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신분제는 5백 년 조선 사회를 지탱한 제도였다. 1894년 신분제가 철폐되었지만, 신분 차별 관습은 20세기에도 계속되었다. 신분제에서 최하층 천민으로 온갖 차별과 억압을 받아온 백정이 1923년 차별 철폐와 평등 대우를 주장하기 위하여 형평사를 창립하고 형평운동을 벌였다. 1935년 대동사로 바뀔 때까지 평등 사회를 지향하며 활동한 형평운동은 일제강점기에 가장 오랫동안 지속한 사회운동으로 기록된다.저자는 형평사 창립지 진주에 소재한 경상국립대학교에서 재직하며 40여 년 동안 형평운동을 연구하였다. 이 책은 저자가 2023년 형평사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한 저술 결과이다.이 책은 형평운동의 역사적 과정과 의의를 논의한 뒤, 국내외 연구 성과와 동향을 총망라하고, 형평운동을 탐구한 저자의 연구 방법과 과정을 되짚어보고 있다. 그리고 근대 인권운동의 금자탑으로 평가되는 형평운동이 1920년대 당시로는 선구적인 인권 개념을 도입하고 인권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다른 사회운동 단체와 협력한 연대 활동을 논의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형평사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며
국내외 형평운동 연구 성과와 동향을 총망라해
신분제는 5백 년 조선 사회를 지탱한 제도였다. 1894년 신분제가 철폐되었지만, 신분 차별 관습은 20세기에도 계속되었다. 신분제에서 최하층 천민으로 온갖 차별과 억압을 받아온 백정이 1923년 차별 철폐와 평등 대우를 주장하기 위하여 형평사를 창립하고 형평운동을 벌였다. 1935년 대동사로 바뀔 때까지 평등 사회를 지향하며 활동한 형평운동은 일제강점기에 가장 오랫동안 지속한 사회운동으로 기록된다.
저자는 형평사 창립지 진주에 소재한 경상국립대학교에서 재직하며 40여 년 동안 형평운동을 연구하였다. 이 책은 저자가 2023년 형평사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한 저술 결과이다.
이 책은 형평운동의 역사적 과정과 의의를 논의한 뒤, 국내외 연구 성과와 동향을 총망라하고, 형평운동을 탐구한 저자의 연구 방법과 과정을 되짚어보고 있다. 그리고 근대 인권운동의 금자탑으로 평가되는 형평운동이 1920년대 당시로는 선구적인 인권 개념을 도입하고 인권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다른 사회운동 단체와 협력한 연대 활동을 논의하고 있다.
이 책의 주요 성과 가운데 하나는 형평사 창립과 형평운동을 이끈 양대 지도자인 강상호와 장지필의 활동 이력을 소상하게 규명한 것이다. 3.1운동을 비롯하여 진주 지역의 여러 사회운동에 참여한 직업적 사회운동가 강상호는 비백정 출신이지만, 백정 지도자들과 협력하여 형평사 창립을 이끌었다. 그러나 강상호는 창립 초기에 본사를 진주에 두자는 진주파와 서울로 이전하자는 중부권의 서울파가 벌인 파벌 대립의 중심에 있었다. 형평사 총본부가 서울로 이전하여 전국적인 사회운동으로 발전하는 상황에서 경남 지역 활동가들은 1920년대 후반 이후에도 빈번하게 서울의 형평사 총본부와 갈등을 벌여 형평운동 발전을 가로막았다. 이 글은 형평사 내부의 파벌 대립 중심에 있던 강상호가 진주 지역의 사회 개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또한 1935년 이익단체로 전락하며 친일 활동을 벌인 대동사 지도자로서 보인 다면적인 모습을 밝히고 있다.
백정 출신인 장지필은 진주 인근의 백정을 이끌고 관찰사에게 차별 철폐를 탄원하는 부친의 활동을 목격하였다. 그는 1910년 일본 메이지대학에 유학하다가 3년 만에 가정 사정으로 중도 퇴학하고 귀국한 뒤 1923년 진주의 형평사 창립에 참여하였다. 이후 평생에 걸쳐 백정 권익 증진을 위하여 활동한 형평운동의 핵심 지도자였다. 형평사를 전국 조직으로 발전시키고 형평사원의 인권 증진과 사회적 연대를 이끈 지도자 장지필은 고려혁명당 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기도 하고 젊은 활동가들의 형평사 해체 시도를 막으며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형평사의 전업 활동가 장지필은 열성적으로 형평운동을 벌였지만, 1930년대 초 형평사 안팎의 압박 아래 형평운동의 퇴조를 막지 못하였다. 대동사로 개칭한 이후 활동을 중지한 장지필은 1930년대 후반 일제가 전쟁을 벌이며 국민 총동원과 통제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다시 총본부에 참여하며 친일 활동을 벌였다. 해방 이후 장지필은 조봉암의 진보당에 참여한 이력을 남겼다. 이 책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장지필의 활동을 신문 보도, 일제 관헌 자료, 제적부 등을 통하여 밝히고 있다.
