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3-4학년 > 논술,철학 > 논리,논술
역사 논쟁 이미지

역사 논쟁
풀빛 | 3-4학년 | 2010.11.23
  • 정가
  • 13,000원
  • 판매가
  • 11,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585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325Kg | 232p
  • ISBN
  • 9788974746551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역지사지 생생 토론 대회 시리즈 1권. 논쟁의 핵심 내용부터 역사 논쟁을 어떻게 받아들어야 하는지까지 아이에게 역사 논쟁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기 쉽게 들려주는 책.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한.중.일 세 나라를 둘러싼 역사 논쟁을 모두 담고 있다. 아이들이 팀을 구성해서 각국을 대표해서 주장을 펼치는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불거지고 있는 역사 논쟁을 쌍방향으로 생동감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아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장 말미마다 각국의 쟁점을 알기 쉽게 정리해 주었다.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역사논쟁의 핵심들만 뽑아 아이들이 알기 쉽게 정리해 놓았다. 일방적으로 우리나라의 주장만 암송하던 아이들에게 역사 논쟁을 바라보는 시각을 키워주는 좋은 정보서가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토론도 하고 역사를 보는 시각도 넓히고!

지금의 한국과 중국, 일본은 아주 오래전부터 교류를 해 왔습니다. 지금의 땅에 수많은 나라가 생겨나고 없어지는 동안에도 세 나라는 계속 이웃이었지요. 사이가 좋을 때도 있었지만, 싸움도 많이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세 나라에는 서로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세 나라는 그 흔적으로 치열한 역사 논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고구려 역사 문제와 일본과 한국의 독도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문제 등 이렇듯 세 나라는 협력해야 할 이웃이면서 때론 싸워야 할 상대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쟁점들은 지속적으로 서로를 자극하며 논쟁이 되고 있습니다.
한·중·일 역사 논쟁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그리고 중국과 일본의 주장에 우리는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까요?
이 책은 논쟁의 핵심 내용부터 역사 논쟁을 어떻게 받아들어야 하는지까지 아이에게 역사 논쟁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기 쉽게 들려줍니다.
아이들은 두 개의 팀을 나누고 한국뿐 아니라 일본과 중국의 팀도 되어 자료를 조사하고 토론을 하게 됩니다. ‘역사 논쟁’을 역지사지(易地思之)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해 본다시리즈 1권으로 정한 이유는 ‘무조건 우리나라가 옳고, 우리나라기 때문에 옳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일본이나 중국의 입장이 되어 그들의 주장을 분석해 보자는 취지에서 입니다.
상대의 주장을 무조건 틀리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주장을 잘 듣고, 그 주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할 자료를 제시하며 알아가는 것이 논쟁을 바로 보는 방법일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들은 어린이로 구성된 각국 대표팀의 치열한 역사 토론을 통해 역사 논쟁의 주요 내용과 각국의 쟁점을 알게 될 것입니다.

여기서 다루고 있는 역사 논쟁에 대해 여러분은 이미 답이 있을 거야. 고구려는 우리 역사이며, 독도는 한국 땅이고……. 그런데 중국이나 일본이 왜 그런 주장을 하는지는 대부분 잘 몰라. 들어본 적도 없고 관심도 없었을 거야. 상대의 주장을 모른 채 주어진 답을 암송하는 건 역사 논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안 돼. 상대가 우리의 주장을 분석해서 빈틈을 찾고 허점을 반박하면 어떻게 될까? 목소리 큰 것만으로 버틸 수는 없겠지? 다른 나라의 주장이 무엇인지 그것이 역사적 사실에 맞는지를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해. 그것은 무엇이 우리나라의 이익에 맞는지에 앞서 무엇이 사실인지를 생각할 줄 아는 자세가 필요한 것과 같아. 이 책에서는 여러분이 알고 있는 답을 틀렸다거나 또는 맞았다거나 확인해 주지는 않아. 각 역사 쟁점에 어떤 주장들이 부딪치고 있는지를 보여줄 뿐이야. 여러분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해 보라는 거지. 중국이나 일본이 왜 그러한 주장을 하는지, 그런 주장에는 어떤 근거가 있는지를 검토하면서 자신의 답을 갖기를 바라는 거야. -저자의 말 중에서

한국·중국·일본 세 나라의 역사 논쟁, 한 권으로 끝내기!
“고구려사 한국사인가, 중국사인가?”
“독도는 누구 땅일까?”
“동해일까, 일본해일까?”

