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3-4학년 > 역사,지리 > 한국사
Letters from Korean History 한국사 편지 영문판 1~5 세트 (전5권) 이미지

Letters from Korean History 한국사 편지 영문판 1~5 세트 (전5권)
책과함께 | 3-4학년 | 2016.05.02
  • 정가
  • 79,000원
  • 판매가
  • 71,100원 (10% 할인)
  • S포인트
  • 3,950P (5% 적립)
  • 상세정보
  • 18.8x23 | 3.255Kg | 1264p
  • ISBN
  • 9791186293461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출간부터 지금까지 어린이 역사책의 기본서로 350만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한국사 편지>를 영문판으로 펴냈다. 영어를 공부하는 독자, 외국인 친구들과 한국사를 공유하고 싶은 독자, 한국의 역사와 문화가 궁금한 외국인 독자까지. 이러한 독자들의 바람에 부응하여 오랜 기간의 준비와 번역, 감수를 거쳐 전5권으로 출간하였다.

<한국사 편지>는 엄마가 아이에게 편지를 보내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영문판 는 원서의 장점을 그대로 담되, 한국의 역사가 친숙하지 않을 영미권 독자들을 고려하여 편지글을 다듬고, 어휘를 조정하였다.

흥미를 돋우는 그림과 사진 자료를 크게 부각했던 각 장의 도입부는 주제를 담은 발췌문이 돋보이도록 간결하게 다시 디자인하였고, 어린이 독자를 위해 본문에 실었던 단어 한자 풀이를 삭제하고, 찾아보기의 단어에 한자를 병기하였다. 더불어 경험이 풍부한 전문 번역가와 원어민의 감수를 거쳐, 완벽한 문장의 3요소인 명확성(lucidity), 간결성(simplicity), 활음조(euphony)를 살린 매끄러운 영문으로 다듬었다.

  출판사 리뷰

350만 베스트셀러 ≪한국사 편지≫ 영문판
Letters from Korean History
글로벌 리더를 위한 역사 리딩


For young readers
Letters from Korean History is published for young readers overseas who re curious about Korea and its people, and for young Korean readers keen to earn more about their own history while improving their language skills as global citizens.
≪한국사 편지≫ 영문판은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알고 싶은 외국의 젊은이, 그리고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 살고자 하는 한국의 젊은이를 위한 책입니다. 세계 어느 곳에서 살든, 한국을 알고자 하는 친구들에게 이 책이 유익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면 참으로 기쁘겠습니다.

-저자 박은봉(Park Eunbong)

어린이 역사책의 베스트셀러 ≪한국사 편지≫를 영어로 만난다!
출간부터 지금까지 어린이 역사책의 기본서로 350만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한국사 편지≫가 영문판으로 찾아왔습니다. 영어를 공부하는 독자, 외국인 친구들과 한국사를 공유하고 싶은 독자, 한국의 역사와 문화가 궁금한 외국인 독자까지. 모든 독자의 바람을 담은 한국사 편지 영문판 ≪Letters from Korean History≫(전 5권)이 지금 출간되었습니다.

* 독자들의 기다림에 답하는 책
어린이 역사책의 필독서로 손꼽히는 ≪한국사 편지≫는 대중 역사책을 써온 저자 박은봉이 어린이에게 꼭 맞는 역사책의 필요성을 느껴 펴낸 책입니다.

“역사도 매우 재미있다는 것을 어린이들에게 알려주자.”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춘 글쓰기를 하자.”


두 가지 목표 아래 꼼꼼한 사료 연구와 균형 있는 가치관, 그리고 엄마가 아이에게 들려주는 다정한 문체로 쓰인 ≪한국사 편지≫는 한국사 통사책 사상 최초로 350만부를 돌파한 책, 초등 국정 사회과 교과서에 4년 연속 유일한 참고도서로 수록된 책, 역사 선생님이 가장 많이 추천하는 한국사 책입니다. 초등학생부터 어른까지 온 가족이 읽는 한국사책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 있는 독자들에게도 호평을 받았고, 해외 판매는 할 수 없는지, 영문판 계획은 없는지 여러 요청을 받아왔습니다. 그 가운데 직접 번역을 하겠다고 제안을 하는 독자분도 있었습니다. 한국사를 왜 영문으로 읽어야 할까요?
“≪한국사 편지≫는 네게 꼭 들려주고 싶었던 우리 역사 이야기야. 네가 앞으로 당당한 한국인으로 살아가려면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할 내용이기도 해.” 저자가 1권 머리말에 붙인 이야기입니다. 한국사를 영어로 읽고 싶은 마음은 우리 역사, 우리 문화를 제대로 알고, 세계에 알리고 싶다는 마음일 것입니다. 이러한 독자들의 바람에 부응하여 오랜 기간의 준비와 번역, 감수를 거쳐 ≪Letters from Korean History≫(전 5권)가 탄생하였습니다.

