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과거 조선으로부터 러시아로부터 버려진 고려인들의 디아스포라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시인은 과거 고려인이 걸었던 강제이주의 길, 6,400킬로미터라는 멀고 험한 고난의 길을 따라 그들의 핍진한 삶을 추적한다.
이 시집을 읽는 독자라면 누구든 세 번 읽게 될 것이고 세 번 울 것이다. 인간이 만들어낸 야만 그 참담함에 울 것이고, 그 참담을 끝끝내 이겨낸 인간의 의지에 울 것이고 그리고 이러한 시를 읽었다는 벅찬 감동으로 울 것이다.
출판사 리뷰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우리 역사의 가장 슬프고 아픈, 이방의 삶들
― 김윤배 시집 『디아스포라의 발자국 ― 러시아 시편』
김윤배 시인은 1986년 『세계의 문학』으로 문단 생활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줄곧 전통 서정에 기반한 민중의 삶과 애환이 담긴 미시 역사를 다뤄온 김윤배 시인이 신작 시집 『디아스포라의 발자국 ― 러시아 시편』을 펴냈다. 달아실시선 100번으로 나왔다.
<달아실시선>은 2017년 이홍섭 시인의 『검은 돌을 삼키다』를 1번 시집으로 시작한 이래 8년 동안 엄선한 99권의 시집을 꾸준히 발간하여 지역 문단을 대표하는 시선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이번 김윤배 시인의 시집 『디아스포라의 발자국 ― 러시아 시편』으로 달아실시선 100번째 시집이 채워진 것이다.
<달아실시선>을 처음 기획하고 지금까지 꾸려온 박제영 시인(달아실출판사 편집장)은 달아실시선 100번째 시집으로 김윤배 시인의 시집을 내기까지 얽힌 사연을 이렇게 이야기한다.
“2017년 이홍섭 시인의 시집 『검은 돌을 삼키다』를 시작으로 만 8년 만에 달아실시선 100번째 시집을 내게 되었습니다.
100번째라는 숫자가 지닌 무게가 얼마나 무거운지 독자들은 잘 모를 겁니다. <달아실시선>을 기획하고 꾸려온 저로서는 감회가 남다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달아실시선>의 100번째 시집으로 김윤배 시인을 모실 수 있어서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습니다.
김윤배 시인은 1986년 문단에 나온 이래, 오직 민중의 삶과 애환을 추적하고 그리는 데 시력을 다해온, 걷고 또 걸어 온몸을 끄을고 포월의 시를 살아낸 그런 시인입니다.
이번 시집도 그의 시가 어디를 지향하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무도 기억하지 않지만 여전히 진행 중인 고려인들의 이야기, 그 고난의 삶을 풀어내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저 먼 이국의 고려인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이곳 바로 우리의 이야기임을 보여줍니다.
마지막 페이지를 덮는 순간 하염없이 먹먹해지고 마는 그런 시집이 있습니다. 김윤배 시집 『디아스포라의 발자국 ― 러시아 시편』이 그렇습니다.”
그리고 표4를 이렇게 적고 있다.
“김윤배의 시집 『디아스포라의 발자국 ― 러시아 시편』은 과거 조선으로부터 러시아로부터 버려진 고려인들의 디아스포라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시인은 과거 고려인이 걸었던 강제이주의 길, 6,400킬로미터라는 멀고 험한 고난의 길을 따라 그들의 핍진한 삶을 추적한다.
이 시집을 읽는 독자라면 누구든 세 번 읽게 될 것이고 세 번 울 것이다. 인간이 만들어낸 야만 그 참담함에 울 것이고, 그 참담을 끝끝내 이겨낸 인간의 의지에 울 것이고 그리고 이러한 시를 읽었다는 벅찬 감동으로 울 것이다.
고려인, 조국으로부터 버려졌지만 끝끝내 살아남은 사람들, 그들은 기민(棄民)이 아니라 초인(超人)이었다.”
김윤배 시인은 이번 시집을 <시인의 말>을 통해 이렇게 이야기한다.
“광활한 대지를 건너며 나는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었다. 마음이 대지를 껴안고 있었던 것이다. 마음이 강물을 껴안고 있었던 것이다. 마음이 자작나무숲을 껴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 시편들은 지금도 내 마음이 머물고 있는 대지의 이야기다.”
