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황광우
1958년 광주 출생. 1975년 고교 시절 박정희 독재정권에 반대하는 시위를 예비하다 투옥되었다. 검정고시를 거쳐 1977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였다. 1978년 6개 대학 연합 시위에 연루되어 군사법정에서 2년형을 선고받았다. 1980년 계엄포고령 위반으로 두 번째 제적을 당하면서 공장에 들어가 노동자의 길을 걸었다.1980년대 군부독재 치하에서 부조리한 현실에 맞섰던 곳에는 언제나 그가 있었다. ‘정인’이라는 필명으로 써낸 『소외된 삶의 뿌리를 찾아서』, 『들어라 역사의 외침을』은 시대의 나아길 길을 제시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1998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2002년 민주노동당 연수원장을 역임하였다.2003년 『레즈를 위하여』를 집필했고, 2006년 새로운 철학교양서의 비전을 제시한 『철학콘서트』를 집필했다. 2007년에는 『젊음이여,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를 출간했다.2007년 담양의 깊은 산속에서 쓰러진 이후 몸의 반신이 마비되었다. 2009년 전남대학교 철학과에 진학하여 소크라테스를 연구했으며 2013년 소크라테스의 삶을 정리한 『사랑하라』를 발간했다. 2015년에는 플라톤과 호메로스의 불화를 다룬 『철학의 신전』을, 2016년에는 조선의 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한 『역사콘서트』를 출간했다. 또한 2017년에는 윤한봉의 전기를 담은 『님을 위한 행진』을 집필했다. 지금은 광주에서 고전연구원을 이끌고 있다.
저자 : 홍승기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반독재 시위를 주도하다가 구속 및 제적을 당했다. 그 후 1985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했다. 인천 지역에서 노동운동을 하고, 「월간 사회평론 길」 편집장을 역임했다. 불혹의 나이라는 사십대에 들어 오히려 동서양 고전에 유혹을 받아 고전 공부를 시작했다. 그리고 지천명에서 이순을 향해가는 지금까지 공부와 집필을 멈추지 않고 있다. 『한국 철학 콘서트』를 썼으며 황광우와 『고전의 시작』(전 4권)을 공저했다.
자연과학 · 역사(24권 수록)
1부 역사와 지혜
1. 고대 그리스 조사보고서 헤로도토스 『역사』
2. 하늘의 뜻은 옳은가, 그른가 사마천 『사기』
3. 우리 역사는 단군신화에서 시작되었다 일연 『삼국유사』
4. 역사란 아와 비아의 투쟁이다 신채호 『조선상고사』
5. 인간은 자신이 만든 것만 안다 비코 『신학문의 원리』
2부 역사적 관점의 힘
6. 지나간 일을 징계하고 뒷근심이 있을까 삼가노라 유성룡 『징비록』
7. 가장 뜨거웠던 46년간의 기록 황현 『매천야록』
8. 국혼이 있으면 국백은 회복된다 박은식 『한국통사』
9. 역사가 정치적으로 악용되다 타키투스 『게르마니아』
10. 대하소설 같은 역사서 블로크 『중세사회』
3부 시대를 읽는 눈
11. 세상과 나는 모순되었다 김시습 『매월당집』
12. 조선 실학의 커다란 호수 이익 『성호사설』
13. 사는 마을을 가려야 한다 이중환 『택리지』
14. 임금이 하루하루 반성하다 정조 『일성록』
15. 시대를 앞선 진보적 사상 박제가 『북학의』
4부 과학의 혁명
16. 중세와 결별한 과학관 갈릴레이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
17. 근대 과학 혁명을 매듭짓다 뉴턴 『프린키피아』
18. 생물은 어떻게 진화하였는가? 다윈 『종의 기원』
19. 양자물리학을 등진 물리학자의 생명탐구 슈뢰딩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토마스 쿤 『과학 혁명의 구조』
5부 세계를 관찰하는 도구
21. 태생적 한계를 가진 실증주의 콩트 『실증 철학 강의』
22. 언어와 세계에 구조의 골격을 세우다 소쉬르 『일반 언어학 강의』
23. 사랑으로 하나가 되자 샤르뎅 『인간 현상』
24. 과학은 부분인가, 전체인가? 하이젠베르크 『부분과 전체』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