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오태민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오태버스 주식회사의 대표이자 한양대학교 비트코인 화폐철학과 겸임교수다. 2014년에 우연히 비트코인을 발견한 이후, 깊은 사유와 인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비트코인을 해석하고 알리고 있다. 유튜브 ‘지혜의 족보(@wisdom_of_bitcoin)’를 통해 대중과 비트코인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소통하고 있다. 2017년부터 약 5년간 〈한경비즈니스〉에 ‘비트코인 A to Z’를 연재했고, 2022년에는 EBS에서 공영방송 최초로 비트코인을 주제로 한 강연 「오태민의 나만 모르는 비트코인(12회)」이 방영될 정도로 비트코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면 반드시 그가 만든 논리와 설명을 한 번은 거치게 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재학 중 네트워크 세계의 도래와 탈중앙 분산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주장한 《여백의 질서》(1993)의 출판을 주도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출간 활동을 해오고 있다.
지은이 : 손혜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였다. 2021년 9월, 약사로 근무하던 중 우연히 유튜브 ‘지혜의 족보’ 채널 영상을 보고 비트코인을 매개로 한 철학·경제·기술의 논의들을 알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비트코인 세계에 입문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비트코인 화폐철학과 석사과정에서 비트코인의 사상적 계보와 금융 질서의 변화를 공부하고 있다. 또한 보험연수원 산하 크립토 스쿨의 교무 총괄을 맡아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비트코인, 그리고 비트모빅》이 있다.
지은이 : 김유정
중국 남경사범대학교에서 대외한어(제2외국어로서의 중국어)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2년간 고등학교에서 중국어 교육을 담당하며 중국어 교과서 4권과 다수의 교재를 집필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했다. 교사 연수, 수업 개선 선도교사, 수업 지원단, 교육정책 네트워크 모니터단 등의 활동을 통해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감표창(2023년)과 교육부장관 표창(2025년)을 수상했다. 동서양 문화와 언어 연구를 바탕으로 화폐 질서의 철학적 전환으로 영역을 확장하고자 한양대학교 비트코인 화폐철학 최고위과정을 수료했으며, 현재 같은 대학원에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서문
Chapter 1. 비트코인이라는 새로운 규범
· 정의(Definition): 비트코인이라는 철학적 사건
정의의 한계와 오리너구리 | 비트코인, 정의를 무력화하는 존재
· 실체(Substance): 화폐의 본질은 무엇인가?
실물 없는 실재 | 희소성과 신뢰, 화폐현상의 역사적 교훈
· 가치(Value): 누구에게 어떤 조건에서 생겨나는가
노동 시간과 생산성의 응축물로서의 금 | 비트코인과 한계비용: 에너지로 구현된 노동 가치 | 가치는 누구에게, 어떤 맥락에서 작동하는가?
· 규범(Norm): 국가를 초월한 규범
자생적 규범으로서의 비트코인 | 비트코인은 놂이다
[한 걸음 더 1] 국가를 초월하는 법체계들
[한 걸음 더 2] 이중주권
[한 걸음 더 3] 카노사의 굴욕(The Humiliation at Canossa, 1077)
[한 걸음 더 4] 이중주권의 실험실: 미국 유타주와 모르몬 공동체의 자치 질서
[한 걸음 더 5] 주식과 비트코인: 자산버블과 정보의 비대칭
Chapter 2. 달러
· 달러 패권
브레턴우즈 체제 | 페트로달러 | 유로달러 시장의 부상과 글로벌 자본 흐름의 재편
· 달러 위기의 세계화
대인플레이션과 볼커 쇼크 | 남미의 ‘잃어버린 10년’ | 플라자 합의와 일본의 버블 경제 | ‘달러 문제의 외부화’ 구조와 그 지속성
· 달러 체제의 지정학적 해법
중국과의 데탕트와 골디락스 | ‘금융의 민주화’라는 신화
· 2008년 금융위기
시스템이 만들어낸 착각, 리먼의 붕괴 | 달러 패권의 역설과 비대칭적 금융 질서의 심화