저기 아무르만,
해안을 지우며 몰려오는 두려움 같은 거
고국은 멀리 있고
두어 벌 옷은 오래전에 낡았다
혹 경성이나 함흥 사람 만날 수 있을지 하던
설렘도 아무르만에 이르러
붉어지는 눈빛이었다
어제는 우수리스크 한국역사관 뜰에서
검은 흙을 고르는 북쪽 사람 굳은 손바닥을 잡았다
따스한 체온이 넘어왔다
노역의 시간이 흐르면
그도 지독한 안개 속으로 길을 찾아 나설 것이다
아무르만의 안개는
단호하고 완벽하게 사람들 가슴을 덮친다
그 후
모든 길이
모든 침엽수림이
모든 색깔이 사라지고
안개의 도시가
안개의 바다가
안개의 하늘이 세워진다
마침내
안개의 말들
세상을 가득 채운다
― 「안개」 전문
개인의 심사와 서정을 다룬 고만고만한 시집들이 도토리 키 재기 하듯 도처에 널린 것이 요즘의 형편이다. 그런 가운데 김윤배의 시집이 우뚝 서 있다. 이런 시집은 읽기에 불편하고 감당하기에 힘들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인간은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 세상이란 나와 당신이 그리하여 우리가 함께 더불어 만들어가는 숲이다. 김윤배의 시에 유독 자작나무 숲이 자주 등장하는 데에는 그런 까닭도 있지 않을까. 그러니 불편하더라도 일독하기를 권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윤배
1944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 『세계의 문학』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문단 생활을 시작했다. 시집 『겨울 숲에서』 『떠돌이의 노래』 『강 깊은 당신 편지』 『굴욕은 아름답다』 『따뜻한 말 속에 욕망이 숨어 있다』 『슬프도록 비천하고 슬프도록 당당한』 『부론에서 길을 잃다』 『혹독한 기다림 위에 있다』 『바람의 등을 보았다』 『마침내, 네가 비밀이 되었다』 『언약, 아름다웠다』 『그녀들의 루즈는 소음기가 장착된 피스톨이다』 『내가 너를 사랑한다고 고백했던 말은』, 장시집 『살아남은 사람들, 시베리아 횡단열차』 『사당 바우덕이』 『시베리아의 침묵』 『저, 미치도록 환한 사내』, 산문집 『시인들이 풍경』 『최울가는 울보가 아니다』, 평론집 『김수영 시학』, 동화집 『비를 부르는 소년』 『두노야 힘내』 등을 냈다.
목차
시인의 말
1부 신한촌의 봄
신한촌의 봄
마방馬房의 기억
라즈돌로니예역
수이푼강은 문신을 남긴다
안개
소실점을 보았다 말해야 한다
알혼의 별
발틱해
연가
애기똥풀꽃의 영혼
엉겅퀴꽃
질문
2부 바이칼 눈빛
예니세이강
나타샤
노보시비리스크역
덫
바이칼 눈빛
볼가강
백야
늪
대지
순백의 영혼
밤 차창으로 보았던 붉은 꽃
나무다리 아래서의 생각
언약
3부 코카서스의 겨울
종지기
붉은 내가 붉은 나를
죄에 끌리다
코카서스의 겨울
네바강
앨버트로스의 날개
블라디보스토크항의 저녁 한때
바람의 기억
검은 흙 한 줌
천산산맥을 넘었다
4부 리까제리나
박 헬렌
광장시장
낮달
리까쩨리나
루바
김 예브게니야 여사
정착지
아무르강
우랄산맥은 배반이다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다
아바이에서
마지막 밤
저기, 달빛이
5부 묘지의 적막
이륙
묘지의 적막
폐철선
이르쿠츠크의 반역들
율라츠크 통나무집
8월의 이르쿠츠크역
타이가역
아무르강 교각에 문신 있다
레나강
타이셰트역
만찬
쑥
까라따우강에 잠긴 천산산맥
데레 계곡의 햇살
여파
여름 코스모스
수즈달에서의 하루
시인의 산문
범독泛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