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월간 인재경영』은 HR 환경 변화에 주목한다. 인재 선발에서부터 육성·평가·보상 등 HR 전 부문을 심도 있게 다룬 인사·교육 전문지다. 학계 전문가의 이론과 업계 전문가의 경험, 심층 취재한 현장의 사례 등을 생생하게 전달함으로써 기업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인재경영의 지침서’가 되고자 한다.
출판사 리뷰
『월간 인재경영』은 HR 환경 변화에 주목합니다
위크루트는 인재 선발에서부터 육성·평가·보상 등 HR 전 부문을 심도 있게 다룬 인사·교육 전문지 『월간 인재경영』을 발행합니다. 월간 인재경영은 학계 전문가의 이론과 업계 전문가의 경험, 심층 취재한 현장의 사례 등을 생생하게 전달함으로써 기업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인재경영의 지침서’가 되고자 합니다.
특집 : 귀사의 조직은 건강하십니까?
사람이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듯, 조직에도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건강을 과신하면 큰 병을 놓치기 쉬운 것처럼, 조직 역시 겉보기에는 멀쩡해 보여도 내부에 위험 요인이 잠재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매출 감소나 이직률 증가 등 이상 징후가 감지된다면, 조직진단은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다. 단순한 진단을 넘어, 조직 내부를 면밀히 살피는 정밀한 분석과 함께 드러난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처방과 실행 전략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인재경영 9월호 특집에서는 지금 왜 조직진단이 중요한지를 짚고, 효과적인 진단 방법과 사후 조치, 그리고 이를 통해 위기를 사전에 차단한 실제 사례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COVER STORY(이달의 인물): 유길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총장
AI와 로봇이 인간의 역할을 빠르게 대체하는 현실 앞에서 대학 교육을 향한 시선은 의문투성이다. “AI와 로봇 기술이 주도하는 시대에 여전히 기초학문 중심의 교육이 유효한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는 단호하게 답한다.
“대학은 이제 지식 전달을 넘어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즉 AI와 로봇 등 미래 기술을 주도할 수 있는 실질적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유길상 한기대 총장은 “오늘의 학생을 어제의 방법으로 가르친다면 학생의 내일은 없을 수 있다”고 지적하며 “지금의 교육이 학생의 미래를 책임지는 교육인지, 교수자 스스로 냉철히 돌아봐야 한다”고 교육이 변화의 최전선에 서야 함을 강조했다. ‘좋은 대학을 넘어 위대한 대학으로’라는 비전 2030+도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으로, 유 총장은 “학생의 미래를 책임지고 나아가 국가의 미래까지도 책임지는 대학으로 거듭나야 대학이 설 자리가 있다.”고 역설했다. AI 기반 교육 혁신으로 학생의 미래를, 나아가 국가의 미래를 어떻게 견인할 수 있는지를 증명하고 있는 한기대의 담대한 변화 여정을 따라가본다.
HR PEOPLE: 박창현 놀유니버스(NOL UNIVERSE) HR 리더
여행 계획을 세우고, 항공권과 숙소 및 즐길 거리를 예약했다. 여행 계획에서부터 떠나기 한 달 전, 일주일 전, 하루 전까지도 끊임없는 상상이 이어진다. 지옥철의 무거운 공기도 잊고, 하루의 업무도 가벼운 마음으로 처리하고, 후배의 실수도 너그러이 봐준다. 일상 밖 우리가 상상하는 모든 설렘과 즐거움은 이처럼 팍팍한 현실마저 매만져주는 마법 같다.
일상 이외의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OTA 플랫폼 ‘놀유니버스’는 지난해 12월 야놀자 플랫폼과 인터파크트리플의 합병으로 공식 출범했다. “놀고 싶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친구이자, 놀라운 경험으로 삶을 다채롭게 채우는 Life Motivator”라고 스스로를 정의한다. 판교 금토동에 들어선 사옥은 공항 출국장을 연상시키는 인테리어와 수직의 거대한 미디어 월(Media Wall)을 배치해 출근마저도 여행의 설렘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박창현 놀유니버스 HR 리더는 NHN, 트리플 COO를 거쳐, 2023년 인터파크와 트리플 합병, 2024년 인터파크트리플과 야놀자 플랫폼의 합병을 함께 준비하며 인사의 다양한 영역을 경험해 왔다. 현재는 조직 통합, R&D 인재 확보, 임직원 역량 강화 프로젝트를 이끌며 구성원들과 함께 놀유니버스의 새로운 일하는 방식을 만들어 가고 있다.
