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박재학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실험동물을 연구, 일본 북해도대학 수의학부에서 비교병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1994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실험동물의학교실의 초대교수로 부임, 실험동물의학을 연구, 교육하였으며 2024년 은퇴 후 명예교수로 위촉되었다.주요 연구 분야는 실험동물의 질병 예방 및 진단이며, 과학적이고도 윤리적인 동물실험 수행과 동물복지의 실천에 대해서도 힘써왔다. 서울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위원장을 10년간 지냈고 한국실험동물학회 이사장 및 대한수의학회 이사장, 독성병리학회회장, 한국동물실험윤리위원회 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였다.22년째 페스코 베지테리언이다.
지은이 : 안나
펼쳤다 접는 부채의 이미지에 매료되어 부채꼴 스펙트럼 속 개별 주제들을 하나로 엮어내는 방법을 궁리해왔다. ‘행복한 남극 월동 디자인’을 제안하고 실제로 세종과학기지 28차 월동대 생물연구원으로 남극에 다녀왔다.이화여자대학교에서 생명과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서 지능형융합시스템학을 전공했다. 서울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에서 2년간 간사로 근무한 뒤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박사과정에 진학했다. 학위 취득 후 여러 대학을 거쳐 현재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양학부 객원교수로 근무 중이다.
지은이 : 노상호
밤마다 하늘을 바라보며 칼 세이건과 같은 천문학자가 꿈이었던 소년은 원하는 전공 대신 대학을 택하여 서울대학교에서 수의학을 공부하고 수의사가 되었다. 지금은 수의사임을 자랑스럽게 여긴다.동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를 거치며 수의산과학을 전공했으며 학위 취득 후 미국 UC Davis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국립한경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과에서 전임강사와 조교수로 3년간 근무하였다. 이후 호주 Monash 대학의 의학연구원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하였고 2003년부터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에서 교수로 근무 중이다.한국동물생명공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서울대에서 2005년 동물실험윤리위원회를 설립한 후 꾸준히 위원으로 활동, 2025년 현재 위원장 직을 수행중이다.
I. 동물은 무엇을 원하는가?
들어가며 (p.13)
요약: 동물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한 길은? (p.15)
1.‘인간은 털이 없는 나충(裸蟲)일 뿐이다’ (p.22)
2.동물에 대한 이중적 시각 (p.26)
1)동물에 대한 배려 (p.27)
2)동물의 도덕적 지위 (p.29)
3)동물에 대한 갈등을 마주하는 사람들의 마음 (p.31)
3.동양사상에서의 동물에 대한 시각 (p.32)
4.동물에 대한 ‘불인지심’ (p.44)
1)사냥과 축산은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하다 (p.45)
2)잔인하다는 것 (p.49)
3)동물에게 잔인한 행동을 하는 사람은 사람에게도 그럴까? (p.50)
4)맹자의 불인지심 (p.54)
5.동물을 식용과 실험용으로 이용하면서 생기는 잔인한 마음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가? (p.58)
• A. 동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정서를 다스리는 방법
1) 동물을 물체화 한다 (p.59)
2) 동물의 영혼에 대하여 의식을 치른다 (p.59)
3) 동물에 대한 잔인한 행위를 보거나 듣지 못하도록 격리한다 (p.63)
• B. 동물의 고통을 덜어주며 동물이 누릴 수 있는 복지를 고려한다
1) 동물의 고통을 대하는 태도 (p.66)
2) 동물에게 감정과 인지능력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입증할 것인가? (p.69)
3) 동물들도 때로는 행복해할까 (p.76)
4) 동물은 도덕심을 갖고 있는가? (p.79)
• C. 동물복지의 실현
1) 동물의 복지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p.85)
2) 동물들의 이상 행동 (p.94)
3) 환경 풍부화 (p.99)
4) 동물의 권리를 주장한다 (p.107)
5) 의인화 (p.107)
II. 동물복지, 무엇이 문제인가?
1. 동물복지 정책 (p.112)
1) 최근의 경향 (p.113)
2) 동물보호법 (p.116)
3) 제2차 동물복지 5개년 종합계획 (p.118)
4) 동물보호 실태조사 (p.120)
2. 반려동물 (p.122)
1) 반려견이 주인의 생명을 구한다 (p.123)
2) 상가지구(喪家之狗), 유실견, 유기견 (p.125)
3) 유기동물 대책 (p.127)
4) 유기동물 안락사 (p.130)
5) 동물의 살처분 (p.132)
6) 가족의 사료가 된 유기견의 운명 (p.136)
7) 개 식용 문제 (p.139)
8) 실험용 반려동물 (p.154)
9) 반려동물의 개체 식별 (p.156)
10) 반려동물의 근친교배와 근교퇴화 (p.160)
11) 반려동물과의 이별: 코코와 꼬마 이야기 (p.162)
3. 농장동물 (p.170)
1) 집단 사육 농장동물의 전염병 (p.171)
2) 위기의 한국 축산 (p.173)
3) 농장동물의 복지 (p.174)
4) 농장동물의 수의료 서비스 (p.178)
III. 실험동물
1.동물실험 (p.184)
1) 필요한 동물실험, 불필요한 동물실험 (p.185)
2) 동물실험 결과의 왜곡 (p.188)
2. 모든 동물실험은 해도 되는가? (p.192)
1) 인간-돼지 키메라 (p.193)
2) 수의임상시험센터 (p.197)
3. 실험동물의 고통은 누가 구제해줄 것인가? (p.200)
1) 생어 연구소의 동물실험시설 폐쇄 (p.201)
2) 불필요한 동물실험은 줄여야 (p.204)
3) 윤리적인 동물실험을 위해서는? (p.207)
4)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역할 (p.210)
5) 실험동물시설의 시설전문수의사 (p.213)
6) 실험동물의 입양 (p.215)
4. 동물실험의 대안 (p.220)
1) 동물실험의 대안과 3R (p.221)
2) 동물실험 대체의 대표적인 예 (p.222)
3) 동물실험 대체법의 종류 (p.223)
4) 실험동물로서의 제브라피쉬 (p.228)
5) 동물실험대안의 미래 (p.232)
IV. 동물복지에 대한 제언
1. 안자(晏子)의 간언 (p.236)
2. 권도(權道) (p.240)
3.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不忍之心) (p.244)
4. 추기급인(推己及人) (p.248)
5. 동물복지는 이상일 뿐인가? (p.252)
V. 일터에서 동물과 함께 하는 사람들
1. 동물과 함께 하는 사람의 복지도 중요하다 (p.258)
2. 일터에서 동물을 마주하는 사람들의 직업적 스트레스 (p.262)
3. 동정피로와 직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프로그램 (p.266)
4. 프로그램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조건 (p.272)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