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국립현대미술관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이후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이전하였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완공, 개관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1998년에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인 덕수궁미술관으로 개관하여 근대미술관으로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 11월 과거 국군기무사령부가 있었던 서울 종로구 소격동에 전시실을 비롯한 프로젝트갤러리, 영화관, 다목적홀 등 복합적인 시설을 갖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을 건립·개관함으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화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재건축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를 개관하여 중부권 미술문화의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지은이 : 박소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전공 교수이다. 미술사학, 박물관학, 문화예술정책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현재 미술사학연구회 회장, 한국박물관학회 편집위원,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과 연구』 편집위원, 국립한글박물관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한다. 저서로 『전쟁터로서의 미술관』(2012), 공저로 『문화의 미래에 대한 11가지 생각』(2025), 『김대중의 문화정치』(2024), 『이불-시작』(2021), 『키워드로 읽는 한국 현대미술』(2019), 『큐레이팅을 말하다』(2019), 『한국 문화현실의 지형들』(2019), 『레드 아시아 콤플렉스』(2019), 『사물에 수작 부리기』(2018) 등이 있다. 역서로 『모나리자 훔치기』(2010), 『고뇌의 원근법』(2009) 등이 있다.
지은이 : 천현득
과학의 발전을 철학적으로 성찰하는 한편, 성찰된 과학적 성취를 바탕으로 철학을 확장하는 데 관심을 가진 과학철학자이다. AI의 철학적·윤리적 쟁점들에 관심을 가지고 AI와 감정, 이해, 설명가능성, 투명성 등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교수이며, 서울대학교 AI연구원 AI ELSI센터의 센터장과 한국과학철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2020년 서울대학교 창의선도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고, 제5회 암곡학술상을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연구원,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과학철학센터 객원펠로우, 런던정치경제대학교 방문연구원을 역임했다. 한국과학철학회 총무이사와 『과학철학』 편집인, 한국분석철학회 총무이사, 한국인지과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지은이 : 언메이크랩
최빛나, 송수연으로 이루어진 콜렉티브이며, 기계의 인식 작용을 엉뚱하게 이용해 알고리즘의 집착을 아이러니, 우화, 유머로 바꾸어 놓는다. 특히 데이터셋, 컴퓨터 비전, 생성 신경망 위에 한국의 발전주의 역사와 기계학습의 추출주의적 성격을 교차시켜 사회의 공간적, 생태적 맥락을 드러내는 접근을 해왔다. 사변적인 데이터셋과 생성신경망의 오용을 통해, AI의 미래 예측적 본성을 비틀어 과거의 사건을 재조명하는 렌즈로 만드는 일련의 작업들을 발표하고 있다.
지은이 : 호루이안
동시대 미술, 영화, 퍼포먼스, 그리고 이론의 교차점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자 작가이다. 그의 연구는 강연, 에세이, 영화 등을 통해 세계화 시대의 다양한 통치 체제 속에서 노동, 기술, 자본의 관계를 탐구한다.
지은이 : 전유진
여성을 위한 열린 기술랩 운영자이자 작가로서 기술 문화의 다양성을 확장하기 위한 실천을 지속하고 있다. 주요 개인전으로 키네틱과 전자 기술을 결합한 사운드 설치를 중심으로 인체의 유한성과 기술에 대한 욕망을 다룬 《안티바디와 싸이킥에너지》가 있다. 2015년 홍민기와 서울익스프레스를 결성해 음악, 설치 미술, 무용에 서사적 요소를 결합한 다원예술 작업 〈언랭귀지드 서울〉, 〈나는 죽은 자와 함께 걷는다〉 등을 발표했다. 공공예술 프로젝트 《제로의 예술》(공동기획), 《저항하는 기술》 등을 기획했다. 공저로 『비판적 기술 읽기』, 『돌봄과 작업』 등이 있다. 출판 프로젝트 『펨텍톡』을 통해 기술을 비평하는 책과 글을 제작하고 있다.
