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영균
<학력> 미국 Indiana State University 경영학과 학사, 석사 미국 Indiana State University 경영학과 Ph.D Degree 수료 인하대학교 경영학 박사 마케팅 전공 Stanford University Executive Program 수료 <주요 경력> 미국 State Farm Insurance Co. 금융지원팀 근무 미국 Johnson & Johnson 기획팀 근무 금호 아시아나그룹 회장부속실/기획실/영업기획팀 근무 미국 국방성 소속 한국조달사령부(USACCK) 계약심사직 ㈜주신 대표이사, BSC 컨설팅 Korea 부사장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국립인천대학교 학과장, 산학과장, 학생과장, 경영대학 부학장, 부원장 역임 국립인천대학교 발전기금 상임이사 및 경영대학 학부장 역임 국립인천대학교 테크노 경영학과 책임교수(현)<주요 활동> 20대 대통령 인수위 자문위원/ 2016년 대통령 표창 수상 ㈜백금T&A 사외이사(코스닥상장사) 역임 (사)한국산업정보학회 편집위원 및 부회장, 회장 역임 (사)한국경영교육학회 부회장(현) 공기업/ LH, GH/ 인천공항공사, 코레일네트웍스, 조달청 평가위원<저서> 마케팅, 2016, 초아출판사. Business 2017, 초아출판사. 디지털경영전략 2판, 2005. 지식경영시대의 경영학, 도서출판 두남, 2006년 3월. Ambidexterity for my job or firm?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exploitation, exploration and ambidexterity, European Management Review, 2020 An Interview with Rami-Lee, CEO of InBody Co. Ltd., Journal of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2022. An Interview with Cheolho Jang, CTO of GolfZon Co. Ltd., Journal of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2023. 외 다수
지은이 : 김성광
<학력> 단국대학교 생활음악과 학사, 석사(예술경영 전공)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마케팅 전공<저서> 김성광권두순최효근, 전직지원 프로그램의 자기결정성 요인이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1호, 2019, 3월. 신석영김성광권두순, 메이크업 서비스의 감정반응(PAD)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통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제6권8호, 22, 8월. 김소영김성광권두순박동철, 카카오 게임 서비스 이용자의 몰입과 만족을 통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마음챙김 이론을 중심으로-,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제7권 4호, 2023, 4월. 김수현이도윤김성광권두순, 핀테크 서비스의 기술적 특성과 정보시스템 품질이 기술수용을 통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제7권4호, 2023,4월.
지은이 : 임영수
<학력>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주요 경력> 前) 강남외국어학원 원장, 대신학원 원장, 대성학원 원장, 서창사관 원장 前) 베니스스퀘어 관리위원장(소상공인 경영컨설팅) 前) 디지털전환전문강사(중소기업 경영컨설팅) 수(修)경영연구소 대표 한국산업정보학회 이사 매일경제 전문면접관 남부孝노인복지센터 대 요양보호사교육원 교수
Chapter 1 소비자행동 서론(Introduction to Consumer Behavior)
고객의 중요성과 고객이해(understanding customer) 15
기업과 소비자의 관계의 변화 17
소비자행동과 경쟁적 환경 속에서의 고객만족 19
고객에 대한 이해와 생애가치개념 22
생산지향적 사고와 마케팅지향적 사고 24
소비자행동 연구의 유용성(Mowen) 26
소비자행동의 정의와 관련 개념(What is Consumer Behavior) 27
소비자행동분석의 변천 28
Chapter 2 관여도(Involvement)
관여도의 개념(What is Involvement) 및 본질 34
관여도의 특성차원 38
관여도의 결정요인 40
저관여 의사결정 관련 이론 49
Chapter 3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동기(Motivation) 56
욕구가 동기로 변환되는 과정과 동기의 작용구조 57
동기의 역할 58
매스로우의 욕구 계층이론 60
알더퍼(Clayton Alderfer)의 ERG이론 61
매클랜드의 학습된 욕구 이론(McCelland’s Acquired Needs Theory) 62
공정성 이론(Equity Theory):J.S Adams 63
브룸의 기대이론(Broom:Expectancy Theory) 64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64
목표 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Motivation is based on a desired future state) 65
소비자 구매의사결정 과정(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70
문제인식(Problom Recognition)(1단계) 74
문제인식의 유형 76
문제인식을 유발하는 요인들 77
문제인식과 목표 하이어라키 79
정보의 탐색과정(2단계) 80
구매 전 탐색과 상시적인 탐색 81
소비자 정보원천의 종류 82
Chapter 4 구매 전 대안평가와 구매(Alternative Selection and Purchase)
선택대안들의 평가(3단계) 90
평가기준의 유형(Types of Choice Criteria) 92
선택기준의 특성 94
선택대안의 통합과정 95
결합식과 비결합식의 주요 차이점 99
상표대안 평가방법이 사용되는 빈도 100
기타 대안평가 과정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01
휴리스틱 정보처리 101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111
구매(Purchasing Behavior)(4단계) 120
Chapter 5 구매 후 평가(Post-purchase Evaluation)
