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대학교재
글로컬 시대 지방정부 외교와 공공외교  이미지

글로컬 시대 지방정부 외교와 공공외교
전략적 소통과 지역 브랜딩의 방법과 사례
오름 | 부모님 | 2024.04.30
  • 정가
  • 32,000원
  • 판매가
  • 28,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6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3x22.5 | 0.723Kg | 556p
  • ISBN
  • 978897778526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국내 최초로 지방정부의 공공외교를 본격적으로 다룬 학술서. 공공외교 공식 추진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시행한 ‘KF 공공외교 역량강화 시범대학 지원사업’의 대상 대학으로 선정된 전북대학이 출간한 공공외교 개론서인 《공공외교: 이론과 사례》의 후속작으로, 국내 최초로 지방정부의 공공외교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의 저술에는 송기돈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고주현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이영호 전 주예멘공화국 대사, 한인택 전 제주평화연구원장 등 지방외교와 공공외교 분야 전문가를 비롯하여 14명의 집필진이 참여했다. 저자들은 정치학, 외교학, 사회학, 심리학, 경제학, 경영학 등 각자의 전문분야에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를 결합하여 문화와 환경, 평화, 교육, 스포츠 등의 분야에서 점차 커져가는 지방정부의 공공외교 역할과 사례, 미래 방향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출판사 리뷰

국가와 중앙정부 중심성으로 인해 꽉 채워지지 않은 외교의 공간을
재공간화하는 지방정부의 공공외교 전략과 사례를 본격적으로 다루다


지구화(globalization)와 지방화(localization)의 교차가 심화되는 글로컬(glocal) 시대, 사람들은 각자의 국가와 중앙정부만이 아닌, 지구사회의 일원이자 지역(지방)의 구성원으로서 살고 있으며, 가장 가까이에 존재하는 지방정부와의 관계성이 중요한바, 글로벌 외교공간에서 지방정부의 지위나 역할의 정당성과 효율성이 인정되는 추세이다.
특히, 정부 간 소통과 협상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 의미의 외교와 달리, 문화ㆍ예술, 원조, 지식, 언어, 미디어, 홍보 등 다양한 기제를 활용하여 외국 대중에게 직접 다가가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감동을 주어 국가 및 지역의 브랜드를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높이는 ‘공공외교’의 성과에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에서도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지방정부를 바라보는 시야와 학문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와 중앙정부 중심성으로 인해 꽉 채워지지 않은 외교의 공간을 지방정부의 주체성으로 재공간화해야만 진정으로 전 지구적 외교 유비쿼터스화가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방외교와 공공외교 분야의 전문가를 비롯한 14인의 저자들이 국내 최초로 지방정부의 공공외교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학술서를 집필하였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에 관한 개념적 이해와 이론을 다룬 1부에서는 국제커뮤니케이션 논리와 도시 브랜딩 중심의 이론적 논리(1장), 온라인 플랫품과 소셜미디어의 환경 속에서 지방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구와 순기능적 활용 방안(2장), 정체성, 포지셔닝, 이미징, 브랜드 자산 등의 단계별 지역 브랜딩 전략(3장)을 제시하고 있다.
수행주체별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를 다룬 2부에서는 세계지방정부연합(UCLG)의 도시 네트워크가 수행하는 도시외교와 공공외교(4장), 유럽연합(EU) 중심으로 제도화된 지방정부 외교와 공공외교(5장), ‘국가 없는 민족’이 국제적 대표성 확립을 위해 공공외교를 활용한 카탈루냐 사례(6장), 뉴욕시의 글로벌 의제와 도시 의제의 결합형 접근 사례(7장), 유럽 지역의 대표적 글로벌 시티인 브뤼셀의 사례(8장), 서울특별시의 도시외교(9장) 전라북도의 공공외교 사례(10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제영역별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를 다룬 3부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세계평화의 섬 구상 사례(11장), 국제개발협력과 공공외교의 스마트한 결합 가능성을 관찰할 수 있는 한국 지방정부의 사례(12장), 유네스코와의 협업으로 진행되는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의 도시외교 사례(13장), 일본 요코하마시가 수행하고 있는 국제수도협력 사례(14장) 중앙 ․ 지방정부 결합형 공공외교 방식의 2018 평창동계올림픽 사례(15장)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 저자들의 바람처럼 이 책이 공공외교 연구자와 대학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에게 새로운 외교주체로서의 지방정부에 대한 보다 확장된 학문적 관심과 시야를 갖게 되는 계기가 되고, 지방정부의 대외관계 담당자들에게는 정책적ㆍ실무적 차원에서의 일차적인 길잡이가 되길 기대한다. 또한 글로컬 시대정신과 실천역량에 적합하도록 지방정부의 외교 및 공공외교에 관한 혁신적인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들도 새롭게 관심받길 희망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고주현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연세-쟝모네 EU센터 연구교수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학교(UCL)에서 공공정책학 석사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유럽지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유럽통합과 남유럽정치이며 EU 규범권력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최근 연구로는 『대외정책 행위자로서 유럽의회의 역할에 관한 고찰』, 『우크라이나 사태를 통해 본 대외적 행위자로서의 EU의 역할과 한계』, 『EU 규범권력과 대북한 관여정책』 등이 있다.