지은이 : 임수영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미술사학자이자 큐레이터이다. 동아시아 근현대미술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와 국제교류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와 경희대에 출강하고 있다. 『Sculpture Journal』,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 등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 「시민예술학교: 1980?90년대 한국의 판화제작을 통한 집단적 실천」, 「수원을 통해 본 동아시아: 컴아트 그룹(1990-96)과 퍼포먼스의 축제화」가 출판 및 게재 예정에 있다. 《Walking Korea: Cut Pieces》(2024-25), 제14회 광주비엔날레(2023), 《먼 곳의 친구에게, 아프로-동남아시아 연대를 넘어》(2022) 등의 전시 기획에 참여했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미술사를 전공하고 런던대 코톨드 인스티튜트 오브 아트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논문으로 아방가르드 예술과 전후 한국사가 교차하는 맥락에서 이승택의 조각 실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지은이 : 이문석
시각문화 안에서 국가와 개인을 매개하는 사회적인 것이 어떻게 창출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글을 쓰고 기획을 한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매니저로 근무하고 있다. 전시공간 미학관 공동 운영(2021-24) 및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팀에서 프로젝트 매니저 및 어시스턴트 큐레이터로 근무하였다(2020-23). 기획자 박유진과 공동 기획 《Against the Dragon Light》(2019-)를 통해 동아시아의 사회참여 예술에 주목하는 워크숍 및 출판을 진행하고 있다.
지은이 : 나가타 코스케
일본 가나가와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이다. 사진, 무빙 이미지, 설치를 통해 자기와 타자, 자연과 문화, 신체와 환경 등 근대적 사고를 지탱해 온 이분법적 대립과 이 대립의 잠재적인 애매함을 탐구한다. 최근 식문화에 반영된 국가주의 및 정체성의 형성이나, 식사예절에 포함된 신체 기법과 권력 관계, 식재료 생산에서 일어나는 동식물에 대한 통제 등에 주목한 비디오 에세이와 퍼포먼스를 작업하고 있다. 주요 개인전으로 《먹다》(2020), 단체전 《에비스 영상제 2025 커미션 프로젝트》(2025),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등이 있다.
지은이 : 고아침
기술노동자 겸 번역가, 독립연구자로 활동하며 인공지능을 둘러싼 기술정치와 윤리, 데이터 정의, 비판적 기술 실천에 주목한다. 디지털 기술에 대한 애정과 환멸 사이에서 양가성을 조율하며 시민으로 잘 살고자 한다. 뉴욕 프랫 인스티튜트 정보대학원에서 머신러닝을 강의했고 현재 디지털 시민 광장 ‘빠띠’에서 공익데이터 부문 활동가를, 『AI 윤리 레터』에서 운영진 겸 필진을 맡고 있다.
지은이 : 캐슬린 딧지그
싱가포르 기반의 미술사학자이자 큐레이터이며, 현재 싱가포르 국립미술관의 큐레이터로 근무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관점에서 기술의 미술사를 연구하며 첨단 기술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기획한 전시로 《외교와 욕망: 싱가포르의 바수키 압둘라》(2025?26) 등이 있다.
지은이 : 라이언 호
싱가포르국립미술관의 혁신 및 경험 디자인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 미술관의 미래 경험 진화, 관객 참여 도구 개발, 아트테크 커미션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현재 싱가포르 현지의 기관들에서 신진 디자이너와 창의적인 문제 해결자들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이 : 이수연
2008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로 근무하고 있다. 학부에서 언어학을 전공했으며, 소통 도구로서의 이미지에 관심을 갖고 미술사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박사과정에서 디지털과 인터넷 기술이 변화시킨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의 시각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예술가가 당면한 정치·사회·경제적 상황과 새로운 기술의 만남이 시각적으로 해석·구현되는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기획한 전시로 《이강소:풍래수면시》(2024) , 《올해의 작가상》(2023), 《백남준 효과》(2022), 《프로젝트 해시태그》(2021), 《무브》(2012), 《소통의 기술: 안리 살라, 함양아, 필립 파레노, 호르헤 파르도》(2011), 《청계천 프로젝트》(2011), 《조용한 행성의 바깥》(2010) 등이 있다.
