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부활 1 이미지

부활 1
민음사 | 부모님 | 2003.11.11
  • 정가
  • 9,000원
  • 판매가
  • 8,100원 (10% 할인)
  • S포인트
  • 405P (5% 적립)
  • 상세정보
  • 13.3x22.6x2.7 | 0.600Kg | 404p
  • ISBN
  • 978893746089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부활』은 톨스토이가 일흔이 넘어 완성한 만년의 역작이다. 집필을 시작한 후 일 년여 뒤 그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오늘의 시선으로 사물을 조명하면서 기나긴 숨결의 장편소설을 쓰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나는 그 속에 나 자신의 모든 구상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작품에서 톨스토이는 한 귀족과 창녀가 정신적으로 부활하는 과정을 통해, 당대 러시아의 불합리한 사회 구조에 날 선 비판을 가하면서 인간에 대한 사랑을 근본으로 하는 자신의 사상을 감동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출판사 리뷰

19세기 러시아가 낳은 위대한 예술가이자 사상가, 톨스토이의 『부활』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부활』은 톨스토이가 일흔이 넘어 완성한 그의 대표작으로, 그의 모든 예술과 사상이 한데 녹아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톨스토이는 한 귀족과 창녀가 정신적으로 부활하는 과정을 통해, 당대 러시아의 정치, 경제, 법률, 종교 등의 불합리성에 날 선 비판을 가하면서, 인간에 대한 사랑을 근본으로 하는 자신의 사상을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전쟁과 평화』(1863~1869), 『안나 카레니나』(1873~1877) 등 대작을 집필, 작가적 명성을 누리던 톨스토이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삶에 대한 회의에 시달리며 정신적인 위기를 겪게 된다. 그리하여 1880년 이후 원시 기독교 사상에 몰두하면서 사유재산 제도와 러시아 정교에 비판을 가하고, 기독교적 인간애를 근간으로 하는 톨스토이즘을 체계화한다. 톨스토이의 종교적인 전향 후인 1899년 발표된 『부활』은 예술가이자 사상가 톨스토이의 면모가 뚜렷하게 살아 있는 작품이다.

기본 줄거리는 유명한 법률가 A.F.코니의 소송 사무와 관련된 사건에 바탕을 둔다. 그는 1887년 여름, 톨스토이와 함께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문제에 관해 담화를 나누는 가운데 자신이 관계한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중 한 가지가 ‘불쌍한 로잘리야 오니와 그녀의 유혹자 이야기’이다. 그 유혹자는 자기 때문에 파멸한 처녀의 판결에 어쩔 수 없이 배심원으로 참가하게 된 뒤 깊은 도덕적 동요를 겪게 된다. 자신의 범죄를 보상하기 위해 그는 그녀와 결혼하기로 결심하지만 로잘리야의 죽음으로 상황은 마무리된다. 이야기를 듣고 흥분한 톨스토이는 두 주인공 네흘류도프와 카튜샤를 중심으로 집필에 착수한다.

작품의 도입부는 대략 다음과 같다. 네흘류도프 공작은 살인 혐의를 받고 법정에 선 창녀의 재판에 배심원으로 참석하게 된다. 그런데 그녀는 한때 자신이 잠시 사랑하다 버렸던 카튜샤였다. 카튜샤는 이후 혼자 아이를 낳고 생계를 잇기 위해 창녀가 된 것이었다. 카튜샤는 무책임한 배심원들로 인해 죄도 없이 시베리아 유형을 선고받는다. 이로써 네흘류도프는 도덕적으로 무책임했던 자신의 생활을 반성하며 죄책감을 갖게 된다. 그는 카튜샤를 감옥에서 꺼내주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이며 자신의 정신적 부활을 향한 발돋움을 시작한다.

톨스토이가 『부활』을 완성하기까지는 십 년이 걸렸다. (물론 그 기간 내내 톨스토이가 『부활』의 집필에만 몰두했던 것은 아니다. 또한 작품을 끝마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톨스토이와 종교에 대해 같은 뜻을 가지고 있던, 국가의 탄압을 받던 두호보르 교도의 캐나다 이주 자금 문제였다.) 그 시간 동안 톨스토이는 두 남녀 주인공의 문제뿐만 아니라 당대 러시아의 사회구조가 안고 있는 문제들까지 작품 속에 흡수시키며 작품의 완성도를 더했다. 그리하여 톨스토이는 범죄자를 교화하기는커녕 오히려 범죄자를 양산할 뿐인 처벌 제도, 가난한 농민들을 더욱 가난 속으로 몰아넣는 토지 제도, 진정한 믿음이 아니라 전례의 형식만을 중시하는 러시아 정교의 문제점들을 때로는 네흘류도프의 눈을 통해 생생하게 제시하며, 예술작품 속에 사상가 톨스토이의 시각을 불어넣었다.

『부활』이 발표된 뒤 V.V. 스타소프는 이렇게 말했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창조 위에서 19세기가 끝나고 20세기가 도래한다.” 그의 말처럼 『부활』은 19세기 예술의 총결산이다. 나아가 톨스토이가 의도했던 바대로 “사물에 대한 오늘의 시선”을 견지하면서도, 인간에 대한 사랑이라는 시공을 초월한 주제를 감동적으로 풀어낸 고전이다.

