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반달 그림책 57권. <때>를 통해 우리에게 ‘누구에게나 때가 있다.’고 그림책으로 응원하며 말을 걸었던 지우 작가가, 이번에는 머리카락을 통해 우리가 살아온 시간을 고스란히 기억하고 담은 그림책 <나는 한때>를 내놓았다.
우리는 흔히 심경의 변화를 드러낼 때 머리스타일을 바꾸기도 한다. 머리스타일은 마음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한다. 하지만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도 종종 머리스타일을 바꾸기도 한다. 어떤 날은 간절한 바람으로, 우아한 기대로 말이다.
어쩌면 우리가 살면서 겪는 다양한 사건과 변화를 머리카락도 함께 겪어내고 있었던 것인지 모른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한때를 기억해 볼 수 있다. 삶이 흘러가는 시간마다 우리의 한때는 하나하나의 시간으로 기억된다. 그 시간들이 모여 내가 되고, 우리가 된다.
출판사 리뷰
“나는 한때 .”
어느 날, ‘기억’하는 것으로 시간을 기록하기 시작한 이야기우리는 과거를 회상할 때 어떤 말을 주로 쓸까요? “한때 나는 ○○○○.” 하고 이야기를 꺼내기도 하고, “나는 한때 ○○○○.” 하며 이야기를 시작하기도 합니다. 우리의 시간은 그렇게 단편 단편의 기억들로 채워져 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떤 날의 감정, 어떤 날의 사건, 어떤 날의 경험들로 말이지요.
작가와 제목회의를 하던 날, ‘한때 나는’과 ‘나는 한때’에서 고민하던 중 작가가 ‘나는 한때’로 정하자며 전한 메시지는 이러했습니다. 한때 있었을 또는 한때를 맞이할 우리들을 응원하기 위한 책이었으면 한다고. 회상보다는 현재형이었으면 좋겠다는 것이었지요. 그렇게 하여 이 그림책은 『나는 한때』가 되었습니다.
책표지를 넘기면 커버에 가위가 그려져 있습니다. 그 가위 언저리를 뜯어내면 길었던 머리카락이 싹둑 잘리고, 아직 완성되지 못한 문장 하나가 보입니다.
나는 한때 .
여러분의 한때는 어떠했나요? 기억 속의 ‘나’는 어떤 모습이었나요? 지금은 어떤 모습인가요? 그리고 여러분은 어떤 모습을 그리고 있나요? 이 책을 펼치기 전 각자의 한때를 떠올려 보세요.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난 뒤 완성되지 못한 이 문장을 채워보기 바랍니다.
“한때 나는, 여러 가지 이름이었어.”
나의 한때를 함께 보낸 머리카락, 머리카락이 기억하는 ‘나’에 대한 기록. 그리고 나.책을 펼치면 작은 아이가 보입니다. 그리고 한 장 넘기면 누구나 한번은 경험했을 법한 이야기가 시작되지요. 아이는 화장대에 앉아 엄마를 흉내 내며 화장을 해봅니다. 그리고 이내 엄마 손에 이끌려 미용실에 가게 되지요. 그리고 아이는 …….
“나는 한때 새싹이었고, 껌과 친구가 되기도 했고, 망아지였다가 커튼이 되기도 했어.” 하며 누군가가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그러더니 콧대 높은 자존심은 눈물이 되기도 하고, 간절한 바람이 되기도 했다며 속마음을 털어놓습니다. 여러분은 누가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눈치 챘나요? 책장을 넘길수록, 그림 속 아이가 성장할수록 달라지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나요? 누군가의 한때를 이야기하고 있는 건 바로 ‘머리카락’입니다.
『때』를 통해 우리에게 ‘누구에게나 때가 있다.’고 그림책으로 응원하며 말을 걸었던 지우 작가가, 이번에는 머리카락을 통해 우리가 살아온 시간을 고스란히 기억하고 담은 그림책『나는 한때』를 내놓았습니다.
우리는 흔히 심경의 변화를 드러낼 때 머리스타일을 바꾸기도 합니다. 머리스타일은 마음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합니다. 하지만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도 종종 머리스타일을 바꾸기도 합니다. 어떤 날은 간절한 바람으로, 우아한 기대로 말이지요.
어쩌면 우리가 살면서 겪는 다양한 사건과 변화를 머리카락도 함께 겪어내고 있었던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한때를 기억해 봅니다. 삶이 흘러가는 시간마다 우리의 한때는 하나하나의 시간으로 기억됩니다. 그 시간들이 모여 내가 되고, 우리가 됩니다.
우리의 삶은 그렇게 채워져 갑니다. 오늘도 나는 기억합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지우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며 그림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때』,『유치원엔 네가 가!!』, 그린 책으로『고양이는 알고 있어』,『전설의 보물 지도』, 『방송국에 간 도깨비』,『단톡방 귀신』,『떡볶이가 튀김을 만난 날』,『못 말리는 맹미주』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