· 중국의 자의식 팽창과 질서 도전
해결사 중국의 부상과 국가주의로의 전환 | 일대일로와 금융 주권 실험 | 문명적 대안의 붕괴와 신냉전의 서막
[한 걸음 더 1] 역사는 반복되는가? 스페인제국의 디폴트와 미국의 미래
[한 걸음 더 2] 수학의 실패와 인간의 본성: 금융공학의 맹신과 파생상품 시대의 그림자
[한 걸음 더 3] 선택압과 인간 집단의 진화
[한 걸음 더 4] 중국의 트릴레마
[한 걸음 더 5] 중국의 디지털 통화 전략
Chapter 3. 세계를 떠받치는 미국 국채
· 신뢰의 피라미드와 국채의 탄생
현대 금융의 신뢰 피라미드 | 담보의 전환과 통화의 진화
· 무위험 자산이라는 신화와 유동성의 기술
현대 금융 시스템의 구조 | 만기에 따른 국채의 종류 | 담보 거래와 유동성의 기술: 레포 | 금융 기준의 전환: LIBOR에서 SOFR로 | 신뢰의 역설: 위기 속에서 더 강해지는 약속
· 구조적 균열과 새로운 담보 실험
레포 거래의 양면성: 레버리지와 유동성 위기 | 국채에 대한 구조적 신뢰 약화 | 새로운 담보 실험: 비트코인과 탈중앙 신뢰의 가능성
[한 걸음 더 1] 한국에서 자동차를 할부로 살 때도 레포를 이용한다
[한 걸음 더 2]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서의 비트코인: 미국의 새로운 부채 관리 시나리오
Chapter 4. 탈달러 흐름과 미국의 역습
· 달러의 무기화와 금융 제재 시스템
달러의 권력화와 금융 제재 | SWIFT, 중립적 인프라에서 지정학적 무기로
· 역설적 반작용과 탈달러화 실천
달러 리스크 인식의 확산 | 제재에 대한 반작용: 탈달러 질서의 부상
· 디지털 달러 패권의 반격
스테이블코인의 기술적 진화와 글로벌 확산 | 디지털 달러화 전략과 스테이블코인의 제도화
[한 걸음 더 1] SWIFT 메시지 보안과 이종간 통화 메시지 예시
[한 걸음 더 2] SWIFT 망과 안전한 메시지로서의 화폐
[한 걸음 더 3] 테더사의 수난과 영광의 서사
[한 걸음 더 4] 크립토와 자금세탁: 디지털 가명성과 규제 권력의 충돌
[한 걸음 더 5] 양적완화와 인플레이션 그리고 스테이블코인
Chapter 5. 세계체제라는 패치워크
· 단일 질서의 환상과 세계 질서의 실상 228
힘의 균형이라는 세계 질서 | 빈 체제: 패권 없는 질서의 실험
· 균형의 철학과 미국 질서의 기원
미국의 재설계: 1945년 질서의 제도화 | 제도화된 패권: 경제와 안보의 이중 설계 | 안정의 조건: 핵 억지와 상호의존성
· 관대한 제국의 피로
미국에 ‘No’라고 말할 수 있는 유럽의 대두 | 유럽 무임승차에 대한 불만과 트럼프의 등장 | 제국 없는 세계의 도래?
[한 걸음 더 1] 유로화 실험의 교훈과 달러라이제이션
Chapter 6. 중립적 화폐
· 기축통화의 역설과 제도화의 실패
트리핀 딜레마와 달러 패권의 구조적 모순 | SDR의 탄생 | 기획된 중립 통화의 한계
· 자생적 질서와 탈영토 통화의 진화
유로달러의 기원과 규제 회피의 금융 질서 | 그림자 통화와 ‘지배 없는 지배’
·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 기술이 만들어낸 중립성
유로달러 이후의 전환점: 비트코인의 기술적 상상력 | 디지털 유로달러의 부상: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와 계보 | 지정학적 전략 자산으로서의 스테이블코인 | 비트코인 시대, 새로운 힘의 균형
[한 걸음 더 1] 기축통화국의 숙명: 수식으로 풀어보는 트리핀 딜레마
[한 걸음 더 2] 중상주의와 경제적 합리성의 대립
Chapter 7. 프로그래머블 머니
· 비트코인 장부혁명: 기술이 질서가 될 수 있는가?
장부의 혁명과 신뢰 구조의 전환 | 기술로 구현된 규범, 신뢰 없는 신뢰
· 계약의 자동화와 제도의 재편
이더리움과 스마트 콘트랙트의 탄생 | 제도로서의 이더리움 생태계 | 속도 중심 블록체인 3.0의 도전
· 신뢰의 구조를 다시 쓰는 금융 실험
자동화된 계약, 보험을 다시 설계하다 | 오라클과 신뢰의 인프라
· 멀티체인과 토큰화된 세계
비트코인 맥시멀리즘 vs. 멀티체인 | 아토믹 스와프: 멀티체인 생태계의 핵심 연결고리 | 모든 자산의 토큰화: 래리 핑크의 비전 | 에르난도 데 소토의 통찰과 개발도상국의 ‘죽은 자본’을 살리는 토큰화 |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아토믹 스와프: 새로운 금융 질서의 촉매제
· 비트코인의 철학, 질서를 재편하다
기술로 재구성된 담보의 탄생 | 비트코인은 비트코인을 넘어서는 생태계다
[한 걸음 더 1] 블록체인 트릴레마와 각 블록체인의 선택
[한 걸음 더 2] 단순성과 안정성의 철학: 왜 비트코인은 ‘허술함’ 속에서 견고한가?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