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백석 시집 사슴  이미지

백석 시집 사슴
100부 한정본 평역
라이프하우스 | 부모님 | 2016.04.29
  • 정가
  • 3,900원
  • 판매가
  • 3,510원 (10% 할인)
  • S포인트
  • 176P (5% 적립)
  • 상세정보
  • 0.000Kg | 96p
  • ISBN
  • 979118727102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시집 <사슴>을 백석 시인이 직접 100부 한정판으로 간행한다. 발매 당시 백석 시집 가격은 2원이었다. 타 시집보다 2배 비싼 가격이었다. 당시 쌀 한 가마니에 13원이었다고 한다. 백석은 개인 시집을 <사슴> 외에는 내놓지 않았다. 이후 잡지, 신문 같은 정기 간행물에서 발표했다. 시인 윤동주는 판매되자마자 희귀본이 된 백석 시집을 구할 수 없어, 직접 빌려 필사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100여 년 전 문장을 실제 읽을 수 있도록 평역했다.

  출판사 리뷰

전설의 희귀본 백석 시집 100부 한정본을 읽다가 손이 떨리기 시작했다

시집 '사슴'을 백석 시인이 직접 100부 한정판으로 간행한다. 발매 당시 백석 시집 가격은 2원이었다. 타 시집보다 2배 비싼 가격이었다. 당시 쌀 한 가마니에 13원이었다고 한다. 백석은 개인 시집을 '사슴' 외에는 내놓지 않았다. 이후 잡지, 신문 같은 정기 간행물에서 발표했다. 시인 윤동주는 판매되자마자 희귀본이 된 백석 시집을 구할 수 없어, 직접 빌려 필사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100여 년 전 문장을 실제 읽을 수 있도록 평역했다.

전설적인 시집을 애독자들이 쉬이 접근할 수 있도록!

백석 시집 '사슴' 100부 한정판을 현대어로 평역할 수 있는 귀한 기회를 얻게 되었다. 게다가 시집이 출간되는 계절은 4월 벚꽃이 피는 아름다운 나날이었다. 백석은 평안북도 정주 방언을 즐겨 사용하였으며 시 언어 운용은 파격적인 느낌을 받을 정도로 훌륭했다.
백석은 1912년 7월 1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출생하였다. 정주에 있는 오산보통학교와 오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아오야마 학원을 졸업한 후, 조선일보사 출판부에 근무하였다. 거리에 나서면 뛰어난 외모로 인기를 한 몸에 받았다. 1936년에 시집 '사슴'을 발표했다. 우리나라 특유의 토속적인 리듬을 수용하여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구사하는 시로 현대시사에 시사하는 바가 컸다. 북한 소식통을 통해 그의 죽음이 알려졌다. 1996년에 북한에서 사망했다.
1936년에 조선일보와 조광朝光에 발표한 7편의 시에, 새로 선보이는 26편의 시를 보태어 시집 '사슴'을 당시 경성부 통의동에서 자비로 출간했다.
본서에서는 100부 한정판으로 제공되던 백석 시집과 정기 간행물에 발표된 중요 시들을 모았으며, 가급적 가독성 있게 읽을 수 있도록 평역하였다. 덧붙여 백석시인의 아름다운 시 언어가 빼곡히 실린 시들도 백석시선이라는 명목으로 실었다.

  작가 소개

저자 : 백석
1912년 7월 1일(음력 추정) 평북 정주군 갈산면 익성동 1013호에서 부친 백시박(白時璞)과 모친 이봉우(李鳳宇)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난 시인 백석(白石)의 외모는 한눈에도 두드러진다.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사진을 봐도 그의 모습은 매우 모던하다. 서구적 외모에 곱슬곱슬한 고수머리. 빛바랜 흑백사진을 보면 그의 머리 모양은 참 특이하다. 1930년대에 그런 머리를 할 수 있는 감각이란 얼마나 현대적인가? 옛사람이란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그는 시쳇말로 외모와 문학을 새롭게 디자인한 모던 보이이자 우리말의 감각을 최대치로 보여 준 시인이다. 본명은 기행(夔行)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연(基衍)으로도 불렸다. 필명은 백석(白石, 白奭)인데 주로 백석(白石)으로 활동했다.1918년(7세), 백석은 오산소학교에 입학했다. 동문들의 회고에 따르면 재학 시절 오산학교의 선배 시인인 김소월을 매우 선망했고, 문학과 불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1929년 오산 고등보통학교(오산학교의 바뀐 이름)를 졸업하고 1930년 ≪조선일보≫의 작품 공모에 단편 소설 <그 모(母)와 아들>을 응모, 당선되어 소설가로서 문단에 데뷔한다. 이해 3월에 조선일보사 후원 장학생 선발에 뽑혀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靑山)학원 영어사범과에 입학해 영문학을 전공한다. 1934년 아오야마학원을 졸업한 뒤 귀국해 조선일보사에 입사하면서 본격적인 경성 생활을 시작한다. 출판부 일을 보면서 계열잡지인 ≪여성(女性)≫의 편집을 맡았고 ≪조선일보≫ 지면에 외국 문학 작품과 논문을 번역해서 싣기도 했다. 1935년 8월 30일 시 <정주성(定州城)>을 ≪조선일보≫에 발표하면서 시인으로서의 창작 활동을 시작하는 한편 잡지 ≪조광(朝光)≫ 편집부에서 일한다. 1936년 1월 20일 시집 ≪사슴≫을 선광인쇄주식회사에서 100부 한정판으로 발간한다. 1월29일 서울 태서관(太西館)에서 열린 출판기념회 발기인은 안석영, 함대훈, 홍기문, 김규택, 이원조, 이갑섭, 문동표, 김해균, 신현중, 허준, 김기

  목차

제1부 얼룩소 새끼의 영각
가즈랑집 13
여우난골족 17
고방 21
모닥불 23
고야 24
오리 망아지 토끼 28

제2부 돌덜구의 물
초동일 31
하답夏畓 32
주막 33
적경寂境 34
미명계未明界 35
성외城外 36
추일산조秋日山朝 37
광원 38
흰 밤 39

제3부 노루
청시靑枾 41
산비 42
쓸쓸한 길 43
자류柘榴 44
머루밤 45
여승 46
수라 48
비 50
노루 51

제4부 국수당 넘어
절간의 소 이야기 53
통영 54
오금덩이라는 곳 55
가키사키의 바다 57
정주성 58
창의문외彰義門外 59
정문촌旌門村 60
여우난골 62
삼방三防 63
- 백석시선

제5부 남행시초
창원도 65
통영 66
고성가도 67
삼천포 68

제6부 함주시초
북관 71
노루 72
고사 74
선우사 76
산곡 78

제7부 백석시선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81
흰 바람벽이 있어 84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87
추야일경 89
팔원 - 서행시초 90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