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부동의 역사 베스트셀러 ‘용선생’이 새롭게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을 선보인다.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은 용선생과 아이들이 한바탕 시끄럽게 과학을 배워 가는 이야기다. 현재 아이들의 독서 습관을 고려한 쉬운 서술, 생생한 사진과 기발한 삽화로 눈길을 사로잡는 비주얼, 최신 과학 교과서를 충실히 반영한 내용 구성, 호기심을 북돋우는 소재로 풀어낸 개념과 원리 등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과학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13권 '소화와 배설' 편에서는 우리가 먹은 음식이 몸속에서 소화되고 배설되는 과정을 알아본다. 음식물이 여러 소화 기관을 통과하며 영양소로 분해되어 우리 몸에 흡수되고, 남은 찌꺼기와 노폐물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과정을 자세히 보여 준다. 여러 소화 기관이 줄지어 있는 몸속의 신비로운 터널 속에서 매일같이 치열한 소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지켜보며, 독자 어린이들은 인체의 정교함에 감탄하고 자기 자신을 더욱 소중히 여기게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용선생 역사 시리즈의 명성 그대로, 이번엔 과학이다!
용선생과 아이들이 펼치는 ‘호기심 폭발 과학 대모험’2020년, 부동의 역사 베스트셀러 ‘용선생’이 새롭게 선보인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시리즈 신간이 나왔습니다.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은 용선생과 아이들이 한바탕 시끄럽게 과학을 배워 가는 이야기입니다. 현재 아이들의 독서 습관을 고려한 쉬운 서술, 생생한 사진과 기발한 삽화로 눈길을 사로잡는 비주얼, 2020년 최신 과학 교과서를 충실히 반영한 내용 구성, 호기심을 북돋우는 소재로 풀어낸 개념과 원리 등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과학의 모든 것이 담겨 있습니다.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 13 소화와 배설》 편에서는 우리가 먹은 음식이 몸속에서 소화되고 배설되는 과정을 알아봅니다. 인스턴트 음식의 대명사인 햄버거는 과연 몸에 나쁜 음식일까요? 먹방 크리에이터는 어떻게 한 번에 초밥 100개를 먹을 수 있을까요? 이 책은 음식물이 여러 소화 기관을 통과하며 영양소로 분해되어 우리 몸에 흡수되고, 남은 찌꺼기와 노폐물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과정을 자세히 보여 줍니다. 여러 소화 기관이 줄지어 있는 몸속의 신비로운 터널 속에서 매일같이 치열한 소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지켜보며, 독자 어린이들은 인체의 정교함에 감탄하고 자기 자신을 더욱 소중히 여기게 될 것입니다.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3권 소화와 배설
음식물이 조그만 알갱이가 되어 우리 몸으로 쏘옥 흡수되는 터널이 있다?우리는 매일같이 식사를 하고 화장실에 가서 오줌과 똥을 눕니다. 그런데 먹음직스러웠던 음식이 화장실에서는 더러운 오줌으로, 고약한 냄새가 나는 똥으로 변해서 나갑니다. 이게 어찌된 일일까요?
《소화와 배설》 편에서는 우리가 먹은 음식이 몸속에서 소화되고 배설되는 과정을 알아봅니다. 어른들은 왜 맛있는 햄버거를 나쁜 음식이라고 할까요? 왜 사람은 이의 모양이 다양할까요? 먹방 크리에이터는 어떻게 한 번에 초밥 100개를 먹어치울 수 있을까요? 내 배 속에 바글거리며 살고 있는 수많은 미생물의 정체는 뭘까요?
이 책은 우리 몸을 구성하고 에너지를 내는 영양소의 개념과 함께, 음식물이 여러 소화 기관을 통과하며 영양소로 분해되고 몸속에 흡수되는 원리를 자세히 알려 줍니다. 또, 남은 음식물 찌꺼기와 노폐물이 어떻게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지도 보여 주지요. 여러 소화 기관이 줄지어 있는 몸속의 신비로운 터널 속에서 매일같이 치열한 소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지켜보며, 독자 어린이들은 인체의 정교함에 감탄하고 자기 자신을 더욱 소중히 여기게 될 것입니다.
재미있게 술술 읽다 보면 어느새 과학 지식이 머리에 쏙쏙!영상 매체에는 익숙하지만 기본적인 독해력이 떨어지는 현재 아이들의 독서 수준을 고려하여,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가장 쉬운 말로 내용을 전달하였습니다. 캐릭터들의 대화문으로 구성된 친절한 서술 방식으로 줄글을 읽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도 술술 읽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활용해 쉽게 읽히면서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을 최적화하였습니다.
실생활 속 호기심을 해결하며 과학적 사고력도 쑥쑥!단순한 과학 개념뿐 아니라 현상이나 문제를 과학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틀을 마련해 줍니다. 실생활 속 소재로부터 과학적 호기심을 끌어내 개념과 원리에 접근하는 이 책은 독자 아이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내며 자연스럽게 책에 몰입하게 해 줍니다. 독자들은 과학적 호기심을 해결하며 지식을 쌓을 뿐 아니라 과학적 사고방식과 태도까지 기를 수 있습니다.
