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주경미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강사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했으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과 중앙아시아학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의 연구>, <대장장>, <동양미술사>(공저), <유라시아로의 시간여행>(공저) 등이 있으며, 그외에도 다수의 논저를 발표하였다.
지은이 : 이송란
덕성여자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 미술사학전공 교수유라시아미술의 관점에서 동아시아 미술문화를 연구한다.
지은이 : 박아림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일반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한국과 중국의 고분미술과 몽골과 중앙아시아의 고고미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이 : 소현숙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동아시아 고대 불교문화사 연구하고 있으며 「唐 高宗의 阿育王像複製와 流布 -道宣의 역할 및 諸州官寺制의 기능을 중심으로-」가 ‘2022년 교육부 선정 우수학술성과 50선’에 꼽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지은이 : 이승희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연구교수아시아 지역의 벽화 및 불화를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미술사학회, 동양미술사학회 등 학회의 임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이 : 마테오 콤파레티
수도사범대학 역사학원사산조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조로아스터교 도상학 그리고 사산조 페르시아와 소그드의 교류사를 연구한다.
지은이 : 심영신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종교미술 도상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종교 내외의 요인들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이 : 서남영
경북대학교 연구교수교토대학교 문학박사, 동아시아 불교미술사 전공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 남북조시기 불교조각론이며 이에 관한 논문을 다수 집필하였다. 근래에는 중국 불교조각의 지역적 전개와 동아시아 미륵도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지은이 : 김은경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조교수중국도자기를 중심으로 고대부터 근대까지 육로와 해로를 통해 확산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이해의 충돌과 교섭 과정을 연구 과제로 삼고 있다.
지은이 : 최국희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미술사와 고고학을 전공했으며 중국의 공예사와 향문화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간행사 / 4
1. 소그드인들의 형성과 정체성
이송란 | 소그드인과 소그드 역사 / 11
마테오 콤파레티 | 아프라시아브 벽화를 통해 본 소그드인의 세계관과 미술 / 29
이승희 | 소그드의 여신 나나 도상의 형성과 변천 과정 / 57
2. 중국으로 간 소그드인들
소현숙 | 고고학적 발견으로 본 중세 중국의 소그드[粟特]인 / 95
심영신 | 6세기 후반 중국 소그드인의 상장(喪葬) 미술과 문화 적응 그리고 정체성 / 117
서남영 | 일본의 소그드 연구 동향과 미호뮤지엄의 석관상위병 검토 / 147
3. 소그드 미술 유행과 확산
주경미 | 중국 출토 외래계 장신구의 종류와 특징 / 177
김은경 | 수대(隋代) 도자의 서역 요소 계통과 출현 배경 / 209
김은경 | 당대(唐代) 장사요(長沙窯)의 호풍(胡風) 형성과 그 배경 / 237
최국희 | 당대 경산사 지궁(地宮)에서 출토된 인면문호병(人面文胡甁) / 267
4. 서방계 금은기와 소그드
이송란 | 쿠샨-사산 금은기와 소그드 은기 / 289
이송란 | 중국의 서방 고전신화 장식 은기(銀器)의 계보와 제작지 / 299
이송란 | 중국 남북조시대 서방계 금은기의 수입과 제작 / 323
5. 한반도와 소그드
박아림 | 고구려, 돌궐, 소그드인의 동서 문화 교류 / 353
이송란 | 신라 계림로 14호분 <금제감장보검>과 소그드의 검문화 / 387
도판목록 / 423
색인 / 453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