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갤러리북 시리즈. 2002년 겨울, 명화의 아름다움과 감동을 전하겠다는 일념으로 원화 퀄리 티에 가까운 특수 그림 인쇄를 독자적인 16년간의 연구를 통해 2018년 봄에 탄생하였으며, 큰 판형의 일반적인 책에 미술용지 같은 고급 용지를 사용하여 지금까지의 일반 명화집에서는 볼 수 없었던 명화의 아름다움과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편집 형식도 큰 판형의 페이 지에서 온전한 작품을 감상하고 국내 서양미술사 작가로 저명한 김영숙 작가의 쉽고 재미있는 글이 도슨트 형식의 글로 편집되어 미술관처럼 명화를 보다 가까이 느끼고 이해하면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높은 인쇄 퀄리티는 갤러리북에 수록된 작품 중 마음에 드는 작 품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액자에 담거나 붙이는 등, 디스플레이를 통한 감상이 가능해 명화와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여러가지 활용이 가능한 도서로 제작되었다.
출판사 리뷰
세상은 정말 놀라운 예술 작품들로 가득합니다. 우리는 그런 예술 작품을 직접 보게 되면 경외 감에 탄성을 지르기도 하고 때론 아름다움에 빠져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놀라운 예 술 작품들을 제대로 감상할 수 없는 현실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예술 작품과 관련된 많은 상 품들이 실제 원작과 다르다는 사실도 많은 사람들은 알고 있습니다. 만약, 원작의 감동이 느껴 지는 상품을 누구나 쉽게 간직하고 즐길 수 있다면...,
우리가 예술 작품을 보거나 간직하는 방법은 복제품이나 핸드폰, PC의 모니터, 그리고 책이 있 습니다. 유화컴퍼니가 원작의 감동을 담고 싶었던 것은, 누구나 쉽게 간직하고 만질 수 있는 책 이였습니다.
2003년, 원작의 아름다운 감동을 책에 담겠다는 상상을 현실로 이루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습 니다. 우선, 대량의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옵셋인쇄라는 생산 시스템을 이용해야 합니다. 하지 만, 시간당 1만장 이상의 속도에서 원작의 감동을 담아내는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생산속도도 문제지만, 일반 잉크로 표현하기 어려운 원작의 컬러와 직접 그린 듯한 디테일을 재현하기 위 해서는 종이, 잉크, 망점, 분판 등 인쇄 영역 전반에 걸쳐 기존 방식과 다른 새로운 방법을 찾 아야 했습니다.
2003년~2017년,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프린트 테스트와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실패를 거듭했 습니다. 그리고 2018년 3월, 수 없이 많은 실패와 멈추지 않았던 도전으로 세상에서 가장 그림 같은 책을 보여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화컴퍼니의 오랜 바램과 새로운 기술로 만들어진 갤 러리북은 비싸고 고급스러운 명화집이 아니라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명화를 그림처럼 담아 낸 책입니다. 더 많은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책,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행복한 아름다움을 나누고 싶은 책이 갤러리북입니다.
[미디어 소개]☞ YTN 라디오 2018년 5월 3일자 바로가기☞ 연합뉴스 2018년 4월 8일자 기사 바로가기☞ 시사IN 2018년 5월 18일자 기사 바로가기☞ 서울신문 2018년 4월 23일자 기사 바로가기☞ 한국일보 2018년 4월 28일자 기사 바로가기☞ 네이버 포스트 2018년 4월 26일자 기사 바로가기☞ 노블레스 매거진 2018년 10월 25일자 기사 바로가기☞ 위클리 공감 2018년 8월 25일자 기사 바로가기1890년 7월 27일. 그날, (중략) 다음 날 테오가 달려왔을 때 빈센트는 "이번에도 실패했어"라 고 중얼거렸다. 종일 파이프를 물고 있던 빈센트가 마지막 가쁜 숨을 몰아쉬자 테오가 그를 안
고 팔베개를 해주었다. "나는 이제 돌아가고 싶어." 빈센트가 마지막 남긴 말이다.
