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오세영
1942년 전남 영광 출생, 전남의 장성, 광주, 전북의 전주 등지에서 성장.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과 교수 역임.1965-68년 『현대문학』 추천으로 등단.시집으로 『바람의 그림자』, 『문 열어라 하늘아』, 『무명연시』, 『벼랑의 꿈』, 『밤하늘의 바둑판』 등과 학술서적으로 『한국현대시인연구』, 『한국현대시 분석적 읽기』, 『한국낭만주의시 연구』 등이 있음.2020년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명예교수.
머리말 / 5
1장. 시란 무엇인가
1. 문학의 분류 ………… 15
2. 시의 분류 ………… 16
3. 언어의 불가능성 ………… 21
4. 시란 무엇인가 ………… 23
2장. 시적 진실
1. 사실과 진실 ………… 30
2. 감정적 진실과 이성적 진실 ………… 34
3. 시와 총체적 진실 ………… 37
3장. 시의 범주
1. 문학의 세 가지 모형 ………… 44
2. 존재로서의 시 ………… 47
3. 시의 정도正道와 세 가지 파격 ………… 51
4장. 이미지, 은유, 상징, 신화
1. 네 요소들의 상호관계 ………… 57
2. 이미지 …………60
3. 은유 ………… 62
4. 상징 ………… 69
5. 신화 ………… 74
5장. 역설과 아이러니
1. 역설 ………… 75
2. 아이러니 ………… 87
3. 패러독스와 아이러니 ………… 90
6장. 시 쓰기에 들기
1. 예비 작업 ………… 92
2. 시 쓰기의 몇 가지 태도 ………… 94
3 사유의 방식 ………… 96
7장. 대상과 시 쓰기의 일곱 가지 유형
1. 시와 대상, 비대상 ………… 103
2. 공적인 대상과 사적인 대상 ………… 106
3. 주관적 대상과 객관적 대상 ………… 109
4. 시 쓰기의 유형 ………… 111
8장. 발상은 어떻게 얻는가
1. 대상이 지닌 두 가지 의미 ………… 123
2. 구체적인 대상 선택 ………… 126
3. 발상의 실제 …………128
4. 사고의 전환 ………… 130
5. 시점의 전환 ………… 132
9장. 발상의 확장
1. 중심(지배적)이미지와 파생 이미지 ………… 134
2. 발상과 시적 대상 ………… 139
10장. 기호들의 생산
1. 유추 - 은유의 형식 ………… 146
2. 연상 - 환유의 형식 ………… 150
3. 열거 ………… 154
11장. 시작의 원리
1. 대상을 다른 사물로 환치해서 시를 쓰는 방식: 은유로 쓰기 …… 157
2. 대상을 주관적 진실로 해석해서 시를 쓰는 방식: 역설로 쓰기 …… 160
3. 대상을 감각적으로 묘사해서 시를 쓰는 방식…………… 162
4. 기타, 상황 묘사 및 자동 기술과 이야기로 시를 쓰는 방식 ………… 168
12장. 기호 배열
1. 기호 배열의 원리 ………… 167
2. 기호 배열과 시작의 원리 ………… 177
13장. 시상 전개의 질서
1. 선조적인 질서 ………… 186
2. 공간적 질서 ………… 190
3. 자유 연상 ………… 198
14장. 시상 전개의 방법
1. 확장 ………… 200
2. 전복(반전) ………… 207
15장. 시상 전개의 모형模型
1. 모형열쇠문장과 그 형상화된 진술 ………… 216
2. 형상화의 모형 ………… 217
16장. 형상화 (1)
1. 메시지 전달과 형상화 ………… 229
2. 감정적感情的 진술과 감정환기적感情喚起的 진술 ………… 232
3. 묘사: 비유적인 이미지와 서술적 이미지 ………… 236
17장. 형상화 (2)
1. 의미 숨기기와 발견 ………… 244
2. 형상화의 몇 가지 기법 ………… 253
3. 제목 달기 ………… 258
18장. 시와 언어
1. 언어의 경제성 ………… 262
2. 기피해야 할 언어 ………… 268
19장. 시어와 통사 구문
1. 어휘의 선택 ………… 277
2. 문장과 통사구문 ………… 286
20장. 행 가름과 연
1. 행 가름 ………… 295
2. 연의 배열 …………298
21장. 예외적인 시의 창작
1. 이야기체 시 ………… 315
2. 상황의 시 ………… 322
3. 비대상의 시 …………333
▣ 찾아보기………… 341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