별도의 승인 없이 연차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놀유니버스. 자율성을 기반으로 성장을 촉진하는 조직문화를 바탕으로 고객의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마법 같은 여정을 함께 들여다본다.
SPECIAL TALK:
잡스트리트
이유진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교수
김진수 뮤지컬《맘마미아!》‘빌(Bill)’ 역 / 배우, 개그맨
목차
FOCUS ON
비우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_ 전성열 편집장
머리는 떠나고 팔다리만 남은 슬픈 나라!_ 김광희 협성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성과평가 피드백에서는 가급적 글을 사용하라_ 장재윤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조직심리학 전공)
‘Wage Exemptions’만이라도 끼워 넣자_ 백진기 한독 대표이사
COVER STORY
한기대, AI 기반 교육 혁신으로 대학 이정표 제시할 터!_ 유길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총장
HR PEOPLE
Do You NOL? 일상 밖 모든 상상은 ‘NOL’ 안에 있다!_ 박창현 놀유니버스 HR 리더
SPECIAL TALK
뽑기도, 붙잡기도 어려운 개발자, 인도네시아에서 길을 찾다_ 잡스트리트
직원 경험(EX) 그 너머, 이제는 ‘의미 있는 일터’로 전환할 시간_ 이유진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교수 편안한 미소가 멋진 배우 김진수, 로 돌아왔다!_ 김진수 뮤지컬 ‘빌(Bill)’ 역 / 배우, 개그맨
SPECIAL REPORT
조직문화 진단, 지금 우리가 묻고 답해야 할 질문_ 윤명훈 원티트랩 사업총괄
왜 지금 조직진단인가: 지속 가능한 흐름을 위한 출발점_ 이미소 삼정KPMG People&Change 매니저
조직문화 진단의 한계와 대안_ 유준희 조직문화공작소 대표
우리 조직은 건강한가? 구성원 워라밸을 넘어 우리 조직밸을 진단하라!_ 송한상 머서코리아 부사장
화승, 미래형 조직을 그리다: 적정인력 진단의 실행과 통찰_ 정민홍 화승코퍼레이션 인재역량강화 담당 상무(동아대학교 경영학부 겸임 교수)
국도화학, 조직 진단으로 성과 중심의 건강한 조직문화 구축 본격화_ 손용원 국도화학 인사관리그룹 인사관리팀 책임
GLOBAL REPORT
전쟁 이후의 HR : 평화가 찾아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_ 이재진 영국 리즈대학교 연구교수
내돈내산 ‘어느 심포지엄에서 엿본 젠슨 황의 성공 비결’_ 박은연 실리콘밸리 HR 포럼 회장
STUDY ON
[ BEST PRACTICE ]
인재를 대하는 태도가 다음 세대의 눈빛을 결정한다_ 정혜진 서울경제신문 기자
‘LifeWear’ 철학으로 글로벌 1위를 달성한 유니클로의 가치관경영_ 정진호 경기대학교 AI컴퓨터공학부 겸직교수(가치관경영연구소 소장)
[ CASE STUDY ]
온프레미스를 넘어 HR Cloud를 통한 지속적인 혁신의 시대_ 김민수 EY컨설팅 People Consulting 파트너 류정무, EY컨설팅 People Consulting 매니저
[ HR STUDY ]
중고신입 vs. 생신입_ 엄명섭 트리피 대표이사
2025년 하반기 HR 실행 과제와 로드맵_ 백진구 커니코리아 상무(IGM세계경영연구원 겸임교수) ‘케데헌’으로 꿈을 이루다_ 이호석 SK에코플랜트 구매협력팀 프로
간주근로시간제/전적_ 임충수 노무법인 다울 대표공인노무사
SENSE OF
김기자의 교양 한 잔
건강
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