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시습
1435년 서울 성균관 북쪽에 있는 반궁리(泮宮里)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강릉이다. 친가 외가 모두 대단한 집안이 아니었다. 외가에서 자라면서 말을 배울 무렵부터 외조부에게서 글자를 익히기 시작했다. 김시습은 유년 시절 장안의 화제였다. 두 살 때 “난간 앞에 꽃 웃으나 소리 아니 들리고, 숲 아래 새 울지만 눈물 보기 어렵네(花笑檻前聲未聽, 鳥啼林下淚難看)” 구절을 듣고는 병풍의 꽃과 새를 가리켰다거나, 다섯 살 때 자기를 보러 온 정승 허조(許稠, 1369∼1439)를 두고 “고목에 꽃이 피니 마음 늙지 않았다오(老木開花心不老)”라는 시구를 지었다는 종류의 이야기가 여럿 전해 온다. 소년의 천재성은 궁궐 안에까지 들려왔고, 세종은 그를 불러 시험하게 했다고 한다. 하지만 유년기의 천재성과 이로 인한 주변의 칭찬은 김시습의 삶을 불행한 쪽으로 몰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예나 지금이나 천재성은 비정상성과 통하고, 유년기의 능력은 나이가 들면서 퇴색하기 십상이며, 그 자질은 건강하고 행복한 삶과 비례하지 않는다. 김시습은 내성적이며 부끄럼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뒷날 그는 친지와 이웃의 넘치는 칭찬 때문에 힘들었다고 고백했다. 과거엔 실패했고 집안은 빈한했다. 유년기의 충만감은 일순 공허감으로 뒤바뀌었다. 15세에 어머니를 여의었다. 오래도록 치유되기 어려운 내상을 입었다. 아버지는 곧 재취했다. 평생 집에 마음을 붙이지 못하고 떠도는 계기가 되었다. 18세 즈음에 혼인을 했지만 결혼 생활은 순탄하지 않았다. 이후 계유정난(癸酉靖難, 1453), 단종의 선위와 세조의 즉위(1455), 단종 복위 운동의 실패와 사육신 등의 죽음(1456), 단종의 죽음(1457) 등 정치적 격변이 잇달아 일어났다. 여러 문헌에는 김시습이 사육신의 시신을 수습해 매장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458년, 24세의 김시습은 승려 행색으로 관서 여행을 떠났다. 평생의 방랑이 시작된 것이다. 이후 관동과 호남을 유람하고, 서른 살 무렵에 경주에 안착한다. 37세(1471)에 경주 생활을 청산하고 서울로 이주했다. 이듬해 수락산 동쪽에 집을 짓고 평생을 이곳에서 살려고 마음먹었다. 수락산 시절 김시습은 외부 활동과 교유를 자제하고 수행과 학문에 전념했던 것으로 보인다.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등의 주요 불교 저술을 지었다. 이 시기 가장 가까이 지낸 사람은 남효온(1454∼1492)이었다. 후대 사람들은 두 사람을 생육신으로 묶어 일컬었다. 47세에는 잠시 환속해 다시 결혼하고 부친의 제사를 지냈다. 잠시 공부와 시작(詩作)의 방향이 유교로 급격하게 쏠렸다. 하지만 두 번째 결혼 생활도 오래가지 못했다. 수락산에 터를 잡은 지 만 10년이 되는 1483년 봄, 49세의 김시습은 다시 짐을 꾸려 길을 떠났다. 남효온이 지은 시에 따르면, 김시습은 육경(六經)과 역사서 등을 싣고 관동의 산수를 돌아다니다가 농토를 얻어 생계를 꾸릴 것이며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작정이라고 했다. 이후 10년 그의 발걸음은 춘천, 홍천, 인제, 양양, 강릉 등지를 지났다. 오봉산과 오대산과 설악산에 머물렀다. 바닷가에서 한 철을 보내기도 했다. 그러는 사이에 늙어 갔다. 1493년, 죽음을 직감한 코끼리가 깊은 동굴을 찾아들 듯이, 이승을 떠날 때가 된 김시습은 백제로 향했다. 무량사(無量寺), 지금은 부여군 외산면에 있는 아늑하고 포근하며 부드러운 절집에서 그는 평생 방랑에 지친 영혼을 안식한다.
