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이 더스토리 1795년 오리지널 초판본으로 새롭게 출간되었다. 놀라운 역사의 기록이자, 수많은 에피소드가 사실적으로 기록된 <한중록>은 왕이 되었어야 할 남편과 시아버지와의 불화, 성군으로 칭송받는 아들 정조에 대한 사랑 등을 포함해 규중 여인의 눈으로 지켜본 화려한 조선 왕실의 이면에 비친 어두운 부분을 세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절대적 권력 앞에서 무너져 내리는 세자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모두 지켜본 혜경궁 홍씨의 한과 설움이 담긴 <한중록>은 뛰어난 문학 작품인 동시에 조선왕조실록이 전해줄 수 없는 궁궐의 내밀한 역사를 밝히는 귀중한 사료이며, 조선의 역사와 문학을 모두 담고 있는 뛰어난 수작이다. 시인이자 국문학자인 박병성 원장의 해설이 담긴 더스토리만의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의 <한중록>을 만나보자.
출판사 리뷰
절대 권력 앞에서 무너져 내리는 남편을 봐야 했던
혜경궁 홍씨의 한과 설움의 기록
역사에 남길 수 없었던 참혹한 가족사
혜경궁 홍씨가 숨어서 써 내려간 이야기
사도세자의 부인이자 정조대왕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가
눈물로 지새우며 남긴 화려한 조선 왕조의 이면!
왕이 되었으면 가장 위대했을 군주 사도세자와 영조의 갈등,
화려한 조선 왕조의 이면에 감춰진 눈물의 비하인드 스토리 전격 공개! 조선왕조 5백년의 역사 동안 가장 서럽고 슬픈 이야기가 시작된다. 절대 권력 앞에서 무너져 내리는 세자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모두 지켜본 혜경궁 홍씨의 한과 설움이 담긴 《한중록》은 뛰어난 문학 작품인 동시에 조선왕조실록이 전해줄 수 없는 궁궐의 내밀한 역사를 밝히는 귀중한 사료이다.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이 더스토리 1795년 오리지널 초판본으로 새롭게 출간되었다. 놀라운 역사의 기록이자, 수많은 에피소드가 사실적으로 기록된 《한중록》은 왕이 되었어야 할 남편과 시아버지의 불화, 성군으로 칭송받는 아들 정조에 대한 사랑 등을 포함해 규중 여인의 눈으로 지켜본 화려한 조선 왕실의 이면에 비친 어두운 부분을 세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는 마치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에 등장하는 햄릿과 클로어디스 왕의 불화가 사도세자와 영조의 갈등으로, 이들의 분노 속에서 고뇌하며 슬퍼해야만 했던 오필리어의 마음이 역시 혜경궁 홍씨의 작품에서도 고스란히 느껴지고 있다. 그래서 《한중록》은 조선의 역사와 문학을 모두 담고 있는 뛰어난 수작이다. 국문학자인 박병성 시인의 해설이 담긴 더스토리만의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의 《한중록》을 만나보자.
“《한중록》은 한 편의 극적인 소설을 보듯 흡입력 있게 읽힐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_서울신문
“저는 혜경궁 홍씨의 삶에 매우 깊은 매력을 느꼈습니다. (…) 그녀는 당대의 정치적 상황을 매우 뛰어나게 이해했다고 생각합니다. 《한중록》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에 대한 심리묘사 역시 매우 탁월합니다. 제 생각에 그녀는 상당한 심리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프로이트나 융의 개념들을 이미 이해하고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_마거릿 드래블(영국 작가), 황석영과의 대담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혜경궁 홍씨
조선 21대왕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의 빈이자 조선 22대왕 정조의 생모.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홍봉한의 차녀로 1735년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한산 이씨이다. 열 살의 나이에 사도세자의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입궁했으며, 의소세손과 정조, 청연공주와 청선공주를 낳았다. 맏아들 의소세손이 세 살 만에 죽고, 남편 사도세자는 당쟁의 대립 속에 영조의 노여움을 사 뒤주에 갇혀 죽는 비운을 겪었다. 마흔두 살 때 둘째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올랐는데, 아버지 홍봉한을 비롯한 외가가 정조의 즉위를 방해한 세력으로 간주되어 배척당하게 된다. 1800년 손자 순조가 즉위했지만 나이가 어려 영조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고, 사도세자에게 동정적이었던 인물들이 대대적으로 숙청되면서 혜경궁 홍씨의 동생 홍낙임도 처형되었다. 1795년 회갑을 맞아 자신의 파란만장한 삶을 회고하며 《한중록》을 지었는데, 이 작품은 《인현왕후전》, 《계축일기》와 더불어 궁중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1816년 사망했으며 고종 때에 헌경왕후로 추존되었다.
목차
한중만록 1권
한중만록 2권
한중만록 3권
한중만록 4권
한중만록 5권
한중만록 6권
작품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