서른일곱 살, 미완성의 《뿌리》를, 그리고 역시나 미완성인 자신의 삶을 이젤에 걸어둔 채로 그 가 떠났다. 채 피어보지도 못한 빈센트 반 고흐라는 꽃이 젖은 뿌리 위로 툭 떨어졌다. 1882년, 화가로서의 꿈에 부풀어 오른 그가 한 말이 허공을 울린다.
"나는 사람들이 내 작품을 보고 이렇게 말했으면 좋겠어. 이 사람은 깊이 느끼고 있구나, 강렬 하게 느끼고 있구나!라고…."(1882년 7월 21일)
눈을 감는 순간, 그는 자신이 실패했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는 그의 그 림을 통해, 그가 얼마나 깊이, 그리고 강렬하게 느꼈고, 그 강렬함을 온몸으로 표현하고자 얼마 나 거칠 수밖에 없었는지를 말할 수 있다. 그는 그림으로 울었던 사람이다.
-갤러리북시리즈 2,《 세 개의 뿌리 》 일부발췌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영숙
1964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서반아어문학과를 졸업한 후, 주한 칠레 대사관과 볼리비아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대학 시절 아마추어 서클인 오케스트라에서 플루트를 연주하기도 했으며, 광적으로 클래식과 재즈 음악감상을 즐기며 살고 있다. 사이버주부대학에 연재한 「음악이 있는 그림 이야기」, 「명화와 함께 읽는 그리스 신화」가 많은 누리꾼의 관심을 받았으며, 그림 애호가로서 온라인에 연재한 글이 출판되자, 마흔 나이에 늦깎이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해서 미술사를 공부하였다. 이후 미국 로스앤젤레스 앤드루샤이어(Andrewshire)갤러리에서 미술사를 강의했고, 최근 귀국해 강의와 저술 활동에 열중하고 있다. 늘 새로운 것을 찾아나서는 그녀는 틈나는 대로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한다.저서로는 『그림수다』 『현대미술가들의 발칙한 저항』 『루브르와 오르세의 명화 산책』 『그림 속 예수를 만나다』 『파리 블루』 『나도 타오르고 싶다』 『자연을 사랑한 화가들』(공저) 등이 있고, 『엘그레코』를 번역했다. 『내가 제우스였다면?』 『내가 헤라클레스였다면?』 『미술관에 가고 싶어지는 미술책』 『미술관에서 만나는 그리스 신화』『그림 속에 숨어 있는 어린이 세계사』 등 청소년과 어린이를 위한 책도 여러 권 썼다.
목차
4 Life of Vincent 빈센트의 삶
8 Art of Vincent 빈센트의 미술
17 Bridge in the Rain (after Hiroshige) 빗속의 다리
Flowering Plum Tree (after Hiroshige) 꽃이 핀 자두나무
Oiran (after Eisen) 오이란
21 Portrait of Pre Tanguy 탕기 아저씨의 초상
25 The Restaurant de la Sirne at Asnires 아니에르의 시렌 레스토랑
29 Imperial Fritillaries in a Copper Vase 구리화병의 왕관패모꽃
33 Portrait of Joseph Roulin 룰랭의 초상화
37 The Night Caf in Arles 아를의 밤의 카페
41 L'Arlsienne: Madame Ginoux with books 아를의 여인(책을 들고 있는 지누 부인)
45 Red Vineyard at Arles 붉은 포도밭
49 Ladies of Arles (Memory of the Garden at Etten) 아를의 여인들(에텐의 기억)
55 Gauguin’s Chair 고갱의 의자
Vincent’s Chair 빈센트의 의자
59 Self-Portrait with Bandaged Ear 귀를 자른 자화상
63 Iris 붓꽃
67 The Starry Night 별이 빛나는 밤
71 Country road in Provence by night 밤의 프로방스 시골길
75 Iris 붓꽃
79 The church in Auvers-sur-Oise, view from the Chevet 오베르 쉬르 우아즈 교회
83 Portrait of Doctor Gachet 가셰 박사의 초상
89 Wheat Field with Crows 까마귀 나는 밀밭
95 Tree Roots and Trunks 나무뿌리와 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