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예술,대중문화
한눈에 보는 금박 이미지

한눈에 보는 금박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부모님 | 2019.12.11
  • 정가
  • 16,000원
  • 판매가
  • 14,400원 (10% 할인)
  • S포인트
  • 800P (5% 적립)
  • 상세정보
  • 21x15.2 | 0.250Kg | 192p
  • ISBN
  • 979118932123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우리공예 디자인리소스북 16권. 뛰어난 우리의 전통 공예인 금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금박의 역사’, ‘금박의 다양한 쓰임새’에서부터, ‘금박의 제작 과정’과 ‘금박장 인터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통해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눈에 보는 금박>은 공저자들의 깊은 성찰과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특히 금박 관련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눈에 보는’ 시리즈물 특성을 잘 살려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특히 국가무형문화재 금박장 보유자인 김기호 선생의 금박 제작 과정을 생생하게 담아냄으로써 대표적인 금박 작품의 제작 과정을 사진과 영상(QR코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예가들의 작품을 소개함으로써 금박의 현재를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책의 말미에는 국가무형문화재 금박장 보유자인 김기호 선생의 인터뷰를 소개하였다. 전통을 잇는 장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전통의 계승과 현주소 그리고 나아갈 방향까지 모색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우리 공예의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담은 책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최봉현)에서는 우리 공예의 전통기술과 폭넓은 정보를 소개하기 위해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시리즈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 2011년 <한눈에 보는 나전칠기>를 시작으로 천연염색, 소목, 장석, 한지, 백자, 누비, 옹기, 침선, 매듭, 입사, 청자, 옻칠, 소반, 제와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리소스북 시리즈물을 15권 발간하였다. 이어서 올 해에는 <한눈에 보는 금박>과 <한눈에 보는 화혜> 두 권의 책을 발간하였다.

우리의 전통 금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책

금박은 복식과 직물에 금의 화려함을 더하여 장식석을 가미하는 섬유공예 기술 중 하나이다.
금박 공예는 왕실에서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복식, 쓰개류, 장신구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특히 삼국시대 유물에서도 금박 관련 공예품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역사가 깊고, 세공 기술 또한 상당히 뛰어났다.

<한눈에 보는 금박>은 이렇듯 뛰어난 우리의 전통 공예인 금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금박의 역사’, ‘금박의 다양한 쓰임새’에서부터, ‘금박의 제작 과정’과 ‘금박장 인터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통해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눈에 보는 금박>은 공저자들의 깊은 성찰과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특히 금박 관련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눈에 보는’ 시리즈물 특성을 잘 살려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특히 국가무형문화재 금박장 보유자인 김기호 선생의 금박 제작 과정을 생생하게 담아냄으로써 대표적인 금박 작품의 제작 과정을 사진과 영상(QR코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예가들의 작품을 소개함으로써 금박의 현재를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책의 말미에는 국가무형문화재 금박장 보유자인 김기호 선생의 인터뷰를 소개하였다. 전통을 잇는 장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전통의 계승과 현주소 그리고 나아갈 방향까지 모색하고 있다.

금박은 문양을 새긴 나무판에 접착제를 바르고 직물에 찍은 후 그 위에 금을 올려 표현한다. 이때 사용하는 판을 문양판이라고 한다. 문양판은 금박뿐만 아니라 자수와 흉배의 문양 본으로도 사용되었다.
문양판은 주로 배나무, 박달나무, 대추나무 등 단단한 수종樹種의 나무를 사용한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에 기록된 ‘박달목각성부금朴達木刻成付金’에서 문양판 재료로 박달나무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박달나무는 건축, 조각, 세공의 재료로 사용되는 수종으로 목질이 단단하며, 전국에 고루 분포하여 자생한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19호로 지정된 금박장 김기호 장인은 집안 대대로 돌배나무에 문양을 새겨 부금하고 있다.
문양판의 재료 준비와 문양 도안, 조각의 모든 과정은 금을 올리는 장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금박을 하는 장인은 문양판이 사용되는 복식이나 기물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왕실의 경우 지위에 따라 문양의 종류가 다르고, 같은 용문을 쓰더라도 왕・왕세자・왕세손에 따라 오조룡五爪龍, 사조룡四爪龍, 삼조룡三爪龍으로 구분하였다. 즉 지위, 복식, 위치에 따라 금박하는 문양을 명확하게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특징은 문양판에도 그대로 수용되었다.
문양판의 뒷면이나 옆면에는 만든 시기와 함께 원삼, 당의, 대란 등 복식의 종류를 기록하거나 각을 하였다. 또한 ‘ᄉᆞ매’, ‘ᄉᆞ매전’, ‘ᄉᆞ매후’라 하여 부금되는 세부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였다. 실제 당의의 깃에 사용한 문양판 뒷면에는 ‘뎡유듕하 당의복 깃판 신조’라 하여 당의의 깃판에 부금할 문양판을 정유년 여름에 새로 만들었다고 부금 시기와 용도를 구체적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용보龍補의 경우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용이 바라보는 방향이 정면, 좌・우측으로 달라진다. 이에 ‘좌견’ 등으로 기록하여 정확성을 가하였다. 복식뿐만 아니라 주머니에 사용되는 문양판을 ‘줌치판’이라 표시하여 대상에 따라 부금의 용도를 기록하였다.