이 책은 진주 지역의 형평사 창립 과정을 규명하는 한편, 지역 형평운동 사례로서 진주 형평사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형평운동 확산에 이바지한 전국 본사의 역할과 지역 형평사원들의 권익을 증진하는 지역 형평사 활동, 그리고 전국의 형평운동 발전 과정에서 소외된 변화 모습을 밝히고 있다. 이 장과 함께, 또 하나의 진주 지역 역사를 기록한 장이 있다. 이것은 해방 이후 거의 잊힌 형평운동 역사를 되살리며 기억하려는 진주 주민들의 기념사업 성립 과정을 소상하게 밝히며, 형평운동 역사와 정신을 기리는 지역 주민 활동을 기록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저자의 저서, 『형평운동연구: 일제 침략기 백정의 사회사』, 『평등 사회를 향하여: 한국 형평사와 일본 수평사의 비교』에 이은 또 하나의 괄목할 만한 형평운동 연구 성과로 평가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중섭
경상국립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정년퇴직한 뒤 명예교수로 있다.형평운동에 관하여 『형평운동연구: 일제침략기 백정의 사회사』(1994), 『형평운동』(2001, 일본어 번역본 『衡平運動: 朝鮮の被差別民·白丁, その歷史とたたかい』, 高貞子 옮김, 大阪: 解放出版社, 2003), The Korean Paekjong under Japanese Rule: The Quest for Equality and Human Rights (London: RoutledgeCurzon, 2003), 『평등 사회를 향하여: 한국 형평사와 일본 수평사의 비교』(2015), 『형평운동과 인권의 시대』(공편, 2023) 등의 저서와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인권 분야에 관하여 『인권의 지역화: 일상생활의 인권 증진을 위하여』(2016), 『인권제도와 기구: 국제 사회, 국가, 지역 사회』(공저, 2018) 등의 저서와 『한국 지역사회의 인권: 2001 진주 지역사례 연구』(2001), 『한국 어린이・청소년의 인권: 진주 지역 사례 연구』(2002), 『세계화와 인권 발전』(공편, 2004, 일본어 번역본 『グローバル時代の人權を展望する』 大阪: 解放出版社, 2004) 등을 엮어냈고,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그리고 진주 지역 역사에 관하여 『사회운동의 시대: 일제침략기 지역 공동체의 역사사회학』(2012), 『진주 3.1운동과 근대 사회 발전』(공저, 2020) 등의 저서와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I부 역사와 유산
1장. 형평운동의 역사적 과정과 의의
1. 머리글
2. 신분제의 폐습 타파
3. 3.1운동의 성과
4. 인권 회복과 증진
5. 백정 전통 산업에 대한 관의 통제와 자본 침투
6. 공동체 복원
7. 사회적 연대 강화
8. 시류에 좌절
9. 맺음말
2장. 형평운동 연구의 성과와 동향
1. 머리글
2. 형평운동 연구의 성과
3. 외국에서의 형평운동 연구 성과
4. 형평운동 연구 방법과 경향
5. 맺음말: 형평운동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안
3장. 형평운동의 역사사회학적 탐구 되짚어보기
1. 머리글
2. 형평운동 연구 방법의 유산
3. 형평운동의 역사사회학적 분석
4. 맺음말
4장. 백정의 소멸(시론 에세이)
1. 오늘날의 백정 잔재
2. 백정 차별 관습
3. 형평운동의 흔적
5장. 형평운동 기념사업의 발전
1. 머리글
2. 형평운동70주년기념사업회 창립
3. 형평운동 70주년 기념행사
4. 형평운동 기념탑 건립을 향하여
5. 형평운동 기념탑 준공: “인간 존엄과 평등 사회를 여는 날”
6. 형평운동 80주년 기념행사
7. 맺음말: 형평운동 100주년을 기리며
제II부 인권과 연대
6장. 형평운동과 인권, 그리고 사회적 연대
1. 머리글
2. 인권 인식의 변화
3. 사회적 연대의 변화
4. 형평사의 쇠퇴와 활동 성격 변질
5. 맺음말
7장. 형평사 창립과 진주 지역 형평운동
1. 머리글
2. 형평사의 창립 과정
3. 형평사 창립 배경의 재검토
4. 형평사 창립 배경의 종합적 이해
5. 창립 이후 진주 지역의 형평사 활동
6. 파벌 대립과 진주 형평사
7. 1926년 이후의 진주 형평사
8. 맺음말
8장. 사회운동가 강상호와 형평운동
1. 머리글
2. 출생과 교육, 그리고 사회운동 입문
3. 진주 지역 3.1운동과 사회운동
4. 형평사 창립 주도
5. 형평사 지도부의 파벌 대립
6. 진주 지역의 사회운동 참여
7. 계속되는 형평사 파벌 대립
8. 진주 지역 현안 문제 참여
9. 대동사 참여와 일제 부역 활동
10. 맺음말
9장. 백정 해방운동가 장지필
1. 머리글
2. 출생과 성장
3. 형평사 창립과 반형평운동 대응
4. 형평사 혁신 활동 주도
5. 형평사 총본부의 서울 이전
6. 고려혁명당 사건과 형평사 지도부의 변화
7. 해소론과 형평청년전위동맹 사건
8. 대동사 개칭과 일제 부역
9. 해방 이후
10. 맺음말
마무리하며: 형평운동 탐구 과정 되돌아보기
1. 형평운동과의 만남
2. 차별 없는 사회, 인권의 지역화로
3. 형평운동 연구 확장: 일본 사회와의 비교 연구
4. 진주학을 강조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