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장유정
노래하는 (대중)음악사학자로 알려진 장유정은 현재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이자 문화예술대학원 원장이다. 200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2009년 인천문화재단이 주최한 '플랫폼문화비평상'에서 「유재하론(論)-사랑, 그 슬프고도 아름다운 이야기」로 음악 부문 상을 받았다. 강연과 공연을 결합한 렉처콘서트(Lecture Concert)로 전국을 돌며 대중과 만나고 있고, KTV 「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시절연가」의 진행자 등으로 방송을 통해 대중가요의 역사를 전하고 있다. 장유정은 2012년 으로 데뷔해 세 장의 정규 음반과 30여 곡의 디지털 싱글을 발표한 가수이기도 하다. 2014년 방문학자로 워싱턴대학교(미국 시애틀)에 다녀왔고, 한국대중음악학회 회장, 서울역사박물관 운영위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공연기획위원 등을 역임했다. 『오빠는 풍각쟁이야: 대중가요로 본 근대의 풍경』(민음in, 2006)을 시작으로 공저 포함 30여 권의 책과 9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장유정의 음악 정류장www.youtube.com/@장유정교수홈페이지https://eujeong.com/
지은이 : 고바야시 다카유키
1946년 일본 기후현(岐阜県) 출생. 교토대학(京都大学) 박사수료. 후쿠오카교육대학(福岡教育大学), 오카야마대학(岡山大学) 교수를 거쳐 현 오카야마대학(岡山大学) 명예교수.전문 분야: 사회학, 한국사회․문화.저서: 『현대 한국 사회학』(現代韓国社会学, 新泉社, 1988, 역저)『일본과 코리아․코리아와 일본』(日本とコリア・コリアと日本, 創言社, 1997)『변모하는 현대 한국 사회』(変貌する現代韓国社会, 世界思想社, 2000)논문: 「코리아의 근대화와 음악-그 1」(コリアの近代化と音楽―その1, 岡山大学, 『文化共生学研究』, 2005), 「일본 엔카와 한국 트로트 비교를 위한 기초적 관점」(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아시아문화연구』 47집, 2018.8) 등 다수.
지은이 : 민경찬
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음악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거쳐 동경예술대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책임연구원, 교육부 교과과정 심의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서울 문화예술 평론상, 일본 방송진흥기금 대상 및 특별상, 국가보훈처 보훈문화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본 한국근현대음악관 소장 자료 『근화창가』의 희귀성과 그 가치를 평택시에 알려 문화재 등록을 추천하고 자문한 바 있다. 주요 연구로는 『김순남 가곡전집』(편저, 1988), 『한국창가의 색인과 해제』(1997), 『한국작곡가사전 I, II, III』(공저,1999), 『우리양악 100년』(공저, 2001),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2006), 『동아시아와 서양음악의 수용』(공저, 2008),『문화예술운동』(공저, 2009), 「신편창가집과 라마자 신편창가집」(1995), 「보통학교창가서」(1995), 「보통학교보충창가집」(1996), 「김인식의 (교과적용) 보통창가집」(1997), 「홍난파의 통속창가집」(1998), 「이상준이 편찬한 신유행창가집」(2000), 「‘창가’를 다시 묻는다」(2008) 등이 있다.
지은이 : 이준희
노래를 찾는 사람, 노래로 역사를 쓰는 사람, 노래로 세상을 보는 사람. 한국 고전 대중음악 전공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관련 논저를 발표해 왔다. 〈남인수 전집〉, 〈이난영 전집〉 등 음반을 기획·제작했다. 옛가요사랑모임 '유정천리' 회장이며, 전주대학교 등에서 대중음악과 대중문화 강의를 이끄는 강사이기도 하다.
지은이 : 박진수
가천대학교 교수
지은이 : 박애경
연세대학교 교수
지은이 : 손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지은이 : 야마우치 후미타카
국립대만대학교 교수
지은이 : 와지마 유스케
오사카대학교 교수
지은이 : 천페이퐁
대만중앙연구원 연구원
지은이 : 황춘밍
대만국립정치대학교 부교수
지은이 : 김성민
훗카이도대학교 교수
1부 트로트와 공동체의 기억
창가(唱歌)란 무엇인가창가를 통해 본 한국의 근대 / 민경찬
트로트와 민중1980년대 민중문화운동권의 트로트에 대한 인식과 수용을 중심으로 / 박애경
IMF 외환위기의 트로트 악극, 문화적 기억을 재생하다 / 손민정
해방후 한국에서 ‘왜색가요’의 단속과 트로트의 탄생 / 야마우치 후미타카
2부 대중음악과 ‘전통’의 창조
동아시아 대중음악의 성립과 전개 / 고바야시 다카유키
‘엔카’와 ‘민요’의 관계를 재고하다사상제도실천 / 와지마 유스케
오아시스레코드가 빚어낸 트로트의 흐름과 변화 / 장유정
대만어 엔카가 걸어온 길교차하는 동아시아의 사회 변동과 가창 문화 / 천페이퐁
3부 횡단하는 대중음악
음반 자료로 본 재일한국인 대중음악 20년(1945-1965) / 이준희
내셔널리즘, 감정의 구조 그리고 중국에서의 대만 대중음악새로운 관점 / 황춘밍
뽕짝의 재범주화와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1990년대 일본의 이박사 현상을 중심으로 / 김성민
문화유산으로서의 한일 대중음악트로트, 엔카, 그리고 가요 / 박진수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