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한상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미국 서던일리노이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재)중민재단 이사장으로 1980년대 민주화 이행기에 중민 이론을 주창했다. 하버마스의 소통 이론과 유교의 공론장 개념의 친화성에 주목해 비판 이론을 재구성하고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장, 미국 뉴욕 컬럼비아대학교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중민 이론의 탐색》, 《한국 사회와 관료적 권위주의》, 《한국, 제3의 길을 찾아서》, 《386세대, 그 빛과 그늘》, 《탈바꿈》 등과 함께 《Habermas and the Korean Debate》, 《Divided Nations and Transitional Justice》, 《Beyond Risk Society》, 《Asian Tradition and Cosmopolitan Politics》, 《Confucianism and Reflexive Modernity》 등의 영문 저서가 있다.
지은이 : 차학봉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조선일보에 입사, 서울시청, 건설교통부, 건설업체 등을 출입하며 부동산 시장과 정책을 취재해왔다. 건국대 부동산대학원을 수료했으며, 조선일보에 입사해 수도권부와 경제과학부를 거쳐 현재 산업부에서 부동산을 담당하고 있다.
지은이 : 안병억
대구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을 가르치고 있고, 주간 팟캐스트 ‘안쌤의 유로톡’을 제작 및 운영 중입니다. 유럽의 정치.경제가 국제 사회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미국과 유럽연합의 관계》(공저) 《하룻밤에 읽는 영국사》 《셜록 홈즈 다시 읽기》를 펴냈습니다.
지은이 : 박원암
현재 홍익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MIT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개발연구원에서 근무하였다. 거시 금융이 주요 연구분야이며, 최근에는 우리나라경제발전과정에서 금융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체제전환모형을 이용한 외환위기 충격의 영속성 분석」 (2005), 「우리나라 경기변동의영구성과 일시성」 (2004), 「What Caused the Crisis? A Post Mortem」(2004)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은행 100년사』 (공저, 2004),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추정과 전망』(공저, 2004) 등이 있다.
지은이 : 이정옥
지은이 : 최윤경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박사(임상심리학)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인지행동치료전문가(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회장,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부회장(전) 한국심리학회 재난심리위원회 위원장(전) 고려대학교 의료원 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지은이 : 권호열
공학박사, IS감리사, CISA, ISTQB, IMS, SPICE
지은이 : 이영한
지은이 : 양명수
지은이 : 표학길
지은이 : 강건욱
서울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의학박사를 받고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로서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암환자 진단, 치료와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2013년부터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 의료분과 위원으로 국제 방사선안전기준 및 가이드라인 제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교재『고창순 핵의학』,『방사능 무섭니?』,『방사선과 건강』등 여러 저술에도 참여하였다
지은이 : 김소임
지은이 : 이혜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명예교수(디자인)
지은이 : 문형남
국내 대표 정보통신기술ICT과 지속가능성 연구 학자로서 ESG와 메타버스 및 공정거래 미래전략을 집중 연구하고 있다. (사)지속가능과학회 공동회장, (주)ESG메타버스발전연구원 원장/대표이사, 대한민국ESG메타버스포럼 의장, 인공지능AI국민운동본부 공동의장 등을 맡고 있다. ICT와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장관상을 6회 수상하고, 근정포장을 수훈(2021)했다.
