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공산당 선언 이미지

공산당 선언
비(도서출판b) | 부모님 | 2018.05.05
  • 정가
  • 9,000원
  • 판매가
  • 8,100원 (10% 할인)
  • S포인트
  • 31P (0% 적립)
  • 상세정보
  • 13x19 | 0.178Kg | 142p
  • ISBN
  • 9791187036548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b판고전 13권. 칼 맑스 탄생 200주년을 맞이하여 <공산당 선언>의 새로운 번역이 출간되었다. 이미 여러 번역본이 존재함에도 다시 번역하여 출간하게 된 것은 맑스나 사회주의 사상이 익숙하지 않은 일반 독자도 쉽게 손에 집을 수 있는 판본의 필요성 때문이다. ‘b판 고전’ 시리즈의 한 권으로 이번에 출간하는 <공산당 선언>은 이미 발터 벤야민의 새로운 번역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심철민이 참여하여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재탄생했다.

  출판사 리뷰

“칼 맑스 탄생 200주년,
≪공산당 선언≫ 발간 170주년 기념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가장 쉽고 명료한 번역!”


칼 맑스 탄생 200주년을 맞이하여 ≪공산당 선언≫의 새로운 번역이 출간되었다. 이미 여러 번역본이 존재함에도 다시 번역하여 출간하게 된 것은 맑스나 사회주의 사상이 익숙하지 않은 일반 독자도 쉽게 손에 집을 수 있는 판본의 필요성 때문이다. ‘b판 고전’ 시리즈의 한 권으로 이번에 출간하는 ≪공산당 선언≫은 이미 발터 벤야민의 새로운 번역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심철민이 참여하여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재탄생했다.

1848년 첫 출간 당시의 ≪공산당 선언≫은 극히 소수 사람들만이 접할 수 있는 당 강령에 불과했다. 하지만 오늘날 이 문건은 엥겔스가 말처럼 “가장 널리 보급된 저작이자 가장 국제적인 저작”이 되었다. ≪공산당 선언≫은 사회주의 사상과 실천의 극명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맑스주의적 세계관의 전체상을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텍스트로 지목되어온 책이기도 하다.

하지만 ≪공산당 선언≫의 탄생으로부터 170년이 지난 오늘날의 입장에서 볼 때, 이 텍스트의 진의가 잘못 전달되어 ‘또 하나의 유령’처럼 떠돈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많이 언급되기에 모두가 읽은 것처럼 착각하지만 정작 제대로 읽은 사람이 많지 않은 것도 그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그런데 이런 오해나 곡해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만족할 만한 번역의 부재와도 무관하지 않다. 국내에 출간된 번역본만 해도 10여종에 이르지만, 대부분이 영역본을 중역한 것이고 독일어에서 번역된 것조차 불명료한 구절들이 말끔히 해소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도서출판 b에서 출간하는 ≪공산당 선언≫은 그동안 올바른 이해를 가로막고 온갖 비난과 비판의 빌미가 되었던 불명확한 구절들을 하나하나 명료한 문장으로 바꾸는 데에 큰 공을 들였다. 그리고 문맥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곳에는 가급적 풍부한 역주를 달아 누구나 이 한 권만으로 맑스와 엥겔스가 말하고자 했던 진의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의미에서 심철민 판 ≪공산당 선언≫은 탄생 200주년을 맞이하는 오늘날 맑스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경쾌한 첫걸음이 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아니한다.

“우리 시대, 즉 부르주아계급의 시대는 계급간의 대립들을 단순화시켰다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전체 사회는 적대하는 양대 진영, 서로 직접적으로 대립하는 양대 계급, 곧 부르주아계급과 프롤레타리아계급으로 점점 더 갈라지고 있다.”

“노동자계급은 일자리를 얻는 한에서 살아나가며, 자신들의 노동이 자본을 증식하는 한에서 일자리를 얻을 따름이다.”

“어디까지나 우리가 바라는 것은 노동자의 이 같은 취득이 갖는 비참한 특질을 없애는 일이다. 즉 노동자가 살아나가는 것이 단지 자본을 증식하기 위한 데에 있고, 더욱이 지배계급의 이익이 자본을 필요로 하는 한에서만 살아가도록 허용되어 있는 저 비참한 현실을 우리는 폐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 소개

저자 : 카를 마르크스
프로이센의 트리어에서 7남매 중 첫째로 태어나 유대인 변호사인 아버지와 네덜란드 출신의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스물아홉 살부터 헤겔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그는 학문 연구의 방향을 '현실 속에서 이념을 찾는다'로 세우고, 청년 헤겔파와의 만남을 통해 급진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강단에 설 기회를 봉쇄당해 <라이니셰 차이퉁>의 편집장이 되었으나 프로이센의 검열이 점점 더 심해지자 편집장 자리에서 물러나 파리로 망명해 《독불연보》를 발간했다. 그러나 《독불연보》와 사회주의적 기고문으로 인해 파리에서도 추방당한 그는 브뤼셀로 이주하여 엥겔스와 함께 《독일 이데올로기》를 출간하고, 공산당연합의 당 강령인 《공산당선언》을 쓰게 된다. 불온한 인물로 낙인 찍혀 벨기에에서도 추방당한 그는 엥겔스와 함께 쾰른으로 돌아가 1848년 혁명의 흐름에 영향을 주고자 했으나 다시 추방당했다. 런던으로 망명한 그는 《정치경제학 비판》과 《자본론》을 집필하며 여생을 연구에 전념했다.

저자 : 프리드리히 엥겔스
프로이센의 바르멘에서 부유한 공장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졸업을 1년 앞두고 김나지움을 중퇴한 그는 3년 동안 브레멘의 수출회사에서 일하며 사교 활동을 하고 폭넓은 교양을 쌓았다. 이 시기에 자유주의나 혁명 관련 서적에 관심을 가지며 헤겔의 역사 발전의 변증법을 받아들였다. 이후 1년간의 군 복무를 마치고, 급진적 운동을 주도하던 모제스 헤스를 만나 공산주의로 돌아섰다. 1844년 마르크스가 편집하던 《독불연보》에 기고한 논문에서 자유주의 경제 이론의 모순을 폭로했고 혁명에 대한 전망을 내놓았다. 이후 마르크스와 활발히 교류하며 그의 사상을 지지했고, 여러 사회주의자들이 마르크스의 견해로 개종하도록 이끌었다. 1848년 혁명이 실패한 뒤 런던으로 간 그는 사업적 능력을 발휘해 자금을 모아 마르크스를 재정적으로 후원했다. 마르크스가 죽은 뒤 마르크스 저작의 새로운 판에 서문을 썼고, 《자본론》 2, 3권을 완성했다.

  목차

[들어가는 말] _ 7

제1장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_ 9

제2장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 _ 43

제3장 사회주의적 및 공산주의적 문헌 _ 67
1. 반동적 사회주의 _ 67
a) 봉건적 사회주의 _ 67
b) 소시민적 사회주의 _ 72
c) 독일 사회주의 또는 '참된' 사회주의 _ 75
2. 보수적 사회주의 또는 부르주아 사회주의 _ 83
3. 비판적유토피아적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_ 85
제4장 여러 반대당들에 대한 공산주의자들의 입장 _ 94

|부록| ≪공산당 선언≫ 각 판본 서문들
1872년 독일어판 서문 _ 101
1882년 러시아어판 서문 _ 105
1883년 독일어판 서문 _ 109
1888년 영어판 서문 _ 113
1890년 독일어판 서문 _ 123
1892년 폴란드어판 서문 _ 133
1893년 이탈리아어판 서문 _ 137

옮긴이 후기 _ 141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