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일', '노동'을 테마로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시를 모은 시 선집이다. N포 세상에 내던져진 청춘들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 선집 <땀 흘리는 소설>의 후속 시리즈이다. 이 책에는 일하며 살아가는 이 시대의 모든 사람들과 함께 읽고 싶은 59편이 실려 있다.
일하는 사람의 땀은 마를 겨를이 없는데 일하는 사람들의 지위와 조건은 더욱 열악해졌기에 땀의 보람과 성취를 맛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시를 통해 일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양태를 보여 줌으로써 더욱 가혹해진 노동 조건과 각박한 삶 속에서 일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성찰, 일하는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 갈 좋은 세상에 대한 절실한 고민을 담았다.
이제 막 일터로 진입하는 청춘들에게, 불안정한 작업 환경에서 묵묵히 땀 흘리고 있는 당신들에게, 일할 수 있는 당당한 주체로 자신을 일으켜 세우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여기 모인 한 편 한 편의 시가 '오늘도 당신의 땀은 헛되지 않았다'는 격려의 박수를 보낼 것이다.
출판사 리뷰
우리는 모두 노동자입니다『땀 흘리는 시』는 ‘일’, ‘노동’을 테마로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시를 모은 시 선집이다. 이 책에는 일하며 살아가는 이 시대의 모든 사람들과 함께 읽고 싶은 시 59편이 실려 있다. 일하는 사람의 땀은 마를 겨를이 없는데 땀의 보람과 성취를 맛보기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 사람들은 여전히 다양한 분야에서 천차만별의 방식으로 고용되어 정직하게 땀 흘리며 살아간다. 삶의 희로애락을 노래하는 모든 시의 장면과 일상에는 땀 냄새가 난다. 즉 시에서 노동은 단지 소재로서의 에피소드가 아니라 세상을 온몸으로 뚫고 나가는 삶 그 자체인 것이다. 이에 이 시집에는 일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이 녹아 있으며, 그 삶에는 일과 생존의 문제, 일의 가치와 보람은 물론이고, 노동자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소외와 울분, 슬픔이 스며 있다. 사람들이 흘리는 정직한 땀방울을 따라가며 “젓가락마다 어떤 노동이 매달리는”지(신용목, 「붉은 국수를 말다」) 마주하는 순간, 내 한 몸에 주어진 오롯한 힘과 스스로의 노력으로 “두리번두리번 챙겨 가지 못한 나를 찾아보”며(박성우, 「건망증」) 세상과 정직하게 만나는 방법이 바로 노동임을, 그리고 우리는 노동을 통해 자기를 먹이고 식구를 거두고 “이 지상에서의 힘든 노역은 제발 저희 대에서 그치게 해” 달라고(이시영, 「하싼」) 기도하며 공동체의 꿈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모두 노동자임을 다시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땀 흘리며 살아가는 당신을 응원하는 노래우리는 “밥을 먹기 위해”, “한 줄씩 쓸 때마다 한숨 나는” 이력서를 쓰고(오은, 「이력서」), 비정규직으로라도 “더 일하게 해 달라는 절규”(황규관, 「비창」)로 가득찬 현실에서 매일 일하며 살아간다. 가혹한 노동 조건과 각박한 삶 속이기에 시에 담긴 일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성찰, 일하는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 갈 좋은 세상에 대한 고민은 더욱 절실하다. 이 성찰과 고민의 길에 여기 모인 59편의 시가 좋은 길잡이이자 위로와 소통의 매개가 되어 줄 것이다.
먹고 자고 일하는 일상은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각 시의 면면을 살펴보면 일상의 반복에는 낯설고도 놀라운 삶의 국면들이 숨겨져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일상의 반복과 변주, 변화와 차이의 리듬을 드러내는 시를 통해 일이 가져다주는 변화무쌍한 감정과 감각을 맛보게 할 뿐만 아니라 땀 흘리는 삶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이 책은 오늘도 무사히 일을 끝마친 당신의 어깨를 토닥토닥 두드리며 “다른 세계를 꿈꾸지 못하는 이 가난한 마음들, 병든 마음들”(송경동, 나의 모든 시는 산재시다」)을 치유해 줄 것이다.
이제 막 일터로 진입하는 청춘들에게, 불안정한 작업 환경에서 묵묵히 땀 흘리고 있는 당신들에게, 일할 수 있는 당당한 주체로 자신을 일으켜 세우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여기 모인 한 편 한 편의 시가 ‘오늘도 당신의 땀은 헛되지 않았다’는 격려의 박수를 보낼 것이다.
- 엮은이의 말
목차
엮은이의 말
1부 월요일
부녀_김주대
컵라면과 삼각김밥 그리고 초콜릿_김애란
합격 수기_박상수
렌트_임솔아
이력서_오은
캐리어_허은실
다리 위에서_신철규
졸업_김사인
2부 화요일
내 인생의 브레이크_하상만
배가 고파요_박소란
낡은 리어카를 위한 목가_박형준
비정규_최지인
아들의 나비_전윤호
뻥그레_이정록
백수도 참 할 일이 많다_김해자
봄날_이문재
장례식장 미화원 손 씨 아주머니의 아침_정호승
3부 수요일
아내_배재운
자는 사람 작은 사람 뛰는 사람 ― 하청 근로자_김중일
그림자 청소부_김혜순
실업의 날들_길상호
붉은 얼굴로 국수를 말다_신용목
야구공 실밥은 왜 백팔 개인가_손택수
흑룡강성에서 온 연이 엄마_유형진
하싼_이시영
4부 목요일
평균적인 삶 ― 증강 현실_이현승
비창_황규관
공포 영화-김사이
굴뚝_김성규
계약직 ― ktx 여승무원이 되고 나서_김명환
나의 모든 시는 산재시다 ― 세계 산재 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_송경동
어느 날 마포에서_이상국
갈색 가방이 있던 역_심보선
5부 금요일
투명 고양이_안현미
건망증_박성우
코팅 목장갑_이장근
웃는 남자_김근
물류 창고_이수명
김 대리는 살구를 고른다_임경섭
구로_서효인
한낮의 밤에 흰 그림자_유병록
유령 1_이영광
6부 토요일
영웅_이원
디오라마_송승언
콩나물을 다듬을 때_장철문
바틀비_서대경
소하동_김안
봄, 태업_정한아
기계, 기계들_박순원
멸치의 아이러니_진은영
유나의 맛_배수연
7부 일요일
저무는 봄날_최정례
주말농장_김기택
오후만 있던 일요일_김선우
휴일_문태준
인생은 유원지_하재연
좋은 세상 ― 영아_박준
오늘은 필리핀_임지은
무화과 숲_황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