지은이 : 함인희
지은이 : 오재학
지은이 : 황금주
지은이 : 임채영
지은이 : 남성현
지은이 : 김유현
지은이 : 박은희
지은이 : 김한성
지은이 : 박상준
지은이 : 윤순구
지은이 : 신희동
지은이 : 윤종수
지은이 : 김병석
지은이 : 배문성
지은이 : 김형준
지은이 : 이길상
지은이 : 윤석명
지은이 : 송문희
PART 1. 총론: 지속가능발전의 5개 지지대
01. 지속가능발전_ 2024년 긴축의 해, 지속가능발전의 5기둥
이영한(지속가능과학회 회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명예교수)
02. 사회_ 포퓰리즘과 2024년 총선: 데리다의 유령과 한국 시민사회
한상진(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03. 경제_ 투자주도 경제 체제의 재정립 시급
표학길(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04. 문명_ 기후변화와 문명의 위기
양명수(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명예교수)
PART 2. AI 혁신과 일상화
05. 기술_ AI 일상화 시대, 한국은 AI 리더가 될 것인가
권호열(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06. 소비_ AI는 마음이 있는가: 소비자의 인지와 반응
황금주(중앙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07. 미디어_ 넥스트 포털, 미디어의 ‘판이 바뀐다’
박은희(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08. 보건_ AI와 보건의료의 융합: 건강 수명을 늘린다
강건욱(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교수,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 원장)
09. 경영_ 생성 AI, 기업 혁신의 필수 도구로 급성장
문형남(숙명여자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10. 인사조직_ AI 시대, 일의 변화에 따른 인사·조직의 도전
김유현(진언(Partner of Pawlik) 대표, 인사혁신처 정책자문위원)
11. 금융_ AI로 금융 서비스의 디지털 르네상스를 열다
김한성(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고문, 전 한국은행 차세대시스템개발단 단장)
PART 3. 경제안보 활력과 리스크
12. 외교_ 국제정세의 3가지 변수와 한국 외교 리스크 관리
윤순구(전 유럽연합· 북대서양조약기구 대사)
13. 경제안보_ 변수에서 상수가 된 경제안보
박상준(와세다대학교 국제학술원 교수)
14. 반도체_ 글로벌 반도체전쟁의 심화와 한국 반도체산업의 미래
신희동(한국전자기술연구원 원장, 전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조정실장)
15. 원전_ 부활하는 원전산업, 변화하는 경쟁 구도
임채영(한국원자력연구원 소장)
16. 국제경제_ 미·중 무역 갈등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박원암(홍익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
17. 러-우전쟁_ 러-우 전쟁의 장기화 전망과 한국 외교의 딜레마
안병억(대구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PART 4. 기후변화와 주택의 회복력
18. 기후변화_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의 Twin Crisis
윤종수(김앤장 고문, 전 환경부 차관)
19. 교통_ 모빌리티 대전환 초석을 다지다
오재학(교통연구원 원장)
20. 도시_ 재해는 줄이고 행복지수는 올라가는 스마트한 도시가 온다
김병석(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장)
21. 숲_ 2024년, 새로운 기후적응 산림 패러다임 시동
남성현(산림청 청장)
22. 글로벌 부동산_ 금리충격 극복 주택시장이 직면한 새로운 위기
차학봉(땅집고 미디어본부장)
23. 부동산_ 남겨진 숙제가 발목을 잡는 2024년 주택시장
배문성(라이프자산운용 이사)
24. 주택_ 주택은 지속가능한가? 과학적 데이터로 위기를 넘겨야
이영한(지속가능과학회 회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
PART 5. 미뤄진 개혁과 사회 균형력
25. 정치_ 정당 재편성이냐 동거정부 탄생이냐
김형준(배재대학교 석좌교수)
26. 교육_ 비파괴적 교육혁신의 원년
이길상(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27. 연금_ 지속가능한 연금개혁 방향
윤석명(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 리셋코리아 연금분과장)
28. 여성_ 여성현실의 다양화와 유엔협약체제
이정옥(대구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 전 여성가족부 장관)
29. 저출생_ 저출생 문제와 외국인 가사도우미 논쟁
송문희(경기도어린이박물관장, 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PART 6. 탈가족화와 문화 포용력
30. 가족_ 생애주기의 탈표준화와 가족의 미니멀화
함인희(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31. 심리_ 1인 가구 750만 시대, 사회적 고립이 위험한 이유
최윤경(계명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32. 한류_ 멀티태스킹 한류 브랜드 확장
이혜주(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명예교수)
33. 문학_ 문학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생태, 페미니즘과 퀴어, 챗GBT
김소임(건국대학교 영어문화학과 교수)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