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현대 건축의 기틀을 마련한 세드릭 프라이스의 건축을 해설한다. 프라이스는 형태에 집착하는 기념비적 건축이 아니라 사람과 사회에 유용한 건축을 추구했다. 첨단 기술과 사이버네틱스를 건축에 적극 도입해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고 불확정성을 받아들였다. 우리가 공간을 경험하고 사용하는 방식에 대한 색다른 통찰을 제공한다.프라이스에게 즐거움(delight)은 사회주의적 신념 못지않게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잘 알려진 독특하고 유머러스한 말투와 행동들이 이러한 생각에서 비롯했겠지만, 건축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프라이스는 건축이 사람들로 하여금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신념을 지녔다. 건축이 과거의 엄숙한 기념비적 역할에서 벗어나 건축물을 만들어 가고 사용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여겼다._“‘들어 본 적 없는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가’” 중에서
프라이스와 리틀우드는 전후 여가 시간이 늘어난 사람들이 모여 게임을 하거나 준비된 악기로 즉흥 연주를 하고, 영화를 보거나 만들고, 서로에게 언어나 요리를 배우거나 그저 다른 사람들을 구경할 수 있는 장소로서 ‘거리의 대학’을 구상했다. 그러나 그들이 생각한 ‘대학’은 일상적 의미의 교육 기관과는 거리가 멀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 변화와 기술 발전으로 일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여가 시간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단순 휴식(idle) 상태가 아니라 창조적 시간으로서 여가(leisure)가 배움(learning)이라고 생각했다. 프로젝트 이름의 ‘펀(fun)’은 이러한 의도를 담고 있다._“02 <펀 팰리스>” 중에서
프라이스에 따르면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는 클라이언트가 많은 것을 결정하지 않은 상태일 수밖에 없으며, 건축가는 이런 불확정성을 건물의 형태나 작동 방식과 관련된 ‘미지의 것에 대한 즐거움(delight in the unknown)’을 찾는 일과 연결해야 한다. 처음부터 모든 것이 정해진 건축을 추구하는 안전한 시도들은 수십 년간 건축계를 지배해 왔으며, 건축을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에서 점점 더 멀어지게 했다. 따라서 프라이스는 설계와 그 이후 건물 작동에 대해 부분적이나마 불확정성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건물이 생애 주기 동안 변화 가능성과 재고할 만한 가치를 지닐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_“05 불확정성과 가변성”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정수
영국 건축사(ARB/RIBA)이자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교수로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AA스쿨에서 AA Diploma 학위를 받았다. 건축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관심을 두고 서울시 공공건축가(2016∼2022), 마을건축가(2020∼2022)로 활동하면서 동주민센터, 청년인큐베이팅센터, 공영주차장 등 공공 건축 프로젝트들을 진행했다. 연구 논문으로는 “포스트 디지털 드로잉의 배경과 의의에 대한 연구”(2023), “세드릭 프라이스의 건축에 나타나는 사이버네틱스의 영향”(2017) 등이 있다. 그 외 세드릭 프라이스와 현대 건축 관련 논문 다수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