* 명확한 번역, 매끄러운 영어 문장
≪한국사 편지≫는 엄마가 아이에게 편지를 보내는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영문판도 아이에게 보내는 편지로 되어 있을까요? ≪Letters from Korean History≫는 원서의 장점을 그대로 담되, 한국의 역사가 친숙하지 않을 영미권 독자들을 고려하여 편지글을 다듬고, 어휘를 조정하였습니다. 흥미를 돋우는 그림과 사진 자료를 크게 부각했던 각 장의 도입부는 주제를 담은 발췌문이 돋보이도록 간결하게 다시 디자인하였고, 어린이 독자를 위해 본문에 실었던 단어 한자 풀이를 삭제하고, 찾아보기의 단어에 한자를 병기하였습니다. 한 걸음 더 깊이 있는 한국사 공부를 하려는 독자들에게 작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처럼 세심한 조정을 거쳐 어린이들에게 부치는 ‘한국사 편지’가 한국에 대해 잘 모르는, 한국이 알고 싶은 독자에게 보내는 ‘한국사 편지’로 거듭났습니다.
영문판 출간 작업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단순히 한글을 영문으로 옮기는 일이었다면, 굳이 한국어에 능통한 외국인 번역자를 찾을 필요가 없었을 것입니다. 영국 출신의 역자 벤 잭슨(Ben Jackson)은 런던대학교에서 한국 문학을 전공했으며, 유창한 한국어 실력으로 다양한 영상 매체와 지면을 넘나들며 활동했습니다. 이후 서울셀렉션에서 편집자로 활동하며 한국의 박물관과 미술관,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책을 펴낸 실력을 바탕으로, ≪한국사 편지≫가 정확하게 독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저자 박은봉과 긴밀하게 의견을 나누며 한글을 영문으로 옮겼습니다. 더불어 경험이 풍부한 전문 번역가와 오랫동안 한국에 거주하며 한국의 문화와 매력을 국내외에 알리는 일을 하고 있는 전문가의 감수를 거쳐, 완벽한 문장의 3요소인 명확성(lucidity), 간결성(simplicity), 활음조(euphony)를 살린 매끄러운 영문으로 다듬었습니다.

*1권 13쪽 :
What did the first people look like? Monkeys? Well, yes. Unlike people today, they did look a bit like monkeys. Since then, with the passing of time, we’ve gradually evolved to look the way we do today. The very first people had to pass several milestones on the long road to becoming modern humans.
“최초의 사람은 어떻게 생겼을까?”
“원숭이!”
그래, 세운이 말마따나 최초의 사람은 오늘날과는 달리 원숭이와 비슷하게 생겼을 거야.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조금씩 변해 오늘날과 같은 생김새가 되었지. 최초의 사람이 오늘날과 같은 사람이 되기까지는 아주 중요한 고비를 몇 번 넘어야 했어.

*2권 63쪽 서희의 담판 :
Seo Hui had realized that the Khitans’ aim in attacking Goryeo was not to win the latter’s territory but to sever its relations with Song. Not only that: he had prepared thoroughly and was able to rebut every one of the Khitans’ claims.
It seems Seo had a very good grasp not only of Goguryeo’s own history but also of his country’s contemporary situation, neighbored as it was by the Jurchens, Khitans and Song, and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at’s why he deliberately claimed that Goryeo was the successor to Goguryeo and that its capital was at Pyeongyang, not Gaegyeong.
서희는 거란이 공격해 온 의도가 고려를 송두리째 손에 넣으려는 것이 아니라, 다만 고려와 송의 관계를 끊는 데 있다는 것을 간파하고 있었어. 나아가 서희는 거란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할 만큼 준비를 충분히 하고 있었지.
서희는 고구려의 역사는 물론이고 여진, 거란, 송에 둘러싸인 당시 고려의 처지와 국제 관계를 아주 잘 알고 있었던 것 같아. 그래서 고려는 고구려의 뒤를 이은 나라라고 대답하면서 일부러 수도를 개경이 아닌 평양이라고 한 것이란다.