이 책은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한·중·일 세 나라를 둘러싼 역사 논쟁을 모두 담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팀을 구성해서 각국을 대표해서 주장을 펼치는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불거지고 있는 역사 논쟁을 쌍방향으로 생동감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이 책을 통해 토론의 중요성은 물론 올바른 토론법도 배우게 될 것입니다. 또한 하나의 목소리로 일방적으로 우리나라의 주장만 암송하던 아이들에게 역사 논쟁을 바라보는 시각을 키워주는 좋은 정보서가 될 것입니다.
아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장 말미마다 각국의 쟁점을 알기 쉽게 정리해 주었습니다.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역사논쟁의 핵심들만 뽑아 아이들이 알기 쉽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지피지기백전불태 [知彼知己百戰不殆] 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적과 아군의 실정을 잘 비교 검토한 후 승산이 있을 때 싸운다면 백 번을 싸워도 결코 위태롭지 않다’라는 뜻입니다. 책을 다 읽고 난 뒤에는 한·중·일 역사 논쟁의 핵심은 물론, 역사 논쟁을 어떻게 대비하고 바라볼 것인지 알게 될 것입니다.




“에, 이번 역사 토론 대회 결과는, 중국팀의 승리라 해야겠습니다. 작은 차이지만…….”
선생님이 말을 이어가려 했지만 한꺼번에 터진 아이들의 악 쓰는 소리에 막히고 말았다. 모두 제각기 소리를 질러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었지만‘말도 안 돼요!’하는 소리만은 반복적으로 들렸다. 한국팀 토론자들은 고개를 떨어뜨린 채 말이 없었다.
“심사 결과는 누구의 주장이 옳았나에 대한 평가가 아니에요. 어느 팀이 자신의 주장을 올바르게 말하면서 토론했는가를 보는 거예요. 한국팀은 토론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였어요. 상대 주장이 뭔지, 그 주장의 근거를 제대로 살피지 않은 채 토론을 했어요. 그러다 보니 상대의 주장을 반박하기보다는 자신의 주장을 되풀이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게다가 토론 과정에서 상대의 주장을 감정적으로 대하는 예의에 어긋난 행동을 하기도 했고요. 거기에 비해 중국팀은 자기주장을 잘 정리했고, 그에 대한 나름의 근거들을 제시하며 한국팀의 주장을 적절하게 반박하려 했어요.”
아이들을 모두 돌아본 뒤 선생님의 말이 다시 이어졌다.
“내 주장이 옳다는 확신만으로 토론할 수는 없는 거예요. 그렇게 토론해서는 상대를 이길 수도 없지만, 토론은 이기기 위해 하는 게 아니에요. 상대를 설득할 수 있어야죠. 그러기 위해서는 나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말하고, 상대의 주장을 반박할 수 있어야 해요. 그런데 한국팀은 상대의 주장은 생각 않고 이기려고만 한 것 같아요.”
아이들이 가만히 있었다. 그렇다고 수긍하는 분위기도 아니었다. 종수가 침울한 얼굴로 일어섰다.
“선생님, 선생님 말씀 잘 알겠습니다. 저희가 못했다는 거, 인정합니다. 하지만……. 억울해요. 다시 하게 해 주세요.”
“다시 하자고? 안 돼, 다음에 할 게 얼마나 많은데…….”
아이들이 벌 떼같이 일어났다.‘ 다시해요!’하는 외침이 쏟아지더니 일부는‘재대결!’을 박자 맞추어 연호했다. 아이들을 조용히시킨 선생님이 짐짓 근엄한 표정으로 말했다.
“재대결한다고 무엇이 달라질까? 이것이 역사 속 사건이라면 그건 절대 바뀔 수 없는 거예요. 역사적 사실이란 그런 거예요. 내 맘에 들지 않는다고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게 아니죠. 준비를 제대로 못 해 토론에 진 게 억울할 수도 있겠지만, 그건 누굴 탓할 게 아니잖아요. 만일 이것이 실제 국제 토론이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고구려는 중국의 역사라는 생각이 국제적으로 널리 퍼지게 될 수도 있겠죠.”
“잘못한 거, 인정합니다. 이길 생각만 했고……. 당연히 이길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중국이 주장하는 게 뭔지 충분히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제대로 공부 안 한 거 인정합니다. 다시 공부할 기회를 주세요.”

