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육신  이미지

육신
어떻게 살 것인가
한길로 | 부모님 | 2021.06.21
  • 정가
  • 40,000원
  • 판매가
  • 38,000원 (5% 할인)
  • S포인트
  • 1,900P (5% 적립)
  • 상세정보
  • 20.5x12.5 | 0.521Kg | 372p
  • ISBN
  • 979119735801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창광명운집 시리즈. 육신은 개인생활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삶의 목표를 계획적으로 추진을 하도록 돕는 간명학이다. 즉, 육신에 들어있는 인간사의 간명을 통해 사회에 참여하는 방식은 물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자기 것을 지켜나갈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방법론인 것이다. 따라서 육신을 단순히 점술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개개인의 경영전략이라는 개념으로 수용하길 바란다.

시중에 나온 대다수의 명리학 서적들 중 음양오행이나 격국을 다룬 책은 있어도 육신만을 다룬 책은 많지 않다. 육신을 다루었다 하여도 난해한 이론들만 나열한 서적이거나 떠돌아다니는 낭설을 모아 혹세무민하는 서적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육신 어떻게 살 것인가』와 『육신의 생화극제 부귀빈천의 관계학』은 수 십 년간의 철저한 고증과 수많은 임상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론을 세우는 것은 물론, 실제 상담 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변 노하우가 수록된 명리 서적이다.

  출판사 리뷰

많은 사람들은 성공하면 운이 좋았다고 하고, 실패하면 운이 나빴다고 쉽게 얘기한다. 하지만 운이 좋아서 성공하는 게 아니라, 계획을 세우고 착실하게 실천했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다. 또한 운이 나빠서 실패한 것이 아니라, 준비 없이 무모하게 일을 추진하거나 소국적인 대처로 실패한 것이다.
이렇듯 육신은 개인생활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삶의 목표를 계획적으로 추진을 하도록 돕는 간명학(看命學)이다. 즉, 육신에 들어있는 인간사의 간명을 통해 사회에 참여하는 방식은 물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자기 것을 지켜나갈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방법론인 것이다. 따라서 육신을 단순히 점술(占術)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개개인의 경영전략이라는 개념으로 수용하길 바란다.
시중에 나온 대다수의 명리학 서적들 중 음양오행이나 격국을 다룬 책은 있어도 육신만을 다룬 책은 많지 않다. 육신을 다루었다 하여도 난해한 이론들만 나열한 서적이거나 떠돌아다니는 낭설을 모아 혹세무민(惑世誣民)하는 서적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육신 어떻게 살 것인가』와 『육신의 생화극제 부귀빈천의 관계학』은 수 십 년간의 철저한 고증과 수많은 임상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론을 세우는 것은 물론, 실제 상담 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변 노하우가 수록된 명리 서적이다.

음양(陰陽)으로 나눠진 십신(十神)은 각각의 목적에 따라 임무를 수행한다.
관(官)을 기준으로 지위와 체제를 다루는 분야를 관인상생(官印相生)이라 하고,
재(財)를 중심으로 기본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과 결집을 다루는 분야를 식상생재(食傷生財)라고 한다. 일간을 기준으로 자신의 능력을 키워서 자기중심으로 생활하는 것을 인아식(印我食)이라 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타인 중심으로 활동하는 것을 재생관(財生官)이라 한다.

간지(干支)로는 태어난 날을 일주(日柱)라 하고, 일주(日柱)의 천간(天干)을 일간(日干)이라 한다. 육신(六神)에서는 일주(日柱)의 천간(天干)을 아(我)라고 말하는데, 태어난 그대로 정체되어 있지 않고 가치관을 정립하며 성장하기 때문이다. 흔히 체(體)로는 신(身)이라고 하는데, 이는 신체적인 역량을 구분할 때 쓰는 말이다.

