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2 - 중국 이미지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2 - 중국
소명출판 | 부모님 | 2018.11.16
  • 정가
  • 23,000원
  • 판매가
  • 20,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150P (5% 적립)
  • 상세정보
  • 22.3x15.2 | 0.636Kg | 347p
  • ISBN
  • 979115905329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시간과 공간의 불균등성을 염두에 두고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11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관내’와 ‘만주’로 나누었으며, ‘관내’ 중에서는 베이징, 항일근거지, 상해과 항주에 주목하였고, 이광수, 한설야, 오상순, 김태준, 김사량, 김광주, 심훈 등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기영과 안수길을 통해 ‘만주’의 경우를 살피고자 하였다.

역사적 시간을 감안.편집하여, 이 책으로 20세기 동아시아의 역사를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근대 중국 역시 동아시아적이며 지구적인 시공간이었고, 식민주의, 전쟁, 냉전을 경험하였다. 이 점을 감안하여 이 책은 1945년 이전 중국에 한정하지 않고, 일본-한국-중국 등 동아시아의 사상 연쇄, 혹은 분단과 냉전으로 인한 주체의 이동과 재현의 (불)가능성이라는 문제 또한 함께 발신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의 기획,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의 관계를 살펴보다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의 기획은 지구적 동아시아라는 시각을 고려하면서, 한국 근대문학을 읽는 방법을 만들고자 한다. 이에 기획의 첫 번째 단행본에서는 ‘일본’에 집중하였으며, 2018년에는 두 번째 권으로 ‘중국’과의 관련성을 다룬 연구들을 엮어냈다.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의 관계를 보여주는
11편을 모으다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2-중국은 시간과 공간의 불균등성을 염두에 두고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11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관내’와 ‘만주’로 나누었으며, ‘관내’ 중에서는 베이징, 항일근거지, 상해과 항주에 주목하였고, 이광수, 한설야, 오상순, 김태준, 김사량, 김광주, 심훈 등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기영과 안수길을 통해 ‘만주’의 경우를 살피고자 하였다. 역사적 시간을 감안.편집하여, 이 책으로 20세기 동아시아의 역사를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근대 중국 역시 동아시아적이며 지구적인 시공간이었고, 식민주의, 전쟁, 냉전을 경험하였다. 이 점을 감안하여 이 책은 1945년 이전 중국에 한정하지 않고, 일본-한국-중국 등 동아시아의 사상 연쇄, 혹은 분단과 냉전으로 인한 주체의 이동과 재현의 (불)가능성이라는 문제 또한 함께 발신하고 있다.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의 관계 연구에 대한 첫걸음
중화제국의 해체를 경험한 중국은 일본의 길과 다른 길을 걸었기에 근대 한국의 문인들에게는 또 다른 참조항이 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화하고 이어서 중국을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두려고 하면서부터 중국은 한국에 각별한 의미를 가지지 않을 수 없었다. 많은 한국의 문인들은 중국을 방문하거나 그곳에 이주한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썼다.
이러한 관심은 단지 편자들의 고민만은 아니었으며, 이미 많은 한국 근대문학 연구자들은 일본과 중국이라는 경로를 통해서 한국 근대문학의 정체성과 가능성을 재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근대문학과 일본의 관계는 점점 명료해지고 있지만, 중국과의 관계는 아직까지 연구의 시각을 충분히 갖추지 못하였다. 그것은 중국의 중층성과 관련된다. 연이어 경험한 여러 세계사적 사건으로 인해 근대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밀한 시간 단위를 필요로 한다. 중국의 광활한 대지는 균질적인 공간이 아니라 각각 환원불가능한 구체적인 장소로서 존재하였다. 또한 근대 중국의 문인들은 근대 한국의 문인들과 마찬가지로 일본 유학을 경험하였다. 앞으로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의 관계를 보다 명료하게 이해하려면 이러한 점에 대한 숙고가 필요한데, 이 책은 그러한 연구의 시각을 갖추기 위한 첫 걸음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현재의 국경을 넘어 한국과 중국 연구자들이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의 문제성과 가능성을 활발히 논의하리라 기대된다.

엮은이
김재용(金在湧, Kim Jaeyong)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장문석(張紋碩, Jang Moon-seok)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글쓴이(수록순)
김재용(金在湧, Kim Jaeyong)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최학송(崔鶴松, Cui Hesong)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부 부교수
이은지(李銀池, Lee Eunji)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이경재(李京在, Lee Kyungjae)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장문석(張紋碩, Jang Moon-seok)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정주아(鄭珠娥, Joung Ju A)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이양숙(李良淑, Lee Yangsook)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부교수
하상일(河相一, Ha Sang Il) 동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이상경(李相瓊, Lee Sang-kyung)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김장선(金長善, Jin Changshan) 중국 천진사범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이해영(李海英, Li Haiying) 중국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어과 교수

  목차

책머리에

서장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일제 말 최후기를 중심으로-김재용

1부_관내
북경 및 항일 근거지

한국 근대문학과 베이징-최학송
1920년대 오상순의 예술론과 이상적 공동체상像-이은지
1920년대 초반 북경의 사상 지형과 한설야의 ??열풍??-이경재
김태준과 연안행-장문석
혁명의 정념, 1945년 중경重慶과 연안延安 사이
항일무장대가 남긴 ‘걷기長征’의 기록들-정주아

상해 및 화동
김광주 소설에 나타난 탈경계의 의미
1930년대 상하이 체험을 중심으로-이양숙
심훈과 항주-하상일

2부_만주
‘배화排華 사건’과 한국문학-이상경
[만선일보] 연재소설 이기영 [처녀지] 소고-김장선
위만주국僞滿洲國 조선계 작가 안수길과 ‘민족협화’-이해영

초출일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