*4권 75쪽 봉산 탈춤의 한 대목 :
Malttugi: Shhh! Look who’s coming! It’s the yangban! But don’t be fooled: he’s not exactly the “high-flying” sort of yangban you hear about with their scholastic factions and dazzling civil service careers! This gentlemen is certainly not prime minister material.
Yangban: Hey! Just who do you think you are?
말뚝이: 쉬이, 양반 나오신다! 양반이라고 하니까 노론, 소론, 호조, 병조, 옥당을 다 지내고, 삼정승, 육판서를 다 지내고, 퇴로 재상으로 계신 양반인 줄 아지 마시오. 개잘량이라는 ‘양’자에 개다리 소반이라는 ‘반’자를 쓰는 양반이 나오신다는 말이오.
양반: 야, 이놈 뭐야?

*5권 112쪽에 실린 김소월의 시 :
Kim Sowol’s ‘Azaleas’
When you’re sick of me and you leave,
don’t think I’ll try and stop you.
No, I’ll pick myself an armful of azaleas
and scatter them across your path as you leave.
You can give them a good trampling
with every step you take from my door.
So leave when you’ve had enough
as long as you don’t expect me to cry.
김소월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자신만만한 십대부터 외국인 독자까지! 글로벌 시대의 필독서
원시 시대부터 21세기 현대에 이르는 한국사를 72통의 편지에 담은 ≪한국사 편지≫는 단순히 각 장이 시간 순서대로 이어진 게 아니라, 장마다 각기 다른 주제로 시대를 바라봅니다. ‘신라’를 이야기할 때에도 ‘삼국문화의 키워드, 불교’와 ‘골품의 나라, 신라’라는 두 장을 제시함으로써 하나의 나라를 ‘종교’와 ‘신분제’를 중심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 구성해 놓았습니다. 한국사를 간략하게 한 권으로 갈무리한 가벼운 역사책, 수많은 지명과 인명, 사건들이 빼곡하게 정리된 딱딱하고 무거운 역사책. 그 사이에서 균형 잡힌 한국사 입문서를 찾는 독자들의 선택이 ≪한국사 편지≫를 어린이 역사책의 기준으로 자리 잡게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장점이 고스란히 살아 있는 ≪Letters from Korean History≫는 영어 텍스트로 한국사를 공부하고, 나아가 세계와 교류하고 싶은 학생부터 한국사를 제대로 된 영문 텍스트로 읽고 싶은 재외국민, 한국이 궁금한 외국인들과 늘 만나는 관광/교육 분야 종사자, 한국사가 궁금한 외국인까지. 자신만만한 세계인이 되고 싶은 십대와 입체적인 시선으로 한국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영미권 독자들에게 최고의 필독서가 될 것입니다.

  작가 소개

저자 : 박은봉
역사를 알면 사람을 사랑하게 되고 세상을 이해하게 된다는 생각으로 글을 씁니다.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한국사를 공부했습니다. 지은 책으로 ≪한국사 편지 1~5≫,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한국사 100장면≫, ≪한국사 뒷이야기≫, ≪엄마의 역사 편지≫, ≪세계사 100장면≫, ≪당신에게 들려주고 싶은 세계사(≪세계사 뒷이야기≫ 개정판)≫, ≪인물 여성사 한국편(공저)≫, ≪박은봉·이광희 선생님의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1,2(공저)≫등이 있습니다. ≪한국사 편지 1~5≫로 제45회 백상출판문화상을 수상했습니다.블로그 blog.naver.com/historync

  목차

* 1권
When did the first humans settle in Korea?
What did Paleolithic Koreans look like?

How did Neolithic Koreans live?
Stone tools

The Bronze Age and Gojoseon, the first state in Korean history
Korea, a land of dolmens

How was life in Gojoseon?
Gojoseon: originally just ‘Joseon’

What came after Gojoseon?
What was the purpose of ‘jecheon haengsa?’

The founding of the Three Kingdoms and Gaya
Gaya culture

Goguryeo: a Northeast Asian superpower
The riddle of the Gwanggaeto Stele

Baekje, land of cultural refinement
King Mu and Princess Seonhwa
Buddhism, key to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Influence of the Buddhist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on Asuka

Lif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Fridges and drinks

How did Silla achieve unification?
Hwarang: boys as beautiful as flowers

Silla, land of the bone-rank system
Hyangga: songs of Silla

Balhae, land of mystery
Balhae’s road network

· Index
· Image credits and sources

* 2권
Faltering Silla and the Later Three Kingdoms
Jang Bogo, the Great Commander of Cheonghaejin

Wang Geon unifies the Later Three Kingdoms
Doseon and ‘pungsujiri’

Goryeo: land of ‘munbeol’ aristocrats
King Seongjong, Choe Seungno and Confucian politics

Thirty years of war with the Khitans
Yun Gwan and the Nine Fortresses of the North-East

Byeongnando: international port of ‘Korea’
Around Gaegyeong

Goryeo, land of Buddhism
Village guardian deities

How did the people of Goryeo live?
Was ‘goryeojang’ really a Goryeo custom?

