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시대별.장르별 대한민국 대표 작가들의 작품집 '한국문학산책' 1권 염상섭 소설집. 염상섭은 한국에서 자연주의 문학을 최초로 받아들인 작가로 사회의 어두운 부분을 드러내면서 개인의 자유와 개성을 강조하는 작품을 많이 썼다. 염상섭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서울 중류 계급의 어휘와 문체에 담아 표현했다.
3.1 운동 이후 지식인들이 느꼈던 좌절감과 무력감을 김창억이라는 지식인이 괴상하게 변해 가는 모습을 통해 드러낸 작품 '표본실의 청개구리', 광복 직후의 혼란한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두 파산', 사실주의의 원리를 정확히 실천하여 평범한 사건을 치밀하게 있는 그대로 기록한 '임종'이 수록되어 있다.
출판사 리뷰
시대별·장르별 대한민국 대표 작가들의 작품집
‘한국문학산책’ 시리즈
고전부터 근·현대까지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대표 작품집
매년 많은 문학 작품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도 우리가 꼭 읽고 넘어가야 할 한국문학은 변함이 없다. 이에 우리의 삶과 글 읽기에 지침이 되는,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대표 작가들의 주요 작품을 엄선하여 ‘한국문학산책’ 시리즈(전50권)를 발간하였다. 고전부터 근·현대 작품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대표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을 읽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양을 쌓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작가별·장르별 구성을 통해
작품의 모든 것을 한눈에 담은 대한민국 대표 문학전집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작품을 작가·장르 별로 묶어 구성하였다. 한국 대표 문학작품을 중·단편소설, 장편소설, 고전 문학, 신소설까지 네 장르로 나누고, 각 권마다 작가의 주요 작품과 작가 소개, 작품 해설에 이르기까지 작품의 모든 것을 담아냈다.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대표 작품을 비롯해서 기존 선집에서 잘 다루지 않은 희귀작이나 작가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드러내는 문제작까지 수록하였다.
뜻풀이와 삽화를 더해
보는 재미와 읽는 즐거움을 더한 고퀄리티 문학집
‘한국문학산책’ 시리즈는 시대 분위기와 작가의 개성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작가 고유의 문장이나 방언, 속어, 고어 등은 원문 표기를 따르되,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괄호 속에 뜻풀이를 달아 작품 감상에 부족함이 없도록 했다. 또한 작품 중간 중간에 삽화를 수록해 작품의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작품 읽기에 상상력을 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가 생애부터 작품 의의까지
한국문학 전문가가 전해 주는 깊이 있는 해설
한국문학에 정통한 석·박사급의 고교 국어 교사들이 작가 연보, 작품 소개, 작품 구조, 작품의 감상과 수용, 작품에 반영된 현실에 이르기까지 각 작품마다 상세한 해설을 수록했다. 전문가들의 수준 높은 해설은 청소년부터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문학작품을 깊이 있고 폭넓게 이해하는 데 길잡이가 될 것이다.
한국문학산책01-중·단편소설 표본실의 청개구리 외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표현하다!
염상섭은 한국에서 자연주의 문학을 최초로 받아들인 작가로 사회의 어두운 부분을 드러내면서 개인의 자유와 개성을 강조하는 작품을 많이 썼다. 염상섭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서울 중류 계급의 어휘와 문체에 담아 표현했다.
표본실의 청개구리
3?1 운동 이후 지식인들이 느꼈던 좌절감과 무력감을 김창억이라는 지식인이 괴상하게 변해 가는 모습을 통해 드러낸 작품이다. 화자인 ‘나’는 김창억이 변해 가는 모습을 보며 중학교 때 청개구리를 해부하며 느꼈던 감정을 떠올린다. 결국 ‘나’는 김창억의 삶이 한 지식인의 표본인 것처럼 느낀다. 이와 같은 ‘나’의 모습은 젊은 날의 작가 염상섭의 분신으로 볼 수 있다.
두 파산
광복 직후의 혼란한 시기를 배경으로 염상섭 특유의 냉정하고 객관적인 시선을 통해 물질적으로 파산한 정례 모친과 정신적으로 파산한 김옥임의 모습을 대비하여 보여 주며, 도덕적으로 타락하고 물질 만능주의가 판치고 있는 당대 사회 문제를 비판한다.
임종
병인의 ‘임종’을 둘러싼 가족들의 각자 다른 이기적 욕심을 통해 경건해야 할 죽음의 순간에 드러나는 인간의 추악한 모습을 드러낸다. 사실주의의 원리를 정확히 실천하여 평범한 사건을 치밀하게 있는 그대로 기록했다.
작가 소개
저자 : 염상섭
1919년 3.1운동에 가담한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귀국1920년 2월 동아일보 창간과 함께 진학문(秦學文)의 추천으로 정경부 기자로 활동1920년 7월 동인지 『폐허』를 창간1921년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발표1922년 최남선이 주재하던 주간종합지 『동명』의 기자로 활약1929년 조선일보 학예부장으로 활동1931년 조선일보에 연재된 『삼대』는 식민지 현실을 배경으로 삼으면서 가족 간에 벌어지는 세대갈등을 그려낸 그의 대표작임1936년 만주로 건너가 만선일보의 주필 겸 편집국장으로 활동1945년 8.15광복 후 귀국1946년 경향신문 창간과 동시에 편집국장으로 활동1950년 한국전쟁 중에는 한때 해군 정훈국에 근무1954년 한국전쟁 중의 서울의 모습을 담담하게 그려낸 장편 『취우』로 서울시문화상을 수상했으며, 예술원 창설과 함께 종신회원으로 추대1955년 서라벌예대 초대학장 역임1956년 제3회 아세아자유문학상 수상1957년 예술원공로상 수상1962년 삼일문화상 예술부문 본상 수상1963년 3월 14일 직장암으로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