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왜 그토록 하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관심을 보였는지, 통일 신라 시대 백성의 삶은 어떠했는지, 고려 태조 왕건은 왜 29명이나 되는 부인을 두었는지, 《팔만대장경》 목판과 역사책에 적힌 제작 연도가 왜 서로 다른지, 한양 도성 공사를 왜 추운 겨울에만 했는지, 이순신 장군이 어떻게 12척으로 수백 척의 왜군을 물리칠 수 있었는지, 우리가 잘 알고 있던 여섯 개의 역사를 통계의 시선으로 풀어냈다.
출판사 리뷰
- 통계청이 공식 추천하는 청소년을 위한 첫 번째 통계책
- 통계의 시선으로 보면 새로운 역사가 펼쳐진다!
-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역사 속 통계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
- 고려 태조 왕건의 부인은 왜 29명이나 되는 걸까? 역사와 사회를 보는 눈을 틔워 주는 통계적 사고법통계의 시선으로 보면 새로운 역사가 펼쳐진다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역사 속 통계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 주니어김영사에서 청소년을 위한 《역사에 숨은 통계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역사책에 기록된 단 몇 줄의 숫자에 주목해 그 속에 담긴 신기하고 재미있는 통계 이야기를 들려준다.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왜 그토록 하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관심을 보였는지, 통일 신라 시대 백성의 삶은 어떠했는지, 고려 태조 왕건은 왜 29명이나 되는 부인을 두었는지, 《팔만대장경》 목판과 역사책에 적힌 제작 연도가 왜 서로 다른지, 한양 도성 공사를 왜 추운 겨울에만 했는지, 이순신 장군이 어떻게 12척으로 수백 척의 왜군을 물리칠 수 있었는지, 우리가 잘 알고 있던 여섯 개의 역사를 통계의 시선으로 풀어낸 이 책은 통계가 어렵기만 한 수학의 분야가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방법이라고 말한다. 독자들은 《역사에 숨은 통계 이야기》를 읽으며, 그동안 드러난 사실로 알고 있던 내용에서 한발짝만 더 들어가 보면 새로운 역사가 펼쳐진다는 재미있는 사실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와 사회를 보는 눈을 틔워 주는 통계적 사고법
고구려, 백제, 신라는 왜 수많은 천문 현상 중에 일식에 주목했을까?
고려 태조 왕건의 부인은 왜 29명이나 되는 걸까?《역사에 숨은 통계 이야기》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섯 개의 역사 이야기를 통계라는 안경을 쓰고 새롭게 들여다본다.
먼저 1장 ‘고구려, 백제, 신라 그리고 하늘’에서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일식의 횟수를 보며 삼국은 왜 일식 현상에 주목했는지 알아본다. 일식이 나타나는 원인을 모르던 시절, 임금을 하늘의 아들(천자)라 여겼던 사람들이 낮부터 어두컴컴해지는 일식 현상이 나타났을 때 얼마나 두려움에 떨었을지 상상이 가는가? 2장 ‘통일 신라 시대의 마을’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구 조사 자료인 《민정문서》를 통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통일 신라 시대 백성의 삶은 어떠했는지 살펴본다. 3장 ‘고려의 임금과 부인들’에서는 고려 시대 역대 왕의 부인과 자식의 수를 헤아려 보면서 고려의 임금은 왜 그렇게 부인을 많이 두었는지 이유를 알아본다. 호족과 가족 간의 치열한 왕위 다툼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4장 ‘고려와 《팔만대장경》’에서는 《팔만대장경》의 제작 연도가 역사서에 기록된 것과 목판에 새겨진 것이 왜 서로 다른지 따져, 그 비밀은 《팔만대장경》 제작 과정에 있었다는 것을 알려 준다. 5장에서는 조선 시대 ‘한양 도성 공사’는 왜 하필 가장 추울 때 진행했는지 알아보면서 조선8도에 대해 배운다. 마지막 6장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명랑 해전을 승리로 이끌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를 이순신 장군의 통계 활용 능력에서 찾는다.