  작가 소개

저자 : 레프 톨스토이
러시아의 소설가ㆍ사상가. 도스토예프스키, 투르게네프와 더불어 ‘러시아 3대 문호’로 일컬어지고 있다. 1828년 남러시아 툴라 근처에 있는 영지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명문 백작가의 4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모을 후견인으로 성장했다. 카잔대학에 입학했으나 중도에 자퇴했다. 1847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농장일에 전념했으나 실패하고 1851년에 카프카즈의 군대에 들어갔다. 1852년 처녀작 『유년시대』를 발표하여 투르게니에프로부터 문학성을 인정받기도 하였다. 그 후 러시아 농민의 비참한 현실에 눈을 뜬 그는 농민계몽을 위해 야스나야 폴랴나 학교를 세우고 농노해방운동에도 활발히 참여하였다. 그후 1869년에 완성한 『전쟁과 평화』로 세계적인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었으며, 러시아의 현실과 고통받는 러시아 민중의 삶을 여러 각도에서 포착하여 생동감 있게 그려내 오늘날까지도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세계적 문호로 인정받고 있다. 1870년대 후반기에 수많은 정신적 갈등과 고뇌를 겪고 난 뒤 홀연히 농부로 변신하였으며 1885년에는 뽀스레드니끄(중개인이라는 뜻) 출판사를 만들어 러시아 민화와 복음서의 진리를 대중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꾸민 책들을 펴내기 시작했다.

1870년대 후반 『안나 카레리나』의 마지막 몇 장을 쓸 무렵 그는 모든 것을 무의미한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죽음에의 공포에 사로잡혀 인생의 의미에 대한 고민을 계속하게 된다. 결국 삶의 의의는 과학이나 철학도 설명할 수 없고, 이성의 힘에 의지해서도 해결되지 않으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는 민중의 태도에서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녀의 비극은 사회 가치에 대한 대안을 추구하는 레빈의 행위와 평행을 이루는데, 레빈은 자신의 영지에 있는 농부들 사이에서 해답을 찾는다. 『안나 카레리나』에서 정신적 위기와 극복이 이른바 톨스토이의 회심(回心)이며 『참회록』 속에 서술된 고백의 내용이다. 여기서부터 톨스토이는 현대의 타락한 그리스도를 배제하고 원시 그리스도에 복귀하여 근로, 채식, 금주, 금연의 생활을 영위했다. 원시 기독교의 소박성을 지닌 포괄적인 비전에 부합된 삶을 살려고 노력함으로써 예언적인 현자가 되었다. 톨스토이는 그렇지 않으면 뒤얽혀버렸을 인생에서 자기 책의 핵심을 형성해 주는 인생의 의미를 끊임없이 추구했다. 도덕적 필연성과 합리적 기독교 윤리에 바탕해 농민적 무정부주의, 악에 대한 무저항 정신으로 대변되는 그의 사상은 한때 전 서계로 퍼져 톨스토이즘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후 수많은 평론과 소책자, 교훈적인 단편소설 등을 통해 사랑과 믿음으로 가득 찬 삶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주장하고 인간이 만들어낸 정부, 교회 등의 제도와 사유재산을 부정하는 자신의 견해를 전파했다.

톨스토이의 걸작 『전쟁과 평화』는 나폴레옹 침략 사건을 러시아의 여러 가정 문제를 통해 그려낸 거대한 서사시다. 이 작품에서는 특히 자신들의 삶 속에서 중요성과 의미를 찾고자 하는 두 사람, 즉 안드레이 볼콘스키 왕과 피에르 베주호프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톨스토이는 남은 생애를 자신의 원칙에 따라 살려고 노력하는 한편, 자신의 철학을 책으로 구현하면서 보냈다. 종교적 전향 이후에는 비록 도덕주의자 톨스토이가 인생과 인간 경험의 활력 및 다양성을 뛰어나게 포착해 낸 예술가 톨스토이보다 우세할지라도, 그 시기에 나온 작품들 가운데 일부는 그의 가장 훌륭한 작품에 속한다. 특히 『이반 일리치의 죽음』(1886)과 『크로우처 소나타』(1891)가 그렇다.

톨스토이의 신비주의와 금욕주의는 헌신적인 추종자들을 매혹시킨 반면, 아내와 가족으로부터는 그를 소외시켰다. 82살 되던 해 그는 그의 가르침과 그의 개인적 부유함의 부등으로 괴로워하던 중, 그의 아내와 말다툼 한 후 집을 나왔다. 3일 후, 1910년 11월 20일 빈촌의 정거장에서 폐렴으로 죽었다.

러시아 민화에 기반을 둔 『바보 이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인간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등과 같은 짧지만 진정한 교훈을 주며 삶의 의미를 반추하게 하는 작품들을 써내기도 했다. 그 외의 작품으로 『교의신학비판』『참회록』『나의 신앙』『부활』『유년시대』『소년시대』『청년시대』『세바스토폴 이야기』 『카자흐 사람들』등이 있다.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