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중세 말, 교회는 영적 공동체의 울타리를 넘어 정치와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거대 권력으로 비대해졌다. 그 결과 신앙은 본질을 잃고 형식으로 굳어졌으며, 민중의 삶은 성직의 부패와 권력의 폭주 속에서 고단해졌다. 『신구교 30년 전쟁의 내막: 타락한 신앙에서 인간의 자유로』는 바로 그 균열의 심연을 직시한다. 교황권의 세속화와 성직매매, 면죄부 논란으로 대표되는 중세 말 교회의 타락을 촘촘히 더듬고, 위클리프·루터·칼빈으로 이어지는 개혁의 사슬이 어떻게 개인의 양심과 자유, 그리고 공동체 윤리의 회복으로 나아갔는지를 역사적 서사와 사상사적 분석으로 풀어낸다.
출판사 리뷰
중세 말, 교회는 영적 공동체의 울타리를 넘어 정치와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거대 권력으로 비대해졌다. 그 결과 신앙은 본질을 잃고 형식으로 굳어졌으며, 민중의 삶은 성직의 부패와 권력의 폭주 속에서 고단해졌다. 『신구교 30년 전쟁의 내막: 타락한 신앙에서 인간의 자유로』는 바로 그 균열의 심연을 직시한다. 교황권의 세속화와 성직매매, 면죄부 논란으로 대표되는 중세 말 교회의 타락을 촘촘히 더듬고, 위클리프·루터·칼빈으로 이어지는 개혁의 사슬이 어떻게 개인의 양심과 자유, 그리고 공동체 윤리의 회복으로 나아갔는지를 역사적 서사와 사상사적 분석으로 풀어낸다.
저자는 30년 전쟁을 단순한 교파 간 무력 충돌이 아니라, '신앙의 본질을 되묻는 근대의 문턱'으로 해석한다. 전쟁의 잿더미 위에서 체결된 베스트팔렌 조약은 유럽 질서의 재편이자, 신앙의 권위가 외적 제도에서 개인의 내면으로 이동하는 분수령이었다. 이 책은 교황권의 붕괴 조짐, 수도원의 타락, 예배의 형식화가 어떻게 민중의 불신과 사상의 전환을 이끌었는지, 그리고 인문주의와 이성의 부활이 어떤 방식으로 개혁의 불씨를 키웠는지를 시대의 맥락 안에서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서술의 강점은 도덕·신학·정치가 뒤엉킨 복합갈등을 '인간 본성의 회복'이라는 큰 질문으로 수렴시키는 데 있다. 저자는 이기적 신앙과 권력의 결탁이 낳은 폭력을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타적 인간성의 가능성을 역사 속 실천과 제도 변화에서 찾아낸다. 신앙을 권위의 도구가 아니라 개인의 성찰과 공동선의 동력으로 재정의하는 이 관점은, 오늘의 독자에게도 왜 종교개혁이 여전히 현재형의 과제인지를 설득력 있게 환기한다.
『신구교 30년 전쟁의 내막』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 신정에서 시민으로의 전환, 형식적 의식에서 양심의 자유로의 이동을 따라가며, '신앙의 인간화와 인간의 신성화'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종교사·사상사에 관심 있는 독자는 물론, 권력과 도덕, 자유와 공동체의 관계를 다시 사유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촘촘한 사료 읽기와 사유의 방향타를 제공하는 해설서다.
"중세 시대에 교회는 단순한 종교 기관을 넘어 사회와 정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권력으로 변모하였다. 교황권의 세속화와 만연한 부패는 신앙의 본질을 근본적으로 훼손하고, 귀족과 교회 간의 협력 관계를 통해 자기 중심적인 신앙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신학적 타락의 문제를 넘어, 당시 사회의 서민들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투사하여 그들의 삶을 침울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교회의 부패와 신앙의 왜곡이 서민의 일상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종교개혁의 필요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그 당시 마르틴 루터와 존 칼빈 같은 종교개혁자들은 이러한 종교적 부패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사람들에게 내면의 신앙을 회복할 것을 촉구하고, 구원의 과정이 개인의 선택과 윤리적 성찰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목차
프롤로그 / 5
1부. 타락한 신의 대리자 - 교황권의 붕괴 / 9
1장. 신의 대리자에서 세속의 군주로 / 11
2장. 금욕의 신앙과 인간성의 소멸 / 26
3장. 봉건체제와 교회 - 권력의 이중구조 / 41
4장. 이성의 부활 - 인문주의의 태동 / 55
5장. 신앙의 재정의 - 복귀섭리의 단절 / 70
2부. 성경의 언어로 - 개혁의 불씨 / 85
6장. 위클리프 - 첫 불꽃 / 87
7장. 루터 - 면죄부의 반역자 / 101
8장. 쯔빙글리와 칼빈 - 개혁의 조직화 / 115
9장. 신앙의 자유와 권력의 탄압 / 129
10장. 민중의 신 - 고통의 시대 / 144
3부. 피의 전쟁 - 신구교 30년 전쟁 / 159
11장. 전쟁의 서곡 / 161
12장. 종교와 정치의 경계 붕괴 / 175
13장. 민중의 고통 - 전쟁 아래의 삶 / 189
14장. 베스트팔렌 조약 - 신앙의 균형과 분할 / 203
15장. 신앙의 재편 - 근대의 문턱 / 217
4부. 인간의 복귀 - 신앙에서 자유로 / 233
16장. 신앙의 세속화와 근대의 출현 / 235
17장. 종교와 문명 - 문명적 진보의 동력으로서의 신앙개혁 / 249
18장. 종교의 본질 - 신의 이름으로 무엇을 믿는가 / 263
19장. 인간의 본성 - 이기에서 이타로 / 278
20장. 복귀섭리의 완성 - 신앙의 인간화, 인간의 신성화 /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