《역사에 숨은 통계 이야기》는 기록으로 남겨진 각종 통계 자료나 수치를 통해 아주 먼 옛날, 우리 선조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하나하나 짚어 보면서 역사의 진실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간다. 2019 통계청 공식 추천도서이기도 한 이 책은 역사와 더 나아가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눈을 틔워 주는 청소년 교양서이다.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끼어드는 일은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야. 심지어 몇 십 년에 한 번 나타나기도 하거든. 반면 별똥별이 떨어지는 현상은 한 해에도 몇 차례나 나타나.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같은 행성은 수시로 움직이고, 혜성도 주기적으로 나타나지. 그렇다면 일식보다 별똥별의 낙하와 행성의 운동 횟수가 더 많이 기록되었어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삼국사기》의 통계 자료를 보면 어떤 천문 현상보다 일식이 훨씬 더 많이 기록되어 있어. 이유가 뭘까
1933년 10월의 어느 날, 쇼소인에 보관되어 있던 《화엄경 론》이라는 책을 수리하던 중에 그 속에 끼워져 있는 종이에 글자가 적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 이 종이의 글자를 분석해 보니 통일 신라 5소경 중 하나인 서원경과 그 주변 촌락에 대한 이야기였어. 바로 《민정문서》였던 거야. 《민정문서》가 왜 일본으로 흘러들어 갔는 지 정확히 알 수는 없어. 다만, 《화엄경론》을 보호하기 위해 폐지가 된 《민정문서》를 끼워 넣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어.
일본의 쇼소인
작가 소개
지은이 : 송은영
고려대학교 물리학과와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원자핵 물리학을 전공했다. 지은 책으로는 《보이지 않는 오염물질 미세먼지》 《세종대왕의 생각실험실》 《장영실의 생각실험실》 《이순신의 생각실험실》 《아인슈타인의 생각실험실》 《미스터 퐁 수학에 빠지다》 《미스터 퐁 과학에 빠지다》 《동요에서 찾은 놀라운 수학 원리》 《동요에서 찾은 놀라운 과학 원리》 《속담 속에 숨은 수학》 《블랙홀 랑데부》 등 여러 책이 있다. 제17회 한국과학기술 도서상 저술 부문에서 과학기술처 장관상을 수상했다.
목차
추천의 글 4
머리말 6
1. 고구려, 백제, 신라 그리고 하늘
삼국은 천문 현상에 관심이 많았어…13
삼국은 일식에 주목했어…16
일식 예측이 틀리면…19
임금이 일식을 무시하면…21
역사의 진실을 가리는 일식 통계…27
2. 통일 신라 시대의 마을
통일 신라 시대의 《민정문서》가 발견되었어…31
통일 신라 시대 마을의 크기는…33
인구를 구분했어…34
가축과 나무를 기록했어…38
우리나라 최초의 인구 조사 자료 《민정문서》…41
3. 고려의 임금과 부인들
왕은 왜 부인이 여럿일까…45
태조 왕건은 왜 유독 부인이 많았을까…48
고려의 두 번째 왕은 어느 부인의 아들이었을까…52
임금의 자리를 차지하려는 싸움이 벌어졌어…53
출산에 관한 통계 법칙…57
4. 고려와 《팔만대장경》
《팔만대장경》이란…63
왜 그때 《팔만대장경》을 제작했을까…64
《초조대장경》…68
1236년과 1237년의 차이는…71
1248년과 1251년의 차이는…76
《팔만대장경》의 미스터리…80
5. 한양 도성 건설
한양 도성 공사를 왜 추울 때 했을까…85
부역할 사람을 어느 지역에서 뽑을까…87
평안도와 함경도 백성은…90
한양 도성 1차 공사 이후…94
명당의 통계와 수도 한양…96
6. 이순신과 명량 해전
왜 12척이었을까…101
명량으로 유인하라…105
명량에서 일자진 전술을…109
명량의 지형 조건…111
명량 해전은 통계 해석의 빛나는 승리…116
찾아보기 118
참고 자료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