비(比)란 備(갖출 비)라는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간이 살아가는 데 갖춰야 할 것들을 말한다. 견(肩)이란 동등한 관계에서 서로를 책임져 주고 상대의 아픔을 대신해서 이겨내는 모양이다. 그러므로 비견(比肩)이란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서로 돕는 모양을 하고 있으니 상부상조의 개념이 내포되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성태
창광猖狂 충남 공주에서 출생했다. 3대째 역술을 하는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역학을 접하고 궁리하기 시작했다. 그가 지닌 실전능력은 주변여건과 30여년의 상담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투박하지만 명확하고 예리한 이론으로 대중에게 다가가고 있다. 1985년 개원 이래 강의와 집필에 전념해 온 그는 2010년 <더큼학당>이라는 명리 교육기관을 설립해 명리학의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다. 창광 김성태 저서『격국과 용신』 2006『무당풍경 - 착한 귀신들의 이야기』 2006『육신- 세상은 누구의 것인가』 2009『음양오행 - 생성과 소멸의 자연학』 2010명리학담 권1 『명리학 개론』 2016명리학담 권2 『명리학 개론_오행의 활용』 2017명리학담 권3 『명리학 개론_육신의 활용』 2018창광 명운집 『육신 어떻게 살 것인가』 2021창광 명운집 『육신의 생화극제 부귀빈천의 관계학』 2021창광 명운집 『음양오행 출생의 이유』 2021창광 명운집 『오행총론 사시와 생명 그리고 질서』 2021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명리학의 이해


제1장 육신(六神)의 기초
1. 명리학의 구조
2. 육신의 구조
3. 육신의 의무와 용도
4. 간명의 중요성
5. 이 책을 읽는 방법

제2장 용어 해설
1. 궁성 용어
2. 음양오행 용어
3. 육신 용어
4. 격국 용어

제2부 육신 해설


제1장 일간(日刊)
1. 신왕
2. 신약

제2장 비견(比肩)
1. 비견이란
2. 비견의 특성
3. 비견의 성격
4. 비견의 활용
5. 비견의 직업 특징
6. 비견의 배속
7. 비견이 간명
8. 비견 월령의 간명
9. 건록격의 특징

제3장 겁재(劫財)
1. 겁재란
2. 겁재의 특성
3. 겁재의 성격
4. 겁재의 활용
5. 겁재의 직업 특징
6. 겁재의 배속
7. 겁재의 간명과 용도
8. 겁재 월령의 간명
9. 양인격의 특징

제4장 식신(食神)
1. 식신이란
2. 식신의 특성
3. 식신의 성격
4. 식신의 직업 특징
5. 식신의 배속
6. 식신의 간명과 용도
7. 식신의 간명 해설
8. 식신 월령의 간명
9. 식신격의 특징

제5장 상관(傷官)
1. 상관이란
2. 상관의 특성
3. 상관의 성격
4. 상관의 직업 특징
5. 상관의 배속
6. 상관의 간명과 용도
7. 상관의 간명 해설
8. 상관 월령의 간명
9. 상관격의 특징

제6장 정재(正財)
1. 정재란
2. 정재의 특성
3. 정재의 성격
4. 정재의 직업 특징
5. 정재의 배속
6. 재성의 간명과 용도
7. 정재 월령의 간명
8. 정재격의 특징

제7장 편재(偏財)
1. 편재란
2. 편재의 특성
3. 편재의 성격
4. 편재의 직업 특징
5. 편재의 배속
6. 편성의 간명과 용도
7. 편재 월령의 간명
8. 편재격의 특징

제8장 정관(正官)
1. 정관이란
2. 정관의 특성
3. 정관의 성격
4. 정관의 직업 특징
5. 정관의 배속
6. 정관의 간명과 용도
7. 정관의 간명 해설
8. 정관 월령의 간명
9. 정관격의 특징

제9장 편관(偏官)
1. 편관이란
2. 편관의 특성
3. 편관의 성격
4. 편관의 직업 특징
5. 편관의 배속
6. 편관의 간명과 용도
7. 편관의 간명 해설
8. 편관 월령의 간명
9. 편관격의 특징

제10장 정인(正印)
1. 정인이란
2. 정인의 특성
3. 정인의 성격
4. 정인의 직업 특징
5. 정인의 배속
6. 정인의 간명과 용도
7. 정인의 간명 해설
8. 정인 월령의 간명
9. 정인격의 특징

제11장 편인(偏印)
1. 편인이란
2. 편인의 특성
3. 편인의 성격
4. 편인의 직업 특징
5. 편인의 배속
6. 편인의 간명과 용도
7. 편인 월령의 간명
8. 편인격의 특징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