The military takes over
Myocheong’s bid to relocate the capital

The struggle for a true meritocracy
Pyeongnyang, the ‘nobi’ who dreamt of freedom

Peasants and ‘cheonin’ take on the Mongols
Goryeo’s temporary capital

The ‘Tripitaka Koreana’ and inlaid celadon: embodiments of the spirit of Goryeo
Printing in the old days

‘Samguk sagi’ and ‘Samguk yusa’: two history books, two agendas
‘Dongmyeong Wang pyeon’ and ‘Jewang ungi’

King Gongmin’s reforms
‘Gwonmun sejok’ and ‘nongjang’: land grabbing at club-point

Cotton and gunpowder
‘Cheongsan byeolgok’ and the decline of Goryeo

· Index
· Image credits and sources

* 3권
How was Joseon founded?
A new name for a new state: ‘Joseon’ or ‘Hwaryeong?’

Hanyang, Joseon’s new capital
Why the king kept moving palace

The real reason Sejong created Hangeul
Jang Yeongsil, Joseon’s greatest scientist

How were government officials appointed?
Men of integrity

How did the people of Joseon live?
Joseon’s children

Joseon, land of Confucianism
Yi Hwang and Gi Daeseung exchange letters

Neo-Confucians: a new breed of literati sparks purges
Seong Sammun and Sin Sukju

Clothes, food and housing in Joseon
Children’s games

Newspapers and books in Joseon
Royal annals: definitive national histories

The Three Great Bandits of Joseon
The mysterious tale of Hong Gildong

A time of crisis: Japan invades
Were turtle ships really clad in iron?

Fighting off the Manchus
Kim Sangheon and Choe Myeonggil

What caused factional strife?
Death in a rice chest: Crown Prince Sado

An Yongbok defends Ulleung-do and Dok-do
Hendrik Hamel and Park Yeon: Joseon’s two Dutchmen

· Index
· Image credits and sources

* 4권
Hwaseong: King Jeongjo’s new city
New martial arts for Joseon

The Silhak vision
‘Wealth is created by the people’

Evolving farms and markets
‘Sanga yorok’: A royal physician’s cookbook

Popular culture flourishes
Yi Danjeon, the ‘nobi’ poet

Love and marriage in Joseon
Gang Jeongildang and Yun Gwangyeon in love

Kim Jeongho and ‘Daedong yeojido’
Korean maps of the past

The peasants rise up
Hong Gyeongnae and the battle of Jeongju Fortress

Seohak and Donghak
Protestantism gains royal backing

Isolation or enlightenment? Korea at the crossroads
‘Uigwe’: Joseon texts seized by France

Opening the doors
A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A new world, for three days’: the Gapsin Coup
A military uprising: The Imo Incident

Jeon Bongjun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attack on Gyeongbokgung and the Gabo Reforms

The death of Empress Myeongseong
The Daehan Empire is born

Treaty ports usher in the winds of change
When did Korea start using the solar calendar?

· Index
· Image credits and sources

* 5권
Lost sovereignty
Secret mission to The Hague

The struggle to save the country
Yun Huisun and the Ansaram Righteous Army

Gunfire echoes across Manchuria
A learned man’s burden

The nation rises up
‘Gisaeng’ fight for independence

Hong Beomdo and Kim Jwajin, ndependence army heroes
Yi Hwarim, the female general

Bang Jeonghwan and Children’s Day
Kim Sowol’s ‘Azaleas’

The Kanto Massacre and forced relocation
The photo brides of Hawaii

Sin Chaeho, the father of modern history
A history of pain and blood

Yi Bongchang and Yun Bonggil
The Liberation Army OSS

Koreans who amazed the world
Kim Yeom, Film Emperor of Shanghai

Stolen youth, rotten minds
Investigating Korea’s collaborators

Liberation and national division
What is socialism?

Kim Gu crosses the thirty-eighth parallel
The Jeju Uprising

War divides a nation
The SOFA and the death of two schoolgirls

Rapid growth: a time of miracles and tragedies
Multicultural families, our new neighbors

The struggle for democracy
Democracy and the World Cup

Encounters for reunification
Toward reunification

· Index
· Image credits and sources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