가업인 금박을 부친이신 고故 김덕환 금박장으로부터 전수 받으셨는데 어떠한 방식으로 계승하셨는지요?
아버님은 금박 기술을 알려주는데 있어 그 틀을 정하지 않으셨어요. ‘이렇게 해라’ 또는 ‘이렇게 하지 말라’는 말씀도 없으셨어요. 단지 본인이 작업하는 모습을 통해 행동으로 보여주셨습니다. 어릴 적부터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어깨너머로 아버님이 작업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조금씩 익히게 되었지요. 아버님은 시대별 로, 그리고 장인마다 그 솜씨가 다르기에 결과물도 조금씩 다를 수 밖에 없다고 하시면서 늘 성실하게 작업에 몰두하셨습니다.

5대를 이어 금박 작업을 하시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조선시대부터 사용한 도구들과 기술을 물려받은 만큼, 자랑스러움과 함께 무거운 책임감도 느낍니다. 선대 어르신들이 지금 제가 하는 작업을 보고 계신다면 어떻게 평가하실지 궁금합니다. 제가 제 일 걱정하고 듣기 싫은 말이 ‘대가 바뀌면서 작품이 달라졌다’와 ‘작품 수준이 낮아졌다’입니다. 물론 그분들보다 부족하겠지만, 가문과 작업에 누가 되지 않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통 제작 방식을 고집하고 계시는데 금박의 작업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세밀하고 아름다운 문양을 금으로 재현하기 위하여 순금을 얇게 두드려 100nm(나노미터) 두께로 만든 얇디얇은 금박지를 사용합니다. 가장 먼저 문양의 도안을 선정하는데, 도안은 직접 그리거나 유물의 도안을 가져오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문양이 정해지면 나무에 옮겨 조각하여 문양판을 만들어요. 문양을 도장처럼 찍기 위함이지요. 그 다음 사용할 풀을 만들어 문양판에 칠한 뒤 직물에 찍습니다. 그리고 풀이 마르기 전에 손으로 금박지를 올려붙이고, 문양 밖의 금박지를 떼어낸 후 건조하여 완성합니다. 사용하는 풀의 종류는 다섯 가지 정도 되는데 조선시대에 사용하였던 아교풀과 민어 부레풀, 아버님이 만드신 옵셋 잉크, 그리고 제가 만든 식물성 기름풀과 옻칠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옻칠 작업을 주로 하려고 해요.

인터뷰 [의미와 가치를 높이는 아름다운 금박]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심연옥
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수. 국민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의류전공 석사학위를, 중국 동화대학교 대학원에서 방직공정과 방직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금박장‘, ’한산 세모시짜기 청양 춘포짜기>외 다수가 있다.

지은이 : 이선용
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강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전통섬유복원여구소 수석연구원으로 활동하며 문화재 연구 및 관련 서적 다수를 집필하였다.

  목차

1장 금박을 말하다
금박이란 무엇인가
금색을 밝히는 가공 기술
금과 공예 기법
금박의 역사

2장 금박을 찍다
금박의 문양과 문양판
금박의 쓰임새

3장 금박을 다루다
금을 다루는 정교한 기술
접착제를 만드는 정교한 기술
금박의 화려한 표현 기술
기술을 계승하다
재료와 제작 도구
부금 공정

4장 금박을 누리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우리의 숨결
변치 않는 전통의 멋과 아름다움


참고자료
장인
공예.디자인 지도
도판 목록
참고 문헌
도움 주신 분·기관
색인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