구매 후 행동과정 138
구매 후 평가(Post Purchase Evaluation) 138
소비자만족/불만족에 관한 영향 139
실제성능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141
구매 후 부조화(Postpurchase dissonance) 142
구매 후 부조화를 경험하는 소비자의 대응행동 143
기대성과 불일치모델 이론(Expectancy-performance disconfirmation Model) 144
소비자행동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145
공평성 이론 146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147
귀인이론관련 이론들 148
귀인이론의 관련된 속성 세 가지 by Mowen 149
소비자 불평행동(Consumer Complaint Behavior) 150
불평행동의 분류 150
제품의 처분(Disposition of Product) 153
처분패턴(Disposal Options) 154
관성적 구매행동(inertia)의 특성과 고관여도 의사결정과의 관계 154
저관여 의사결정 과정의 특징 155
Chapter 6 소비자 정보처리 과정(Information Processing Model)
감각과 지각(sensation and perception) 163
소비자 정보처리의 정의 164
이미지의 중요성과 유형 184
Chapter 7 기억(Memory)
단순화된 기억모델(Simplified Memory Model) 191
정보처리 수준모델(Level of Processing Model)과 활성화모델 192
다중기억 구조모델(Multiple-store Model of Memory) 193
단기기억의 제한된 용량 관련 법칙 195
관여도와 관련된 단기기억 용량 200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의 이전(Transferring Information from STM to LTM) 200
장기기억(Long term Memory) 202
장기기억의 형태 202
기억력 증진을 위한 방법 205
Chapter 8 신념, 태도(Belief and Attitude)
태도의 특성 217
태도의 기능과 구성요소 218
소비자의 태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 222
행동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224
태도의 형성(Formation of Attitude) 228
인지적 학습이론(Cognitive Learning Theory) 228
현저한 신념(Salient Belief) 229
다속성 태도모델(Multiattribute Model)의 정의와 유형 230
어떤 대상에 대한 신념의 강도(bi) 232
속성의 개인적인 평가(ei) 233
피쉬바인의 다속성 모델의 예 233
기타의 다속성 모델 234
태도에 대한 마케팅 시사점 235
피쉬바인의 확장된 신념/평가모델 236
계획적 행동이론 238
저관여 태도이론 239
소비자 태도 변경을 위한 일반적인 원칙 241
소비자 태도변화 242
요소간 일관성 이론 243
인지적 불균형이론 244
Chapter 9 태도의 변화(Changes in Attitude)
태도변화의 중요성 250
태도의 형성 252
태도 변경 전략 255
다속성 모델 255
균형이론(Balance Theory)-by Heider 260
사회적 판단이론과 태도변화 263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264
Chapter 10 학습(Learning)
학습의 정의 275
학습행동의 유형 276
학습이론 277
대리학습(Vicarious Learning) 285
공개적 모델링(Overt Modeling) 286
비공개적 모델링(Covert Modeling) 287
언어적 모델링(Verbal Modeling) 287
효과적인 대리적 학습요인 287
소멸과 망각 288
일반화학습과 차별화학습의 정의 290
행동수정 관점(behavioral modification perspectives) 290
Chapter 11 개성과 라이프스타일(Personality and Lifestyle)
개성(Personality) 297
개성특성과 상품 사용에 대한 연구와 최근의 경향 298
라이프 스타일(Lifestyle) 299
라이프스타일의 측정 301
라이프스타일의 시사점 304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의 관계 305
특성이론의 기타 변수들 313
개성특성과 마케팅전략 314
라이프스타일과 마케팅전략 317
Chapter 12 문화, 사회계층, 가족(Culture, Social Class and Family)
문화의 본질 323
문화의 정의와 특성 324
문화의 특성 326
문화의 구성요소 327
Johnson의 문화 구성요소(Ⅱ) 330
문화의 측정 331
하위문화(Subculture) 332
하위문화의 유형 334
비교문화(Cross Culture) 335
비교문화의 필요성 336
비교문화 분석 336
문화적 근시안(Culutral Myopia)의 사례들 338
문화의 다양성 338
문화의 영향 339
국내 상표와 오해 가능성 339
표준화와 비표준화전략 340
사회계층(Social Class) 342
사회계층의 특성 342
사회계층 측정방법 343
사회계층 분류의 시사점 344
가족(family) 346
가족시장의 특성과 중요성 346
남편과 아내의 영향 348
가족구성원 사이의 갈등과 갈등처리전략 350
자녀의 소비자 사회화의 정의, 중요성, 방법 351
Chapter 13 준거집단, 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확산
준거집단의 본질 358
준거집단의 요건(Cohen 1981) 361
준거집단의 유형 362
준거집단 영향의 차원과 결정요인 364
준거집단의 파워 365
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367
집단 간 커뮤니케이션(구전)(Word of Mouth) 369
구전의 내용 372
소비자의 혁신수용 모델 372
소비자의 혁신수용성향과 수용자 범주 373
혁신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74
Chapter 14 소비자행동과 유통전략
소비자의 쇼핑 동기 383
소비자의 점포선택 모델 384
점포내 소비자행동(In-store Consumer Behavior) 385
브랜드충성의 본질과 측정을 위한 접근방법 388
소비자행동에 관련된 변수의 유형 391
유통전략 392
SCM과 Big Data의 선두주자:Dell Computer사의 사례 394
찾아보기/397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