눈길을 사로잡는 다채로운 비주얼 구성!실감나고 생생한 사진과 명쾌한 삽화, 유머러스한 캐릭터 등 다양한 시각 자료를 통해 내용을 직관적으로 전달해 줍니다. 또한 소단원마다 핵심 내용을 정리해 주는 4컷 만화를 통해 학습에 대한 부담을 낮추고 과학이 즐거운 과목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2020 최신 과학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초등 과학의 새로운 정석!가장 최근에 개정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과서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했습니다. 주제별로 구성된 각 권은 초등학교 교과는 물론, 중학교에서 배우는 개념까지 초등 수준에 맞춰 풀어냈습니다. 또한 개정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과학 용어를 반영하여 교과 연계성을 한층 높였습니다.
믿을 수 있는 과학 교육 전문가들이 심혈을 기울여 개발한 책!대학에서 오랫동안 과학을 연구하고 교육 현장에서 직접 아이들을 가르쳐 온 과학 교육 전문가들이 기획부터 편집까지 개발 전 과정에 참여하며 공들여 만든 책입니다. 정확한 과학 개념을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전달하기 위해 초중고 교과서는 물론 다양한 국내외 전문 자료를 연구하며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신선한 소재와 설명 방식을 개발했습니다. 또, 교육대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권위 있는 교수님들의 감수를 거치며 거듭 내용의 정확성을 기하여 시리즈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작가 소개글 이현진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연구원)
상명대학교에서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열린사이버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했습니다. 서울의대유전체의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있었으며, 와이즈만영재교육연구소와 아이스크림미디어에서 다수의 과학콘텐츠를 개발했습니다.
글 설정민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연구원)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습니다. 아이에게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얘기해 주려 노력하다 보니 어린이를 위한 책을 만드는 일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현재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과학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글 김형진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연구원)
연세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과학자를 꿈꾸는 아이들에게 올바른 과학 개념과 과학적 태도를 함께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과학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글 이명화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연구원)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0여 년간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쳤으며, 미국 아리조나 주립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독일, 미국, 영국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습니다. 쉽고 재미있는 과학책을 쓰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현재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과학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대학에서 오랫동안 과학을 연구한 전문가들이 모여, 우리 아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목차
1교시 | 영양소_ 햄버거는 과연 몸에 안 좋을까?
우리 몸은 무엇으로 에너지를 낼까? ··· 12
우리 몸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 16
햄버거를 먹을까, 말까? ··· 20
나선애의 정리 노트 ··· 26
과학퀴즈 달인을 찾아라! ··· 27
용선생의 과학 카페 ··· 28
- 괴혈병과 각기병을 치료한 영양소는?
2교시 | 입_ 왜 꼭꼭 씹어야 소화가 잘될까?
음식물을 얼마나 작게 쪼개야 할까? ··· 33
이의 모양은 왜 다양할까? ··· 36
침은 어떻게 음식물을 분해할까? ··· 38
입안의 소화 삼총사 ··· 43
나선애의 정리 노트 ··· 46
과학퀴즈 달인을 찾아라! ··· 47
용선생의 과학 카페 ··· 48
- 더러운 침? 고마운 침!
3교시 | 위_ 위는 왜 주머니처럼 생겼을까?
꿀꺽 삼킨 음식물은 어디로 갈까? ··· 52
어떻게 그렇게 많이 먹을까? ··· 56
음식물은 왜 아래로만 내려갈까? ··· 60
나선애의 정리 노트 ··· 62
과학퀴즈 달인을 찾아라! ··· 63
4교시 | 작은창자_ 작은창자는 왜 이렇게 길까?
작은창자에서 소화되는 영양소는? ··· 66
작은창자 속에 난 털의 정체 ··· 71
기다란 작은창자가 어떻게 배 속에? ··· 77
나선애의 정리 노트 ··· 80
과학퀴즈 달인을 찾아라! ··· 81
5교시 | 큰창자_ 큰창자는 어떻게 똥을 만들까?
큰창자에서는 무엇이 만들어질까? ··· 85
방귀 냄새가 독한 까닭 ··· 88
방귀를 참으면 어떻게 될까? ··· 90
나선애의 정리 노트 ··· 94
과학퀴즈 달인을 찾아라! ··· 95
용선생의 과학 카페 ··· 96
- 우리 몸을 통과하는 터널
6교시 | 배설_ 오줌은 왜 생길까?
똥 누는 게 배설이 아니라고? ··· 100
오줌은 하루에 얼마나 생길까? ··· 103
피부에서도 배설이 일어난다고? ··· 106
나선애의 정리 노트 ··· 110
과학퀴즈 달인을 찾아라! ··· 111
용선생의 과학 카페 ··· 112
- 똥과 오줌의 몸속 탈출 이야기
가로세로 퀴즈 ··· 114
교과서 속으로 ··· 116
찾아보기 ··· 118
퀴즈 정답 ···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