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박상용(피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M.div를 마쳤고 현재 (사)1318상상발전소 대표를 맡고 있습니다.젊은 시절 10여 년간 순회찬양팀의 리더로 활동하며 500여 차례의 찬양집회를 이끌었습니다. 또 이후에 10여 년은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며 다양한 취약계층의 현실을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뛰면서 생각하자’를 모토로 현재 나에게 주어진 삶과 사명에 최선을 다하며 살던 중 청소년이 제 삶에 들어와 또다시 10여 년이 넘는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능력이 뛰어나서 오랜 시간 한곳에서 청소년공간을 이어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주변의 많은 분들의 협력과 청소년들에게 삶으로 다가가며 함께하고자 했던 마음이 지금까지 오게 했습니다.기술이 아닌 청소년과 함께하는 삶과 마음을 모두와 나누고 싶습니다.
지은이 : 김구연(잼마)
평범한 삶을 꿈꾸던 피아노쟁이였습니다. 그런데 청소년들을 보며 가슴이 뛰게 되었고 그 떨림을 안고 지금까지 청소년공간을 지키고 있습니다.1318상상발전소의 청소년휴카페를 실무적으로 운영하였으며, 새롭게 시작된 중랑구청소년커뮤니티공간 딩가동2번지와 4번지가 지역 내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운영하였습니다.‘재미있는 엄마’ 그리고 즉흥연주를 뜻하는 ‘Jam’을 따서 아이들과 재미있고 즉흥적으로 잘 어울리는 엄마라는 뜻을 가진 ‘잼마’라는 닉네임처럼 지금은 딩가동4번지 센터장으로 청소년들과 즐겁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추천사
특별한 감사
들어가는 글
1부. 한 칸의 상상, 지하 공간의 기적
1장. 상상이 자라는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 아무도 몰랐던 첫 시작의 기록
◦ 낡은 편견을 깨고, 빛나는 상상을 세우다
◦ 가방공장으로 사용되던 지하실의 변신
◦ ‘청소년의 손으로 만든’ 마법 같은 공간
◦ 상상을 믿는 사람들: 중랑 마을 사람들
◦ 기적을 만들다
─ 함께 키우는 청소년/지역이 만드는 청소년공간
2장. 공간이 청소년에게 말을 걸다!
◦ 청소년공간의 본질, ‘비움’과 ‘그냥’의 가치
◦ 눈에 보이지 않는 진짜 가치
◦ 공간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 될 수 있을까?
◦ 여기 뭐 하는 곳이에요?
◦ 8시 30분의 아이
─ 문을 여는 용기 “그냥 왔어요”
◦ 청소년들의 두 번째 집, 1318상상발전소
◦ 내 생각을 내려놓을 용기
◦ 청소년을 위한 공간이 아닌, 청소년의 공간
3장. 주인공이 아닌 청소년은 없다
◦ 한 사람에 대한 관심, 모든 것의 시작
◦ 이름을 불러 준다는 것
◦ “그 아이, 요즘도 잘 웃어요?”
◦ 아들딸이 생겼다
─ 가정이 해체된 친구에게 부모가 되어 주는
◦ 진짜 언덕이 되어 준다는 것은
◦ 한 사람에 집중하면, 열 명이 변한다
◦ 양육의 원칙
◦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따뜻한 무관심’
2부. 변화와 성장 이야기
4장. 성장을 위한 방향은
◦ 실패를 응원하는 사람들
◦ “나도 해 볼까?”라고 말하기까지
5장. 신나는 작당모의
◦ 결과가 아닌 과정의 소중함
◦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시작
─ 청소년이 공간의 주인공이 되는 순간
◦ 존중과 배려가 있는 진짜 민주주의
◦ 상상이 현실이 되는 청소년운영위원회
◦ 어, 이게 된다고?
◦ 2열에 있는 청소년을 주인공으로
6장. 한마디 말도 흘려보내지 않고 기억하는
◦ 음악 프로그램의 시작
◦ 밴드를 결성하고 공연까지
◦ ‘할 수 있을까?’에서 ‘할 수 있네’까지
◦ ‘나를 믿지 않던 나’와 ‘나를 응원하는 모두’ 사이
◦ ‘누군가 나를 응원했다’는 기억이 삶을 바꾼다
7장. 스스로캠프, 혼자에서 함께로
◦ 진짜 나를 찾는 과정의 기록
◦ 해 보고 싶다는 ‘말 한마디’
◦ 나의 말이 현실이 되는 순간
◦ “처음엔 낯설었어요”
8장. 학교밖청소년 이야기
◦ 누구나 교육받을 권리가 있다
◦ 다양한 이유로 학교 밖에 있게 된 청소년, 그러나 교육은?
◦ 징검다리 대안교육
3부. 함께 가는 공동체: 서로가 언덕이 되어
9장. 청소년에서 어른으로, 그러나 마음은 여전히 그곳에
◦ 졸업한 아이들이 돌아왔다
◦ “제가 그때 받았던 걸 이제 후배들에게 나누고 싶어요”
─ 자원봉사자에서 강사로, 그리움이 되어 버린 책임감
◦ 공간을 만들던 아이가, 공간을 지키는 사람이 되다
◦ 스무 살 청년이 된 그들이 전한 말
─ “고마웠어요, 그래서 남았어요”
◦ 아이러니
─ 사랑이 꼭 사랑으로 돌아오지는 않는다
4부. 다시, 상상을 시작하며
10장. 1318상상발전소가 남기고 싶은 것
◦ 한 사람의 가능성을 믿는다는 것
─ 우리는 무엇을 꿈꾸는가?
◦ 편한 길을 따르지 않고 힘든 길을 찾는 노력
◦ 매일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 1318 이후를 꿈꾸며
11장. 청카 쌤들의 이야기
◦ 있는 그대로 빛나는 너희를 기다려!
◦ 소란한 자유, 존재하는 우리
◦ 쉼과 성장이 공존하는 곳, 청소년공간의 특별함
◦ ㅇㅅㅇ 표정으로 시작된 이야기
◦ 꺼지지 않는 작은 촛불을 꿈꾸며
부록
1장. 1318상상발전소 연혁
2장. 청소년공간을 만들기 위한 제언
3장. 청소년과 함께 만드는 방법(자치활동)
4장. 소규모 청소년공간의 이해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