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영랑
전라남도 강진의 부유한 집안에서 장남으로 태어난 김영랑의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본명은 김윤식金允植이다. 영랑永郞은 아호인데 《시문학詩文學》에 작품을 발표하면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1915년 강진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혼인했으나 불과 1년 반 만에 부인과 사별했다. 그 후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영어를 공부하고 1917년 휘문의숙徽文義塾(후에 ‘사립휘문고등보통학교’로 개칭)에 입학하여 문학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때 휘문의숙에는 홍사용, 안석주, 박종화 등의 선배와 정지용, 이태준 등의 후배, 그리고 동급반에 화백 이승만이 있어서 문학적 안목을 키우는데 직간접으로 도움을 받았다.휘문의숙 3학년 때인 1919년에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 강진에서 거사하려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6개월간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아오야마[靑山] 학원 중학부를 거쳐 같은 학원 영문학과에 진학했다. 이 무렵 독립투사 박렬, 시인 박용철과도 친교를 맺었다. 그러나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 후 고향에 머물렀다. 1925년에 개성 출신 김귀련과 재혼했다. 광복 후 은거생활에서 벗어나 사회에 적극 참여하여 강진에서 우익운동을 주도했고, 대한독립촉성회에 관여하여 강진대한청년회 단장을 지냈으며, 1948년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낙선했다. 1949년에는 공보처 출판국장을 지냈으며, 평소 음악에 대한 조예가 깊어 국악이나 서양 명곡을 즐겨 들었고, 축구와 테니스 등 운동에도 능하여 비교적 여유 있는 삶을 영위했다. 9·28수복 하루 전인 9월 27일 길에서 유탄에 맞아 세상을 떠났다.저서로는 <내 마음 아실 이>, <가늘한 내음>, <모란이 피기까지는> 등의 작품이 실린 《영랑시집永郞詩集》(1935)과 《영랑시선》(1949), 유고시집 《모란이 피기까지는》(1981) 등이 있다.
1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 / 돌담에 소색이는 햇발같이 / 어덕에 바로 누워 /
뉘 눈결에 쏘이었소 / 누이 마음아 나를 보아라 / 눈물에 실려 가면 /
쓸쓸한 뫼 앞에 / 꿈 밭에 봄 마음 / 님 두시고 가는 길의 / 허리띠 매는 시악시 /
풀 위에 매적지는 / 좁은 길가에 무덤이 하나 / 밤사람 그립고야 /
숲향기 숨길을 가로막았소 / 저녁 때 저녁 때 / 무너진 성터 / 산골을 놀이터로 /
그 색시 서럽다 / 바람에 나부끼는 깔잎 / 뻘은 가슴을 훤히 벗고 /
다정히도 불어오는 / 떠날러 가는 마음의 / 그밖에 더 아실 이 / 뵈지도 않는 입김의 /
사랑은 깊으기 푸른 하늘 / 미움이란 말속에 / 눈물 속 빛나는 보람과 / 밤이면 고총 아래 /
빈 포케트에 손 찌르고 / 제 곡조만 마저 / 향내 없다고 / 어덕에 누워 /
푸른 향물 흘러버린 / 빠른 철로에 조는 손님아 / 생각하면 부끄러운 일이여라 /
온 몸을 감도는 / 제야(除夜) / 하늘갓 닿는데 / 그대는 호령도 하실 만하다 /
아파 누워 혼자 비노라 / 가늘한 내음 / 내 마음을 아실 이 / 시냇물 소리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불지암 서정(佛地菴 抒情) / 물 보면 흐르고 /
강선대(降仙臺) 돌바늘 끝에 / 사개 틀린 고풍의 툇마루에 / 마당 앞 맑은 샘을 /
황홀한 달빛 / 두견 / 청명
2
오월 / 호젓한 노래 / 연 Ⅰ / 수풀 아래 작은 샘 /
놓친 마음 / 달맞이 / 발짓 / 독(毒)을 차고 / 연 Ⅱ / 한 줌 흙 / 언 땅 한 길 / 집 / 북 /
묘비명 / 오월 아침 / 망각 / 행군 / 겨레의 새해 / 천 리를 올라온다 / 바다로 가자 /
춘향 / 우감(偶感) / 새벽의 처형장 / 어느 날 어느 때고 / 못 오실 님이 /
거문고 / 가야금 / 강물
작가 소개 | 순수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작가 연보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