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장민지
경남대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지은 책으로『섹슈얼리티와 퀴어』, 『여자들은 집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난다』등이 있다.
지은이 : 정신영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학사, 프랫인스티튜트 회화 석사, 컬럼비아대학교 현대미술비평 석사, 서울대학교 미술교육협동과정 박사. 서울대학교미술관 수석학예사 및 연구부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건국대, 서울대,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객원연구원, 국제교류기금 박사논문과정 펠로 및 동경예술대학교 예술학과 객원학자로 활동했다. 미국에서 발간되는 Artforum의 한국 및 일본 전시 리뷰를 담당하고 있으며, ArtAsiaPacific지 편집위원이다.
지은이 : 양승욱
장난감, 동물, 무지개, 산책, 쓰레기를 좋아한다. 평소에는 프로 알바생, 가끔 전시할 때는 작가라고 불리는 생활을 하고 있다. 미술과 사진이라는 같은 듯 다르게 분류되는 장르 사이에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다. 소수자의 입장으로, 일상생활에 발생하는 수많은 의문점들을 다양한 방식의 작업으로 풀어내고 있다. 그동안 몇 권의 실패한 독립출판 사진집을 냈으며, 『사물의 기억법: TOYS』는 10여 년간의 장난감 사진을 모아 만든 사진집이다.
지은이 : 호규현
관심있는 것들에 점을 찍고 다니면 언젠가 한 폭의 그림이 되리라 믿는 연구자. 학부 때 심리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고 있다. 사람-집단-사회의 상호작용을 주로 연구하면서 어떻게 하면 서로를 더 존중할 수 있는 세상이 올지 찾고 있다. 「접촉 경험은 어떻게 사회적 소수자 집단을 지지하게 만드는가?」 외 다수의 연구를 진행했다.
지은이 : 전혜정
캐릭터를 연구하려던 마음이 사실은 ‘귀여운 것들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음을 자각한 이후, 감정과 감각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캐릭터와 시각문화 속 귀여움이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효과에 주목하며 활동하고 있다. 「뉴미디어 시대 아이돌 캐릭터의 탄생」(2023)을 비롯해 캐릭터와 귀여움을 주제로 한 연구를 이어오는 한편, YPC SPACE에서 ‘귀여움 연구 모임’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은이 : 조예진
디자인을 기반으로 전시 기획, 교육, 연구활동을 지속하며, 2017년부터 개인 스튜디오 키트(kit)를 운영하고 있다. ‘감각과 번역’, ‘배제 없는 경험의 공유’를 주제로, 인쇄 매체와 워크숍을 포함한 다양한 형식으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2009년부터 프로젝트 그룹 아마추어 서울(Amateur Seoul)을 공동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는 건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가르친다. ?
끝장나는 귀여움은 어디서 오는가 8
불평등의 미학: 귀여움과 힘의 논리 34
나는 소망한다, 나의 최애가 영원히 귀엽기를, 무해하기를, 그리고 영원히 닿지 않기를. 66
우리가 ‘물개 아저씨’를 잊을 수 없는 이유: 서브컬처 작품으로 살펴본 귀여움과 그로테스크 100
퀴여움(qute)에 대하여 124
작고 다정한 실천들 144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