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7년 연애 끝에 마침내 골인! 축 결혼, 진수성찬!
시어머니의 입맛을 감동시킨 새색시 진수의 이바지 음식 비법 공개!
이제, 진수 성찬의 알콩달콩 신혼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입 안 가득 퍼지는 별미의 향연! 키조개, 팥칼국수, 감동젓무, 소금.
[식객] 25권에서 드디어, 7년의 연애 끝에 진수와 성찬이 결혼식을 올리게 된다. 그 동안 그렇게도 성찬의 애를 태워왔던 진수가 돌연 성찬과 결혼을 결심하게 된 동기는? 새색시 진수는 과연 시어머니의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을까? 진수 성찬의 결혼과 함께 깨소금 쏟아지는 이야기들이 더욱 흥미를 고조시키며 키조개, 팥칼국수, 특이 김치 ‘감동젓무’, 이바지 음식, 소금 등의 에피소드가 맛깔나게 버무려져 펼쳐진다.
[키조개]
영원한 라이벌 성찬과 봉주가 이번엔 키조개를 두고 다시금 맛 대결을 벌인다. 키조개는 자연산보다는 양식산이 맛있다는 사실. 굽고, 데치고, 회로 먹는 등 키조개를 먹는 가장 맛있는 방법이 소개된다. 키조개 요리의 진수를 감상하는 재미!
[팥칼국수]
늘 성실하고 착하게만 살아온 성찬에게 어느 날 갑자기 우울증이 찾아왔다. 의욕상실, 무기력, 수면장애, 식욕감퇴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성찬! 힘들어 하는 성찬을 보고, 진수는 드디어 결혼을 결심하게 되는데... 결국, 성찬의 어머니가 끓여준 전라도 토속 음식 팥칼국수에 기운을 찾는 성찬. 역시 어머니의 손맛이 만병통치로다.
[1122]
김치를 둘러싸고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수사에 관여하게 된 성찬마저 실종되는데.... 김장 재료 하나하나가 모여 스물두 가지의 효과를 낸다고 해서 지정된 김치의 날인 11월 22일에서 탈출의 실마리를 풀게 된다. 전복과 해삼, 잣이 들어간 최고급 김치 ‘감동젓무’ 비법이 소개된다. 이외에 해물보김치, 상추물김치, 열무고추씨김치, 참외물김치, 소라섞박지, 청국장포기김치, 고추씨묵은지 등 다양한 특이 김치들이 선보인다.
[이바지]
드디어 성찬과 진수의 결혼식. 우리 고유의 전통혼례 풍경이 펼쳐진다. 3화 [가을 전어 맛은 깨가 서 말]에서 첫만남을 시작으로 횟수로 7년의 연애 끝에 마침내 결혼에 골인. 결혼식을 끝낸 진수 친정에서는 이바지 음식 준비에 여념이 없는데, 과연 성찬과 사돈네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을까? 과하지 않고 원래 의미에 충실한 이바지 음식의 진정한 모범이 선보인다.
[소금의 계절]
4권에서 소개되었던 곰소 염전에 이어, '식객'이 다시 소금을 찾았다. 이번엔 신안 염전이다. 소금이 바뀌면 맛이 바뀔 정도로 음식의 맛은 소금에서 출발한다. 프랑스의 게랑드 소금은 125g에 9천원, 국산 천일염은 20kg에 1만 5천원. 루이 14세가 먹었던 소금이라는 프랑스의 게랑드 소금에 비해 평가절하된 국산 천일염의 오해와 진실을 밝힌다. 현재 소금 가격의 50% 이상 가격 형성이 되어야 천일염의 희망이 생길 것이다.
작가 소개
저자 : 허영만
진지한 사회 참여적 성격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굵직굵직한 이야기 구조 속에서도 섬세한 디테일을 놓치지 않고 있는 작품들을 통해 이 사회, 특히 지식층의 만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준 이 시대 대표적인 작가이다. 전라남도 여수에서 태어난 그는 박문윤, 엄화자, 이향원 작가의 문화생을 거쳐 1974년 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에 『집을 찾아서』가 당선되며 공식 데뷔하였다. 이후 계속해서 문제작들을 발표하면서 절정의 인기를 얻고 있다.
『각시탈』『무당거미』등은 초기의 대표작으로 만화판에 이름을 알린다. 80년대를 지나며 진지한 사회참여적 성격을 띈 『벽』을 비롯하여 이데올로기 만화 『오! 한강』을 발표하는데, 이들의 대중적 성공으로 일반 상업매체로서 한정되었던 만화의 소재와 주제의식을 폭넓게 확장시켰다는 평을 받았다.
90년대 사회의 단면을 만화적 시각으로 조망한 『아스팔트 사나이』『비트』『미스터Q』『오늘은 마요일』『짜장면』등을 통해 대가로서의 위치를 각인시킨다. 일부는 영화와 드라마로도 제작되었으며, 사오정 시리즈를 유행시킨 『날아라 슈퍼보드』는 애니메이션으로서 방송사상 최초로 시청률 1위에 올랐다. 그 후 『사랑해』『타짜』『식객』 등이 폭발적인 인기를 모으며 신문에 연재됨으로써, 만화가 사회에 얼마나 큰 스펙트럼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200편이 넘는 작품들을 발표하였으며 그 중 11개 작품이 애니화, 드라마화, 영화화 되며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다. 최근 몇 년간 그의 작품들은 누구보다 주목받으며 영상화 섭외 영순위로 떠오르고 있다. 철저한 프로의식, 올곧은 작가정신 속에 장인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그의 작업은 지금도 30년 전과 다름없이 현재진행형이다. 오늘 우리는 그를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만화가로 서슴없이 손꼽는다.
목차
식객과 식객사이
121화_ 키조개
122화_ 팥칼국수
123화_ 1122
124화_ 이바지
125화_ 소금의 계절
취재일기, 그리고 못다 한 이야기들
허영만의 요리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