프카 《변신》
사춘기 가정마다 꼭 있는 홀든 콜필드 - J. D.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
부끄럼 많은 생애를 위한 위로 - 다자이 오사무 《인간 실격》
문제는 언제나 ‘마음’이야, 바로 내 마음 - 나쓰메 소세키 《마음》
편견을 내려놓는 순간, 비로소 보이는 것들 - 레이먼드 카버 《대성당》
오르막만 있는 인생은 없다 - 레프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Part 3.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는 서로를 견디어낸다
부모 노릇, 그 고단함에 대하여 - 오노레 드 발자크 《고리오 영감》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진격의 어머니 - 로맹 가리 《새벽의 약속》
진짜 사랑을 구별하는 법 - 서머싯 몸 《인생의 베일》
성장하는 삶, 소멸하는 삶 - 레프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
사랑이 필요한 세상 - 에밀 아자르 《자기 앞의 생》
서로에게 가장 특별한 존재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Part 4. 슬픔을 안고도 아름다움을 바라보라
앞만 보고 달려온 직장인의 슬픈 자화상 - 가즈오 이시구로 《남아 있는 나날》
세일즈맨으로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 아서 밀러 《세일즈맨의 죽음》
‘안하는 편’을 택하겠습니다 - 허먼 멜빌 《필경사 바틀비》
끊임없이 모래를 퍼내는 인생 - 아베 코보 《모래의 여자》
화려하지 않은, 그러나 단단한 삶 - 존 윌리엄스 《스토너》
천복을 따르는 자의 기쁨과 슬픔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야간 비행》
Part 5. 완벽하지 않아도, 길은 계속된다
무 자르듯 둘로 가르는 이분법 사회 - 이탈로 칼비노 《반쪼가리 자작》
부조리한 세계를 정직하게 사는 법 - 알베르 카뮈 《이방인》
가짜 뉴스가 만든 진짜 비극 - 하인리히 뵐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우리가 꿈꾸는 리더, 우리가 꿈꾸는 세상 - 윌리엄 골딩 《파리대왕》
집념과 집착, 그 아슬아슬한 경계 - 허먼 멜빌 《모비 딕》
고작 외투 하나를 잃었을 뿐인데 - 니콜라이 고골 《외투》
Part 6. 흔들림 속에서도 ‘나’로 살아가기
뜬금없이 내면의 북소리가 들려온다면 - 서머싯 몸 《달과 6펜스》
나는 누구를 기다리는가 - 사무엘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간소하게, 간소하게, 간소하게 살라 - 헨리 데이빗 소로 《월든》
끝내 패배하지 않는 삶 - 어니스트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차마 말할 수 없어 글이 되었고, 견딜 수 없어 문학이 되었다 - 박경리 《토지》
세상의 소음 속에서도 나를 잃지 않게 하는 글쓰기 - 조지 오웰 《나는 왜 쓰는가》
Epi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