지은이 : 문경연
전북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 학장, 국제인문사회학부 교수노르웨이 University of Oslo와 영국 Cranfield University에서 각각 국제개발협력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국제인문사회학부 교수로 재임 중이다. 한국수출입은행 북한개발연구센터 부연구위원(2014~2016),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연구교수(2013)를 역임하였다. 미국 저서로는 『공공외교 이론과 사례』(오름출판사, 2015년),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고려대학교 출판부, 2021년), 『국제개발: 사회경제이론, 유산, 전략』(명인문화, 2021년) 등이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개발협력, 원조추진체계, 식량원조 등이다.

지은이 : 안상욱
국립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프랑스 파리 3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국립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분야는 EU 대외관계와 EU의 기후변화 대응이다. 주요 저서로는 『EU 미국 동아시아의 에너지정책』(2018, 한국학술정보), 『세계화의 진전과 도전』(2019, 한국학술정보)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천연가스 공급망 안보: 폴란드와 독일 사례 비교”(『한독사회과학논총』32권 4호, 2022), “EU의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성 확보정책”(『유럽연구』41권 1호, 2023) 등이 있다.

지은이 : 강정석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고려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소비자ㆍ광고심리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미국 University of Connecticut에서 박사학위(커뮤니케이션)를 취득했다. 광고회사인 DDB Korea 차장, SK텔레콤 부장 근무 경험이 있다. Journal of Brand Strategy,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ㆍ광고, 감성과학, 광고학연구, 소비자학연구 등의 국내외 학술지에 브랜드, 광고 효과, 소비자 정보처리 등과 관련된 논문을 게재했다.

지은이 : 송기돈
전북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외교정책이론으로 석사학위를, 국제기구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워싱턴 D.C.의 Georgetown University 외교스쿨의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사회과학연구소장, 호남국제정치학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전북국제교류센터 자문위원장,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지방외교자문위원 등을 역임하고, 현재는 전북국제협력진흥원 자문위원과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남북교육교류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ㆍ교육 분야는 국제정치이론, 외교이론, 국제기구(유엔), 공공외교 등이다.

지은이 : 이민규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중국 베이징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마카오대학교 정치행정학과 박사후연구원과 재단법인 여시재 부연구위원을 거쳐 서울연구원 연구위원과 국민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중 경쟁시대 한국 외교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미중관계, 한중관계, 중국의 대외정책은 물론, 도시외교와 외국인 관련 정책을 ‘대안’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무너진 기대심리: 한국인의 반중 정서 요인 분석”(2023), “City Diplomacy in South Korea: Trends and Characteristics”(2023) 등 40여 편(권)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지은이 : 윤석준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학부 정치외교학전공 교수국제정치, 유럽정치, 개발협력 분야를 주로 연구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서강대학교에서 정치학ㆍ불문학ㆍ경제학을, 이탈리아 볼로냐대학교에서 기호학을, 스위스 제네바대학교에서 유럽학을 공부한 뒤, 프랑스 파리정치대학(시앙스포)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국제정치학회 유럽연구분과위원회 위원장 및 통합유럽연구회 연구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공공외교의 이해』(2020), “유럽 지역의 ‘기업과 인권’ 규범 형성에 대한 연구: 중층성에 기반한 효율적 혼합(2022)”, “EU-MENA의 지속가능한 녹색협력: 지중해연합(UfM)에서 인식 공동체의 역할(2021)” 등이 있다.

지은이 : 손현주
전주대학교 창업경영금융학과 조교수미국 University of Houston을 거쳐 하와이대학 정치학과에서 미래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국민대, 전북대, 원광대 등에서 사회학 및 미래학 관련 강의를 하였다. 현재는 전주대학교 미래융합대학 창업경영금융학과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미래학회(사) 부회장, 전라북도 공유경제활성화위원회 위원, 전주시 사회적경제활성화위원회 위원, 경상북도 미래비전 2045 자문단 위원 등을 맡고 있으며, 주로 한국의 대안미래와 인공지능혁명시대에 실현 가능한 바람직한 사회의 미래를 연구하고 있다.

