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혁규
1987년 교직에 입문하여 중·고등학교에서 10년 2개월 동안 가르쳤고, 1997년부터 청주교육대학교에서 예비교사를 양성하고 있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회장, 한국열린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인류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수업과 학교 혁신에 관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교원단체와도 깊은 인연을 맺어 왔다.청주교육대학교 제19대 총장을 지냈고, 전국교원양성대학교총장협의회 회장, 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부회장으로 활동하였다. 2024년에는 국가교육위원회 중장기발전전문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참여하였으며, 현재는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대표로 지역사회에서 작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위기의 시대, 모두가 존중받고 행복한 사회, 함께 연대하고 공존하는 민주주의의 성숙을 고민하며 관련 연구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현장 수업 연구를 필생의 과제로 삼고 있으며, 세계 사람들이 우리 교육을 배우러 오는 미래를 꿈꾸며 살아가고 있다.지은 책으로는 『교과 교육 현상의 질적 연구』, 『수업,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한국의 교육 생태계』, 『수업 비평가의 시선』, 『한국의 교사와 교사되기』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수업, 비평을 만나다』, 『수업 비평의 이론과 실제』, 『실행연구방법』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9월 11일 이후의 감시』, 『학부모와 더불어 일하기(공역)』, 『세계의 교사교육(공역)』 등이 있다.언젠가 캠핑카를 타고 전국의 학교를 돌며 배우고 교류하는 여정을 꿈꾸고 있으며, 정년 전에는 세계 여러 나라의 수업을 관찰하여 국제 수업 비평에 관한 책을 펴내는 것을 숙제로 삼고 있다.
지은이 : 안데르스 슐츠
덴마크 코펜하겐의 뤼센스틴 고등학교(Rysensteen Gymnasium)에서 글로벌시민교육 프로그램(Global Citizenship Programme)의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미국, 캐나다, 중국, 싱가포르, 이집트, 우간다, 한국 등과의 교육 교류를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고 확산하는 데 기여해 왔다.그는 덴마크와 북유럽의 민주주의 교육, 세계시민교육에 대해 70회가 넘는 국내외 강연을 진행했으며, 관련 논문과 글도 꾸준히 발표해 왔다. 『세계시민교육으로 가는 길(Veje til Verdensborgerskab)』과 그 영어판인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axis』의 편집자이자 공동 저자로서, 다문화 시대의 교육적 도전에 대한 덴마크의 응답을 책에 담아냈다.청주교육대학교 국제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며 한국과의 교육 협력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역사 및 체육 교사로 교육 경력을 시작했으며, 아랍의 봄과 민주주의에 관한 글도 집필한 교육 실천가이다.2025년 2월 4일에는 『덴마크는 어떻게 민주시민을 기르는가?』 온라인 포럼을 통해 한국의 교육자들에게 덴마크 민주시민교육을 인상 깊게 소개하기도 하였다.
추천사
프롤로그. 책을 집필하게 된 계기에 대하여
1부. 자존감과 자존감 교육
1장. 사회마다 다른 양육 환경 _22
1. 인간 유아의 생물학적 취약성
2. 부모의 문화적 양육 이론(Parental Ethnotheories)
3. 자존감을 기르는 교육 VS 자신감을 기르는 교육
2장. 한국의 양육 환경 돌아보기 _32
1. 성취와 경쟁 중심의 양육 환경
2. 개별 가정 내에서의 차별 문화
3. 양육 환경의 역사적·사회적 맥락
3장. 자존감과 자신감에 따른 인간 유형 _45
1. 자존감 중시 문화와 자신감 중시 문화
2. 자존감과 자신감에 따른 인간 유형
3. 자존감과 자신감 진단 체크리스트
4. 자존감은 낮고 자신감은 높은 지도자 유형
4장. 자존감과 건강한 리더를 양성하는 교육과 사회 _60
1. 자존감을 높이는 교육
2. 건강한 리더를 양성하는 사회
5장. 자존감 교육에서 유의할 점 _79
1. 나르시시즘과 책임 회피로 흐를 가능성
2. 자존감 교육과 청소년 건강 문제
3. 자존감의 확장으로서 공동체적 자아
4. 자존감 교육과 평등·사회 정의의 연결
2부. 공감과 공감 교육
1장. 공감의 생물학적 기반 _90
1. 공감의 어원 및 관련 개념들
2. 동물의 공감 능력
3. 인간의 생득적 공감 능력
2장. 인간 공감 능력의 사회적 차원 _102
1. 던바의 수
2. 공감의 역설
3. 공감의 진화
3장. 한국 사회와 공감의 역설 _114
1. 가족주의
2. 연고주의
3. 지역주의
4. 눈치문화
5. 능력주의
4장. 공감 교육의 구체적 방법 _133
1. 공감 교육의 발달적 차원
2. 가정·학교·사회에서의 공감 교육
5장. 공감 교육에서 유의할 점 _146
1. 과잉 동조
2. 정서적 편향
3. 공감의 도덕화
4. 구조적 문제 은폐
3부. 민주시민교육과 공화주의교육
1장.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 _158
1. 상상의 공동체, 대한민국
2. 국가 형태, 민주공화국
3. 대한민국 헌법 전문 살펴보기
4. 위대한 여정, 새로운 도약?!
2장.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공고화 _173
1. 민주주의 개념의 다의성
2. 민주주의로의 이행
3. 민주주의의 공고화
3장. 12.3 비상계엄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 _187
1. 비상계엄 원인 분석의 여러 차원
2. 보수와 진보의 대결인가, 적대의 제도화인가
3. 정당 민주주의의 후퇴
4. 유튜브 정치와 정치 양극화
4장. 자유민주주의와 공화민주주의 _202
1. 자유민주주의
2. 공화민주주의
3. 자유민주주의와 공화민주주의의 연계 가능성
5장. 민주시민교육과 공화주의교육 _216
1. 민주시민교육
2. 공화주의교육
6장. 문화로서의 민주주의: 덴마크적 접근 _231
1. 역사적 뿌리: 민주주의를 문화로 이해하는 덴마크의 방식
2. 덴마크의 교육과 양육에 깃든 민주주의 문화
3. 덴마크의 민주시민교육 개선 노력과 한국 사회에 주는 함의
민주주의와 연관된 나의 한국현대사 _250
에필로그. 가장 민주적이고 행복한 나라를 꿈꾸며 _264
미주 _274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