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실전 역술실록-역술학 대가들의 일대기』는 단순한 역술 이론서가 아니라, 역술학의 근간을 이룬 사람들의 삶과 사유를 기록한 책이다. 저자는 역술학의 이론과 체계를 세운 선각자들의 진솔한 인간적 면모를 조명하며, 학문이란 결국 인간의 삶 속에서 피어난 사유의 꽃임을 강조한다.
책에는 소강절, 귀곡자, 서자평 등 고대 중국의 전설적 인물부터 명·청대의 임철초, 진지린, 위천리, 그리고 한국의 토정 이지함과 심곡 김치 선생까지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그들의 학문적 여정은 “학문은 고독 속에서 완성된다”, “학문은 시대와 함께 호흡한다”, “학문은 사람을 위한 것이다”라는 세 가지 교훈으로 귀결된다.
저자는 역술학을 단지 과거의 학문으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삶 속에서도 여전히 숨 쉬는 지혜로 바라보며,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나는 내 삶을 어떻게 해석하고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길 제안한다.
출판사 리뷰
이번에 출간하는 열 번째 저서 『실전 역술실록-역술학 대가들의 일대기』는 단순히 학술적 체계나 기술적 방법론을 서술한 책이 아니다. 이 책은 ‘사람’에 관한 진솔함을 담은 책이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역술서는 이론과 사례 중심으로 쓰여 있다. 그러나 그 이론을 정립하고,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 한 길을 개척해온 선각자들의 삶은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어 왔다. 나는 이 부분을 반드시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학문은 곧 사람의 사유와 삶 속에서 피어난 소중하고 아름다운 꽃이기 때문이다.
『실전 역술실록-역술학 대가들의 일대기』에는 고대 중국의 소강절(邵康節), 귀곡자(鬼谷子), 서자평(徐子平) 같은 전설적 인물부터, 명․청대의 임철초(任鐵樵), 진지린(陳之潾), 위천리(魏天里)와 같은 실증적 학자들, 그리고 우리나라의 토정 이지함, 심곡 김치 선생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이 책에 실린 역술학 대가들의 삶은 독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중요한 교훈을 전해줄 것이다.
첫째, 학문은 고독 속에서 완성된다.―수많은 대가들은 세상의 비난과 오해 속에서도 꿋꿋이 자신의 길을 걸어갔던 것이다.
둘째, 학문은 시대와 함께 호흡한다.―그들의 이론은 추상적인 체계가 아니라 당대의 사회 문제와 항상 연관되고 맞닿아 있었던 것이다.
셋째, 학문은 사람을 위한 것이다.―진정한 역술학의 목적은 권력이나 명예를 추구함이 아니라, 사람들의 진솔한 삶속에서 희로애락을 밝히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책은 단순한 역술학 대가들의 전기 모음이 아니다. 독자들께서는 각 인물들의 삶과 사상과 철학을 접하며, 스스로에게 진솔하게 물어보기를 바란다.
“나는 나의 삶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
역술학은 과거의 학문이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삶 속에서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지혜이다.
목차
서문
삼식(三式, 기문둔갑․태을수․육임신과) 황제 헌원씨
귀곡비결(鬼谷秘訣) 귀곡자(鬼谷子)
삼명소식부(三命消息賦) 낙녹자(珞琭子)
황석공비결(黃石公祕訣) 장량(張良)
동방삭기문(東方朔奇門) 동방삭(東方朔)
경방역전(京房易傳) 경방(京房)
기문둔갑전서(奇門遁甲全書) 제갈량(諸葛亮)
관씨역법(管氏易法) 관로(管輅)
태을신수(太乙神數) 유돈(劉惇)
둔갑만일결(遁甲萬一訣) 이정(李靖)
철판신수(鐵板神數) 이순풍(李淳風)
추배도(推背圖) 원천강(袁天罡)
과노성종(果老星宗) 장과로(張果老)
태을신수(太乙神數) 왕희명(王希明)
천일둔갑경(天一遁甲經) 이전(李筌)
당사주(唐四柱) 강도(姜度)
이허중명서(李虛中命書) 이허중(李虛中)
신서잡설(神書雜說) 두광정(杜光庭)
자미두수(紫微斗數) 진단(陳摶)
해섬산인비결(海蟾山人秘訣) 유해(劉海)
연파조수가(煙波釣叟歌) 조보(趙普)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소옹(邵雍)
연해자평(淵海子平) 서승(徐升)
자평법(子平法) 서거이(徐居易)
천관경(天官經) 야율초재(耶律楚材)
기문비규(奇門秘竅) 유병충(劉秉忠)
적천수(滴天髓) 유기(劉基)
왕씨육임집(王氏六壬集) 왕기(王機)
궁통보감(窮通寶鑑) 곽점(郭占)
팔자제요(八字提要) 위천리(魏天里)
대육임지남(大六壬指南) 진공헌(陳公獻)
토정비결(土亭秘訣) 이지함(李之菡
심곡비결(深谷秘訣) 김치(金緻)
삼명통회(三命通會) 만민영(萬民英)
명리약언(命理約言) 진지린(陣之潾)
태을복덕경(太乙福德經) 양유덕(楊愉德
기문현람(奇門玄覽) 모원의(茅元義)
기문정종(奇門正宗) 서하사(徐霞士)
기문법규(奇門法竅) 석맹서(釋孟樨)
자평진전(子平眞詮) 심효첨(沈孝瞻)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임철초(任鐵樵)
명리정종(命理正宗) 장남(張楠)
명리대의(命理大義) 원수산(袁樹珊)
명학강의(命學講義) 위천리(韋千里)
자평수언(子平粹言) 서락오(徐樂吾)
팔자심리학(八字心理學) 하건충(夏建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