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시정곤
우리말과 우리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왔다. 말글 속에 숨어 있는 무한한 힘과 놀라운 질서의 세계에 매료되어 그 비밀을 찾는 연구자가 되었다. 대중들과 호흡하는 말글살이 연구를 지향한다. <국어의 단어형성 원리>(1994), <논항구조란 무엇인가>(2000), <우리말의 수수께끼>(2002), <한국어가 사라진다면>(2003), <북한의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2004),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이야기>(2006),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2006), <조선언문실록>(2011), <박승빈>(2015), <한글과 과학문명>(2018) 등의 저서를 냈으며, 현재 카이스트(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있다.
지은이 : 박영준
다양한 층위의 말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말의 신비함에 빠져 하루하루를 보내던 국어학자였다. 우리말의 역사에 대한 탐구와 우리말글의 대중화 작업에 매진하다가 안타깝게도 2007년 11월 작고했다. <명령문의 국어사적 연구>(1994), <관용어사전>(1996), <우리말의 수수께끼>(2002), <광고언어연구>(2003), <한국어가 사라진다면>(2003), <영어 공용화 국가의 말과 삶>(2004),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이야기>(2006), <광고언어론>(2006), <광고언어창작론>(2007) 등의 저서를 냈으며,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이 : 배희임
우리말의 문장과 의미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우리말 피동표현의 원리를 심층적으로 연구했던 국어학자였다. 국어학의 대중화에 관심이 많았으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매진하다가 영국에 교환교수로 가 있던 중 안타깝게도 2003년 6월 작고했다. <국어피동연구>(1988), <국어학개론>(2001) 등의 저서가 있고,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적용>, <중기국어의 격>, <중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재 연구>, <외국인의 학습 과정을 고려한 ‘한국어문법 학습사전’ 집필에 대한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배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머리말
제1 장 언어와 문화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문화 속에 살아 숨쉬는 언어
제2 장 말은 적게 해야 제 맛이다
우리말의 심리와 구조
제3 장 한국어, 관상 좀 봅시다
한국인의 시간과 숫자의 미학
제4 장 우리말에는 어떤 정서가 담겨 있을까?
한국인의 한과 신바람
제5 장 말에도 계급이 있고 예절이 있다
우리말의 계급과 의식
제6 장 종교와 언어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우리말에 스며있는 종교언어
제7 장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우리말의 어원과 갈래
제8 장 시대가 다르면 글쓰기도 다르다
사회 변화와 문자의 변화
제9 장 노랫말에는 우리말의 정서가 담겨 있을까?
한국인의 애환과 노래
제10장 욕쟁이 할머니가 그리운 까닭은?
상소리의 미학
제11장 말에도 성차별이 있다고요?
차별된 말과 평등한 말
제12장 말도 수입하고 수출을 한다고요?
들온 말과 나간 말
제13장 배꼽잡는 한국인의 유머감각과 언어감각
풍자, 해학, 말놀이
제14장 말도 옷을 입고 밥을 먹어야 산다
의식주 문화와 우리말
제15장 사회가 변하면 말도 변할까?
사회 변화와 말의 변화
제16장 사이버 공간에서 어떻게 대화를 나눠야 할까?
AI 시대의 바람직한 언어문화
더 읽을거리·더 볼거리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