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설일체유부의 수행도론  이미지

설일체유부의 수행도론
현관도 형성의 배경 연구를 중심으로
운주사 | 부모님 | 2024.07.10
  • 정가
  • 23,000원
  • 판매가
  • 20,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1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576Kg | 320p
  • ISBN
  • 978895746787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설일체유부에서 수행의 핵심으로 삼고 있는 현관(現觀) 개념에 대해 초기경전과 아비달마 논서를 다각도로 분석 고찰함으로써 설일체유부의 이론과 수행의 전체적인 모습을 조망한 책이다.

  출판사 리뷰

1.
불교의 실천적 수행의 중심에는 붓다가 깨달은 진리인 사성제가 있으며, 이는 초기경전에 이어 설일체유부로 계승된다. 유부의 사상가들은 성자의 단계인 견도에 도달하고자 제현관(諦現觀, satyābhisamaya)을 수행의 핵심 개념으로 채택한다. 현관은 초기불교에서 존재의 속성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여실지견(如實知見)의 경험인식과 같은 의미이다.
이 책은 명상관찰자가 분석과 통찰의 대상이 되는 존재요소인 5온의 특징을 ‘무상ㆍ고ㆍ무아’로 이해하고 ‘자아’와 관련짓지 않는 점진적 과정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특히 번뇌를 단절하는 심리적 과정이나 존재론적 특징을 중심적으로 탐색하기보다 인지적 앎의 주체인 수행자가 통찰하는 5온이 명상 경험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중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는 성도(聖道)인 견도(見道)에 이르기까지 수행단계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유부의 수행도론은 일체법(一切法)을 의미하는 5온에 대한 단계적 통찰과정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2.
전체 9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중요한 유부 논서에서의 현관 개념에 주목하여 제법과 현관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법의 이론’과 ‘실천의 이론’의 관련성을 고찰하고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유부 수행도의 특징과 기존의 연구를 정리하고, 제2장에서는 정통유부 문헌을 중심으로 현관 개념을 살펴보고, 현관의 대상이 되는 사성제법, 법을 관찰하는 혜(prajnā)에 대한 유부의 이해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제3장부터 제5장까지는 견도 이전 가행위에 속하는 부정관과 지식념, 사념주, 사선근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법의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유부의 수행체계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 같은 수행체계는 일체법에 대한 수행자의 인식이 변화 발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기도 하다.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비바사론』에서 제시하는 두 가지 수행체계를 비교하고 있다. 제6장에서는 유부의 번뇌 개념이 두 가지 관점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존재론적 관점은 5위 가운데 마음(心)과 상응하는 심소법의 범주 내에서 오염된 심리작용을 총칭하는 일반명사로 번뇌의 법상(法相)을 분류 체계화한다. 둘째로 실천 인식론적 관점에서는 유부의 수행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수면(隨眠)이란 개념을 사용하여 수행력으로 단절하기 어려운 번뇌의 특징을 강조한다. 한편 제7장에서는 『심론』 계열의 논서를 계승하는 『구사론』과 정통유부 계열 논서의 수행 순서가 다른 점에 주목하고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수행의 차이점보다는 혜가 통찰하는 대상이라고 지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부가 제시하는 수행체계는 수행자가 명상체험에서 인식하는 궁극적 실재인 일체법의 변화상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제8장에서는 고(苦)의 주요한 원인인 유신견을 존재론과 인식론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존재의 특징에 대한 바른 이해와 유부 수행도론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을 고찰하였다.
이제까지의 유부 아비달마에 관한 연구는 존재론적 관점에 집중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행론에 관한 연구도 없지 않지만 유부 수행단계를 관통하는 일체법인 5온에 대한 통찰이라는 측면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이 책은 일본학자 다나카 고쇼(田中敎照)가 지적한 정통유부의 수행체계와 『구사론』에서 제시한 수행체계의 차이점에 주목한다. 그 결과 명상에서 체험하는 성자나 수행자의 혜(慧)의 통찰대상인, 일체법인 5온의 단계적인 변화상이 인무아를 증득해 가는 점진적 수행단계의 표현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으며, 이것이 바로 이 책의 핵심이다.