“그럼 이번에는 왜 팀을 미리 정해요?”
“뭐, 아무래도 한국팀 하려는 마음은 다 똑같을 테니 공평하게 번갈아 해 보자는 거예요. 두 주제 남았으니까, 그것도 아주 뜨거운 것으로…….”
선생님이 동전을 던져 손등에 올려 손바닥으로 가렸다. 호준이 먼저‘앞면’을 외쳤다. 뒷면이었다. 머리를 긁적이는 호준을 향해 현희가 인상을 썼다. 잠깐 저희들끼리 상의를 한 후 원우가 말했다.
“선생님, 한국으로 할래요.”
“그럼, 다음 토론 때는 우리가 한국팀인 거죠?”
“그래.”
선생님의 확인을 받은 호준이 현희를 쳐다보았지만, 현희는 고개를 돌렸다. 준비 모임을 했으나 종수는 굳은 표정을 풀지 않았고 호준도 쭈뼛거릴 뿐 별 말이 없었다. 현희 혼자 애를 쓰다 기초 조사를 해서 다시 모임을 갖기로 하고 헤어졌다.

  작가 소개

저자 : 최영민
어렸을 때 책을 열심히 읽지 않아 뒤늦게 그때 안 읽은 책을 읽는다고 고생하는 사람입니다. 글 쓰는 것도 싫어해 오랫동안 남이 써 놓은 글 자르고 붙이는 일을 해왔지요. 그 버릇으로 논술도 가르치고요. 편견과 고정관념에 빠지지 않고 세상을 보려면, ‘사는 대로 생각하지 않고 생각하는 대로 살려면’ 제대로 생각할 줄 알아야겠다 싶어 그런 책을 쓰려고 합니다. 저서로는 《역사 논쟁》, 《양극화 논쟁》, 《알류샨의 마법》, 《넓게 보고 깊게 생각하는 주장과 근거》 등이 있습니다.

  목차

1장_고구려사, 한국사인가, 중국사인가?
역사 토론 대회가 열리다! 016 | 고구려는 중국의 작은 나라들 가운데 하나? 018 | 한국팀, 고구려 역사를 뺏기다 027 | 고구려 역사는 지금의 중국 땅에 있다? 031 | 함께 정리해 보기_ 고구려 역사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쟁점 039

2장_고대 한반도에 일본 식민지가 있었다?
역사는 역사일 뿐 현재와 다른 것 044 | 어떻게 일본 편을 들지? 048 |《 일본서기》의 기록을 어떻게 봐야 할까? 051 | 일본은 광개토 대왕 비문의 내용을 조작했을까? 058 | 백제에서 일본으로 간 칠지도의 비밀 065 | ‘임나일본부’의 실체는? 070 | 함께 정리해 보기_임나일본부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쟁점 073

3장_일제 강점기 36년, 조선을 근대화하다?
한국의 발전은 일본의 지배 덕분? 078 | 토지 조사 사업은 농업을 근대화했나? 080 | 조선을 달리던 철도, 누굴 위한 것이었나? 088 | ‘한강의 기적’은 일본의 지배 덕분이었다? 094 | 의도와 결과 중 역사 평가에서 어떤 게 더 중요할까? 098 | 함께 정리해 보기_일제 강점기 조선 근대화설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쟁점 101

4장_종군 위안부, 일본은 책임이 없나?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 법정을 가다 106 | 일본의 왕을 재판하다 111 | 위안부 모집 강제였나, 스스로 한 것이었나? 114 | 위안부 배상, 일본의 책임은 끝났나? 123 | 인권보다 나라 이익이 먼저일까? 129 | 함께 정리해 보기_종군 위안부 책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쟁점 133

5장_야스쿠니 신사 참배, 한국은 왜 반대하나?
한국팀할까, 일본팀할까? 138 | 야스쿠니 신사는 어떤 곳인가? 142 | 야스쿠니 신사, 일본 정보와 무관한가? 149 | 야스쿠니 신사에 왜 한국인이 있을까? 152 | 침략자와 애국자의 차이 155 | 함께 정리해 보기_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쟁점 159

6장_독도는 누구 땅인가?
한국이니까 무조건 옳은 건 아니다 164 | 한국 역사 기록에 독도는 없다? 167 | 안용복의 진술은 사실이 아닌가? 175 | 주인 없는 땅, 먼저 차지하는 게 임자! 180 | 해방 후 독도의 귀속 문제 186 | 국제 재판, 일본은 요구, 한국은 반대! 193 | 함께 정리해 보기_독도 영유권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쟁점 199

7장_동해인가 일본해인가?
역사 토론은 우리가 옳았다는 걸 확인하는 게 아니다! 204 | 동해는 어디의 동쪽 바다인가? 212 | 일본해라는 이름 어떻게 정해졌나? 217 | 두 나라가 다투는 바다 이름, 어떻게 정해야 하나? 223 | 동해 이름, 두 나라의 합의로 정해야 한다 229 | 함께 정리해 보기_동해 표기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쟁점 232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