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아라카키 쓰요시
오키나와현 나하시 출신. 류큐대학 졸업 후 호세이대학(法政大学)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류큐신보(琉球新報) 논설위원, 정치부장. 2015년 오키나와의 자기결정권을 묻는 일련의 보도로 제15회 ‘이시바시 단잔(石橋湛山) 기념 와세다 저널리즘 대상을 수상.
Ⅰ. ‘오키나와인’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1. 현재의 ‘우치난추’ 의식
2. 왜 복귀 논의가 중요한가?
3. 차별과 배제의 메커니즘
4. 전전戰前의 ‘일본인’과 ‘오키나와인’
5. 아이덴티티의 자각
6. ‘국민’의 창출
7. ‘위기’와 ‘결락’의 고통
Ⅱ. 조국 복귀 개념의 변천
1. 전후 오키나와 역사에서의 ‘복귀’와 ‘오키나와인’
2. 왜 ‘복귀’인가
【칼럼 】 천황 메시지/미국에 자유 사용 촉구 71
3. ‘민족주의적 복귀’론
【칼럼 】 파탄한 평화 조약 3조/국제법상 근거 상실/일본의 ‘동의’로 통치 계속
4. ‘헌법 복귀’론
【칼럼 】 미군 사건의 재판/내용, 판결을 공개하지 않음/오키나와의 체포·재판권 부족
5. ‘반전 복귀’론
6. 높아지는 요구-본 장의 요약
【칼럼 】 야라屋良 건의서/현민 본위의 시책 제기/국회는 ‘오키나와의 호소’ 무시
【칼럼 】 미일의 오키나와 통치 방침/기지 ‘자유 사용’으로 일관
Ⅲ. 1970년 전후의 복귀론과 반복귀론의 분석
1. 새로운 ‘오키나와인’의 탄생
2. 복귀론의 구조
① 고발 속의 ‘오키나와인’
② ‘조국 복귀’와 ‘오키나와인’의 의미
③ ‘자립’에 대한 제기
3. 반복귀론의 구조
① 고발 속의 ‘오키나와인’
② ‘조국 복귀’와 ‘오키나와인’의 의미
③ 자립(自立)에 대한 문제제기
4. 복귀론과 반복귀론의 공통점
Ⅳ. 그 이후의 ‘오키나와인’
1. ‘복귀’에서 ‘자립’으로
【칼럼 】 수많은 밀약 밝혀지다/요구는 뒤로 한 ‘국익’ 우선
2. 활성화다양화되는 자립론
3. 재판으로 본 ‘오키나와의 주장’
① 오타 지사의 주장
② 오나가 지사의 주장
Ⅴ. 오키나와의 지금과 미래
1. ‘일본 국민’이 된다는 것
2. ‘오키나와인’의 주체 형성을 둘러싸고
3. 물리적 폭력과 부조리
4. ‘우치난추’란 누구인가
5. 오키나와의 자기결정권과 탈식민주의
6. 복귀 45년, 현재의 오키나와
전후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 관련 연표
참고문헌
후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