3.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 책은, 5취온의 특징이 무상ㆍ고ㆍ공ㆍ무아라고 깨닫는 인무아(人無我)의 증득이 유부 수행도의 궁극적인 목적임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이를 유부가 제시한 수행체계의 검토를 통해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아비달마 사상가들의 일체법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는 실천수행자가 선행해야 하는 중요한 학습이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경희
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학사와 동국대학교 대학원(서울)에서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 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중 도일, 일본 오타니대학 대학원에서 불교학전공으로 박사학위(아비달마 전공)를 취득하였다.

  목차

서언·5

제1장 서론 17

1. 유부 수행도의 특징·17
2. 본서의 구성과 주요 내용·22

제2장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현관도의 전개 41

- 현관의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
1. 서론·41
2. 사성제 현관의 배경·44
3. 아비달마 논서에 있어서 사성제 현관·48
1) 『집이문족론(集異門足論)』·48
2) 『법온족론(法蘊足論)』·52
3) 『품류족론(品類足論)』·54
4) 『비바사론(毘婆沙論)』·57
5) AKBh·『순정리론(順正理論)』·62
4. 결론·67

제3장 설일체유부의 부정관과 지식념에 대한 고찰 69

1. 서론·69
2. 유부 수행도에서 부정관과 지식념·74
1) 염(smṛti)과의 관계·74
2) 부정관을 수행하는 유가행자·86
3. 지식념(입출식념)·95
1) 초기단계 가행위로서의 지식념·95
2) 지식념의 여섯 가지 원인·102
4. 결론·108

제4장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사념주의 전개 112

1. 서론·112
2. 초기불교에 있어서 사념주·113
3. 제1기 아비달마 논서에 있어서 사념주·119
1) 『집이문족론』·119
2) 『법온족론』·122
4. 제2기 아비달마 논서에 있어서 사념주·126
1) 『품류족론』·126
2) 『비바사론』·128
5. 제3기 아비달마 논서에 있어서 사념주·138
1) 『아비담심론』·『아비담심론경』·『잡아비담심론』·138
2) AKBh·『순정리론』·『현종론』·141
6. 결론·149

제5장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사선근 151

- 신(信)과 단선근(斷善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1. 서론·151
2. 유부(有部) 수행도(修行道)에 있어서 사선근(四善根)·153
1) 난(煖, ūṣmagata)·156
2) 정(頂, mūrdhan)·159
3) 인(忍, kṣānti)·163
4) 세제일법(世第一法, laukikāgradharma)·167
3. 단선근(斷善根)과 속선근(續善根)에 있어서 신(信)의 역할·171
4. 단선근(斷善根)과 오근(五根)의 관계를 통해 본 신(信)의 의미·176
5. 결론·181

제6장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번뇌의 고찰 183

- 수면(隨眠)의 개념과 단절의 의미를 중심으로 -
1. 서론·183
2. 유부 번뇌론의 특징·185
1) 번뇌(煩惱, kleśa)의 일반적 의미와 작용원리·185
2) 번뇌의 동의어인 수면(隨眠, anuśaya)의 두 측면에 관한 고찰·191
3. 유부에 있어 번뇌 단절의 의미·203
1) 번뇌의 발생의 주요 원인과 번뇌의 단절·203
2) 일체법의 변지(遍知)·210
4. 결론·215

제7장 혜의 통찰대상에 대한 고찰 217

1. 서론·217
2. 혜의 통찰대상·219
1) 혜의 통찰대상인 일체법·219
2) 3의관과 7처선·229
3) 일체법의 의미·235
3. 존재를 보는 두 가지 관점 –세속제와 승의제–·240
1) 설일체유부에서 2제설의 의미·240
2) AKBh에서 설명하는 2제설·247
4. 결론·255

제8장 현관, 인무아의 통찰 257

- 설일체유부를 중심으로 -
1. 서론·257
2. 고성제와 유신견의 관계와 의미·259
1) 고성제와 유신견의 관계·259
2) 고성제와 유신견의 의미·266
3. 아비달마불교에 있어서 유신견·271
1) 존재론적인 관점·275
2) 인식론적 관점·282
4. 결론·287

제9장 결론 289


참고문헌·299
찾아보기·311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