지은이 : 이상현
전북대학교 스페인ㆍ중남미학과 교수미국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Latin American Studies(정치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스페인ㆍ중남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라틴아메리카 급진좌파의 부상과 정당체제”, “보훈과 공공외교: 콜롬비아 사례를 중심으로”, “라틴아메리카 리튬 자원 산업 정책 비교 연구”, “스페인 민주화와 제도 그리고 카탈루냐 분리 독립운동”, “The Political Economy of Privatization of YPF in Argentina” 등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출판하였으며 현재 라틴아메리카 자원산업과 소유권 문제, 스페인어권 정치체제 등 라틴아메리카와 스페인 정치ㆍ경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은이 : 이영호
전 주예멘공화국대사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를 통해 외교부 재직 초기에 미국 터프츠대 플래처스쿨(외교법률대학원) 연수 후 태국, 남아공, 카자흐스탄, 영국, 홍콩 등에서 근무했다. 이후 북경총영사와 재외동포영사심의관을 거쳐 예멘전쟁 당시 주예멘대사로서 아덴만 청해부대 왕건함에 최초의 함상대사관을 재배치하여 내외국인을 철수시키는 성과를 이뤘다. 전문 연구분야는 동남아 통상과 영사문제이며, 현재 재한동포연합회 및 세계한인네트워크의 고문과 재외동포정책실무위원회 민간위원을 맡고 있다. 외교부 외교문서 공개 심사위원과 국립외교원 명예교수를 역임했으며, 전라북도국제교류센터장(2017~2022)으로서 지방정부 공공외교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

지은이 : 한인택
전 제주평화연구원장ㆍ제주포럼집행위원장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동 대학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C Berkele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 제주평화연구원 연구위원, 연구실장, 제주포럼사무국장, 제주국제평화센터장을 역임하였다. 미국 UC Davis, University of Washington,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국제협력 증진에 있어서 민간전문가(Track 2) 외교의 역할, 특히 안보협력의 증진에 있어서 안보대화의 역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유럽과 동남아의 선례를 조사하고 동북아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지은이 : 신보람
전북대학교 국제인문사회학부 조교수, KF 공공외교역량강화대학 전북대 단장중앙아시아 및 유라시아 근현대 문화사 연구자이다.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국제학(International Studies)으로 학사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러시아 지역학(Russian Studies)을 마쳤으며 동 대학에서 소비에트 시대 우즈베키스탄 민족정체성 및 문화정체성 관련 논문으로 슬라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015).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 경북대 사학과 BK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국제인문사회학부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 냉전시대 소비에트연방의 문화ㆍ과학외교사를 연구 중이다.

지은이 : 하동현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공공갈등과 지역혁신연구소 소장고려대학교 행정학과 학사와 석사를 거쳐 일본 게이오대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고려대 정부학연구소 연구교수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과 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 평가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관심 분야는 지방자치, 갈등관리, 정책형성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광역단체장의 직무수행평가의 추세 및 영향요인”(2021), “‘공론화 확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2021) 등이 있다.

지은이 : 문현미
한양대학교 현대한국연구소 연구위원한양대학교에서 국제학박사를 취득하고,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현대한국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중국, 소프트파워, 공공외교, 지방정부, 자치분권 등이며, 최근 연구로는 “한국의 중앙-지방 결합형 공공외교에 관한 시론적 고찰: 2018 평창동계올림픽 사례를 중심으로”(2023), “지방자치단체 공공외교와 강원도”(2022), “한중수교 30년 회고와 전망: 지방공공외교를 중심으로”(2022),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중국 공공외교 연구”(2021), “자치분권시대, 한국 지방정부 국제교류협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020), “한국 지방정부 공공외교에 관한 분석과 진단”(2019) 등이 있다.

지은이 : 박지연
전북대학교 국제인문사회학부 조교수이화여자대학교 학부를 거쳐 미국 University of York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한국수출입은행 연구위원을 거쳐 전북대학교 국제인문사회학부에 재직 중 미국 George Mason University 방문교수로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대북제재와 북한개발협력 등이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지방정부 외교 및 공공외교의 개념 이해와 이론

1장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의 이해
Ⅰ. 들어가며
Ⅱ. 외교에서의 지방정부와 공공외교
Ⅲ. 지방정부의 단위 유형과 지방정부 외교
Ⅳ. 지방정부 공공외교의 개념과 전략
Ⅴ. 지방정부 외교와 공공외교의 법제화 사례
Ⅵ. 맺음말: 지방정부 외교와 공공외교의 통합적 관찰 구도

2장 국제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지방정부의 디지털 공공외교
Ⅰ. 들어가며
Ⅱ. 국제커뮤니케이션의 이해
Ⅲ. 지방정부의 디지털 공공외교
Ⅳ. 지방정부의 디지털 공공외교를 위한 국제커뮤니케이션 전략
Ⅴ. 맺음말

