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이상택
“기술과 심리, 뇌과학을 융합해 안전의 본질을 새롭게 설계하는 안전 철학자” 35년간 국내외 프로젝트의 생산과 안전을 책임졌던 엔지니어이자 리더였다. “안전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결국 사람의 문제다”. 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한양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을 공부했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뇌과학과 행동심리학을 접목하여 ‘뇌 기반 안전문화’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건설기술교육원, 한국안전교육원, 주택관리사협회, 한국코치협회에서 강의하며 대한민국 안전문화의 대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산업안전기사, 건설안전기사, ISO 45001 인증 심사원, 행정안전부 인증 안전 교육전문강사, 고용노동부 전국민마음투자 심리상담사, 한국코치협회 전문코치(KPC), 스탠퍼드 자비명상 지도자 자격자이다. 기술에서 시작해 사람의 ‘마음’으로, 다시 뇌와 행동으로 연결되는 인간 연구에 몰두하며 한국형 안전문화의 혁신에 공헌하고 있다.
지은이 : 이철희
“사람과 조직의 성장 리더십 연구자이며 조직 성장 퍼실리테이터” ‘지속가능한 조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방향성을 제시하는 리더십 연구자이며 성장 디자이너이다. 경제학을 전공하고, 20년간 대기업에서 교육, 재무, 기획 부서를 두루 경험하며 조직의 심장부에서 전략과 실행을 담당해 왔다. 조직문화는 단지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변화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것이라는 통찰을 나누고 있다. 고성과 조직문화 구축, 성장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심리 기반의 팀 코칭 및 리더십 전환이 연구 주제이다. 제안 프로그램은 단순한 교육이 아니라, 문화의 전환이며, 그 과정은 사람의 ‘마음과 뇌의 이해’를 통한 조직의 진정한 성장을 지원한다.
이 책의 구성 –4개의 Part, 8개의 Chapter
Part 1: ‘안전 강국 영국’의 역사에서 배운다
•Chapter 1 안전의 길을 묻다 4
저자가 영국 기업과 함께 일하면서 직접 체험한 사례에서 얻은 질문을 학술적으로 연구했다. 영국이 어떻게 안전문화의 모범국가가 되었는지, 그 역사적 배경과 제도적 특징을 분석한다. ‘기업살인법’이라는 충격적인 제도 도입의 배경, 로벤스 철학, 기업의 열정, 안전 학자들과 전문가들의 헌신, 정부의 대응 등을 통해 우리에게 필요한 조건들을 짚는다.
Part 2: 안전문화 실천
•Chapter 2 행동기반 자율안전관리체계 구축(안전문화 1) 30
행동을 바꾸는 전략에 집중한다. 자율안전관리체계 구축, 위험성 평가 수행, 중대재해 대응 관리 등을 중심으로 정부 정책과 기업의 실행 전략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Chapter 3 심리기반 안전문화 구축(안전문화 2) 62
안전은 결국 사람의 신념, 정체성, 핵심가치에서 비롯된다. ‘마음이 바뀌어야 행동이 바뀐다’는 원칙 아래, 안전문화의 성숙도를 높이는 심리적 기반을 과학적으로 설계한다.
Part 3: 안전문화
•Chapter 4 안전 발달 106년 96
•Chapter 5 안전문화 발달 47년 116
세계적 안전문화 모델들을 연대기 순으로 분석하고, 그 진화 과정을 통해 장단점, 실용성,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지금까지 국내 현장에서 도입된 모델들의 효과성도 냉철하게 검토한다.
• Chapter 6 안전문화 측정 평가 136
안전문화 측정 도구와 분석 방법에 대해 다룬다. 측정의 오염 가능성과 과도한 수치화의 함정을 지적하며, 정책결정에 도움이 되는 올바른 사용법을 제시한다.
Part 4: 한국형 안전문화
•Chapter 7 안전의 역설과 착각 166
안전제일의 역설, 착각, 과신, 오류로 인한 한국인의 안전불감증과 안전무의식 문화의 심리적 현상을 분석하고 미국 NASA의 사례를 통하여 예방 전략을 제시한다.
• Chapter 8 한국형 안전문화의 실천 전략 200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가장 적합한 안전문화 모델을 제안한다. 한국의 문화적 원인, 편향, 제도의 한계, 뇌의 오판메커니즘까지 과학적 근거와 실천 방안을 명쾌하게 풀어낸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