진시황을 생각하며ㆍ11
세상과 어긋나지 않으리라ㆍ13
공자도 석가도 부질없어라ㆍ14
세상일은 도무지 믿을 수 없어ㆍ15
어디로 가야 할까ㆍ16
산길을 가다가ㆍ17
잠실에서ㆍ18
대동강을 건너면서ㆍ19
내 뜻대로 안 되어라ㆍ20
끝없는 시름ㆍ21
답답하기에ㆍ22
늙은 뒤에는 어찌 살거나ㆍ23
내 한 몸ㆍ24
마음 내키는 대로 말한다ㆍ25
그것도 또한 은총이어라ㆍ26
이무기를 낚으려 했는데ㆍ27
소나무가 자라서ㆍ28
어떤 손님ㆍ29
나 자신에게ㆍ31
가을생각ㆍ32
큰 소리ㆍ33
하루ㆍ34
산으로 들어갈까 생각하면서ㆍ35
늙어가며 병도 많아라ㆍ36
커다란 붓을 얻어서ㆍ37
뱃속에 든 일천 권 책을ㆍ38
집이 새니 마음이 편치 않아ㆍ39
문장은 신세를 망친다오ㆍ40
장자방의 일생을 생각하며ㆍ41
티끌 속을 쏘다니는 서거정에게ㆍ45
등불을 돋우며 옛일을 얘기하다ㆍ46
낮잠을 즐기느라고ㆍ47
가난이 와도 내버려 두노라ㆍ48
취한 세상ㆍ49
한가하게 살면서ㆍ50
풀만 거칠고 콩싹은 드물어라ㆍ51
천 집의 밥이 내 것일세ㆍ52
온종일 짚신 신고 거닐었더니ㆍ53
한낮ㆍ54
개었나 했더니 또 비가 오네ㆍ55
산으로 돌아와서ㆍ56
대나무 홈통ㆍ57
시냇물이 불더니ㆍ58
명예와 이익의 세상을 한번 버리고 나니ㆍ59
시를 배우겠다기에ㆍ61
큰 쥐ㆍ63
낙엽ㆍ65
남효온의 시에 화답하다ㆍ66
남효온과 헤어지며ㆍ67
금오신화를 지으면서ㆍ68
늙는 것은 어쩔 수 없네ㆍ69
호랑이 굴을 피해 나오고ㆍ70
도연명에게 화답하며ㆍ71
벗을 그리워하며ㆍ72
형체가 그림자에게ㆍ73
왕륜사에 노닐면서ㆍ75
날 저물 무렵ㆍ76
산을 나서면서ㆍ77
신선세계에 노닐면서ㆍ78
용장사에 머물면서ㆍ79
금오산 오막으로 가고 싶어라ㆍ80
궁궐을 떠나 금오산으로 가면서ㆍ82
산속 집에서ㆍ83
나이 쉰에 아들 하나 없으니ㆍ85
하늘을 보고 땅을 보며ㆍ86
외나무 다리ㆍ87
세상일 뜻대로 안 되어라ㆍ88
떠돌아다니다가ㆍ89
산속의 도인에게ㆍ90
동봉 육가ㆍ91
밤이 얼마나 지났는가ㆍ93
책도 안 보는 내 눈이 부끄러워라ㆍ94
나 좋을 대로 살리라ㆍ95
시를 짓지 않으면 즐길 일이 없어라ㆍ96
말라 죽은 나무ㆍ99
마음껏 하고 싶어라ㆍ100
시인과 이야기하며ㆍ102
백운암에 있는 한(閑) 스님에게ㆍ104
수락산 절간에서ㆍ105
이 즐거움을ㆍ106
눈덩이 떨어지는 소리를 들으며ㆍ107
어느 곳 가을이 좋을까ㆍ108
홀로 지내는 밤ㆍ110
어느 집 도련님일까ㆍ111
삼각산ㆍ112
꼿꼿한 상소로 칭찬받던 벗이여ㆍ113
피 토하며 쓰러져서ㆍ114
세조대왕 만수무강ㆍ115
부록
김시습전/이율곡ㆍ118
김시습의 시와 생애/리가원ㆍ128
연보ㆍ134
原詩題目 찾아보기ㆍ152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