제3장 지방정부의 공공외교와 지역 브랜딩
Ⅰ. 지방정부의 공공외교와 지역 브랜딩의 관계
Ⅱ. 지역 브랜딩의 이해
Ⅲ. 지역 브랜딩의 절차
Ⅳ. 맺음말

2부 수행주체별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

4장 글로벌 네트워크형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 세계지방정부연합(UCLG)의 도시네트워크 사례
Ⅰ. 들어가며
Ⅱ. 도시의 외교 유형과 글로벌 도시네트워크
Ⅲ. UCLG의 거버넌스 구조와 도시외교 프레임
Ⅳ. UCLG의 공공외교 정책기조와 실제
Ⅴ. 나가며

5장 유럽연합의 지방정부 외교와 공공외교
Ⅰ. 들어가며
Ⅱ. 유럽 지역의 네트워크형 지방정부 공공외교
Ⅲ. 유럽 지역 네트워크형 지방정부 공공외교: CoR, CLRA, CEMR 사례를 중심으로
Ⅳ. 맺음말 215

6장 스페인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 카탈루냐 자치주 사례
Ⅰ. 서론
Ⅱ. 스페인의 지방자치와 지방정부
Ⅲ. 카탈루냐 자치주의 대외관계와 지방정부 외교
Ⅳ. 카탈루냐 자치주의 공공외교
Ⅴ. 결론

7장 미국 뉴욕의 도시외교와 공공외교
Ⅰ. 서론
Ⅱ. 뉴욕시 도시외교와 공공외교 활성화의 내재적 토양
Ⅲ. 뉴욕시의 도시외교
Ⅳ. 뉴욕시의 공공외교
Ⅴ. 결론

8장 벨기에 브뤼셀의 도시외교와 공공외교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벨기에 지방의 대외정책 권한과 자치외교
Ⅳ. 브뤼셀 도시외교의 거버넌스와 제도적 특징
Ⅴ. 브뤼셀의 공공외교
Ⅵ. 국제교류 전략, 특징 및 현황
Ⅶ. 결론 및 함의

9장 한국 서울특별시의 공공외교: 도시외교 발전추세와 특징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자매 우호도시 다변화와 다자 공공외교 활성화
Ⅲ. 지역 단위 지속가능한 양자 교류협력 모델 구축
Ⅳ. 국내외 공공외교 중심 인적 네트워크 구축과 사무국 역할 인식
Ⅴ. 결론

10장 전라북도 지방정부의 공공외교
Ⅰ. 서론
Ⅱ. 지방정부-중앙정부 연계 공공외교 협업의 필요성
Ⅲ. 전라북도 지방정부의 공공외교 사례
Ⅳ. 전라북도 지방정부 공공외교의 발전 방향

제3부 문제영역별 지방정부의 외교와 공공외교

11장 세계평화협력과 지방정부 공공외교: 제주특별자치도의 세계평화의 섬 구상 사례
Ⅰ. 서론
Ⅱ. 제주도의 교류협력 활동
Ⅲ. 세계평화의 섬 비전
Ⅳ. 국제자유도시 조성
Ⅴ. 제주도 소재 공공외교 수행기관들
Ⅵ. 결론을 대신하여

12장 국제개발협력과 지방정부 공공외교: 한국 사례
Ⅰ. 들어가며
Ⅱ.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지자체
Ⅲ. 지자체의 국제개발협력 현황
Ⅳ. 지자체의 국제개발협력 과제와 논의
Ⅴ. 결어

13장 문화교류협력과 중앙아시아 도시외교: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사례
Ⅰ. 시작하는 말 455
Ⅱ. 중앙아시아의 실크로드 도시외교 458
Ⅲ. 맺는말 472

14장 국제 도시협력사업과 지방정부의 외교 및 공공외교: 일본 요코하마시 국제수도협력 사례
Ⅰ. 들어가며
Ⅱ. 일본 지방정부의 공공외교 추진 방식
Ⅲ. 일본 지방정부의 공공외교 거버넌스: 요코하마시 수도국을 대상으로
Ⅳ. 일본 지방정부의 공공외교 사례: 요코하마시의 국제협력 수도사업
Ⅴ. 결론

15장 중앙 지방 정부 결합형 스포츠 공공외교: 한국의 2018 평창동계올림픽 사례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논의
Ⅲ. 중앙 지방 결합형 공공외교의 제도 및 현황
Ⅳ. 중앙 지방 결합형 공공외교의 사례 분석
Ⅴ. 맺음말

편저자 및 집필진 소개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