지은이 : 신진영
현대미술 프로듀서이다. 옵/신 페스티벌(2022)의 기술감독, 광주비엔날레(2020-21),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2016-20),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2013-16), 페스티벌 봄(2011-13)의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2019년 프로덕션 이니셔티브 아파랏/어스를 구축하여 유기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의 제작 환경을 다져나가는 데 관심을 두고, 기획·제작·협력 등을 이어가고 있다. 2023년부터 블랙박스 극장 공간서로를 운영하며 다양한 창작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지은이 : 아프사
아프사(Asian Feminist Studio for Art and Research, AFSAR)는 아시아 및 디아스포라 예술 실천가들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나누는 콜렉티브이다. 예술과 연구, 커뮤니티 실천의 교차점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집단적 예술 연구를 통해 초국가적 담론을 제안하고, 몸을 통한 경험을 지식으로 전환하는 실천을 이어오고 있다. ‘아시아’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영화 제작, 스터디 그룹 등을 통해 지역성과 디아스포라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들을 탐구해 왔다. 참여한 전시 및 행사로 《How to Hold Your Breath》(아시아아트비엔날레, 2024), 《Network for Empowerment, Solidarity, and Transregionality》(팔레드도쿄, 2024), 《Green Snake: Women-Centered Ecologies》(타이쿤, 2023?24) 등이 있다. 이번 공동출판 프로젝트에는 아프사 멤버 중 크리스티나 유나 고, 무니페리, 박유진, 서파가 참여했다.
지은이 : 미유
큐레이터이자 카셀 대학교/도큐멘타 인스티튜트의 예술 및 경제학 교수로, 예술의 사회, 경제, 정치적 조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다극화 세계의 예술』(2024)이 있다. 큐레이터로서 사회와 기술의 고대적·미래적 이미지들, 유라시아의 역사, 정치이론, 철학 사이에서 작업하고 있다. 《정말? 위기의 시대의 예술과 기술》(프레이머 프레임드, 2024), 《구름, 권력 그리고 장식》(CHAT, 2023), 《외로운 벡터》(싱가포르미술관, 2022), 제13회 상하이비엔날레(2020?21)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초국가적 비정부기구 ‘커먼 액션 포럼’에서 미디어 예술 및 기술 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으며, 베르그루엔 연구소 유럽 지부 펠로우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이 : 샤를 란드브뢰흐트
예술가이자 큐레이터, 교육자이다. 현재 암스테르담 스테델릭미술관의 연구 및 큐레토리얼 실천 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런던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에서 동시대 미술 큐레이팅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BAK 위트레흐트, 반아베미술관, 네덜란드 물질문화연구센터 등에서 여러 펠로우십을 수행했다. 『Open Arts Journal』, 『Small Axe Magazine』, 『ARC Magazine』, 『Uprising Art』, 『Metropolis M』 등 주요 미술 저널과 잡지에 글을 게재했다. 네덜란드 예술원의 회원이며, 저서로 『네덜란드계 흑인의 형성: 흑인 예술과 문화에서의 혼종적 존재』가 있다.
편집의 글
6 임수영, 채연, 「생산성 생성하기」
생산성 생성하기: 아시아의 생산성 정치와 기술 구조
16 호루이안, 「네트워크 국가, 국가적 네트워크 그리고 재현의 정치적 질서」
46 이문석, 「’한 지역’에서 ‘그 지역’으로 가기 위한 관광 가이드」
66 나가타 코스케, 「한번 꺾인 것들의 접목: <물 속의 불> 제작노트」
84 언메이크랩, 「기계의 우화들」
104 고아침, 천현득, 「대담: AI 윤리를 둘러싼 쟁점들─행위성, 투명성, 실천성」
124 전유진, 「잃어가는 것들」
142 캐슬린 딧지그, 라이언 호, 「아만다 헹의 <더 대화합시다>와 <은퇴한 싱걸>: 현대미술관의 AI 예술 커미션」
164 박소현, 「’미래’는 어떻게 기획·기각되었는가: 엑스포 ’67과 엑스포 ’70 사이」
190 이수연, 「인간스러운 작동 방식에 관하여」
208 신진영, 임수영, 「대담: 만드는 삶」
230 아프사(크리스티나 유나 고, 무니페리, 박유진, 서파), 「종말의 날: 낙오된 시간 여행자들의 타임캡슐」
246 미유, 「대련」
262 샤를 란드브뢰흐트, 『국립현대미술관 연구 × 스테델릭미술관 연구』 워킹그룹, 「라운드테이블: 스테델릭미술관의 정치적·주체적 지식 생산」
288 글쓴이 소개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