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생태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농가 방문 경험과 도시에서 일군 텃밭 생활 등을 통해 생태농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어린 시절 뛰어놀던 옛 농촌의 풍경을 전하는 에세이다.
도시에 살고 있지만 자연과 조화롭게 사는 삶을 꿈꾸는 저자는 동네 근처에 버려진 땅에 작은 텃밭을 꾸리고 그곳에서 자연퇴비를 이용해 작물을 키운다. 이를 통해 흙냄새와 풀 냄새가 주는 건강한 기운과 푸른 작물들이 가진 성장의 힘에 감탄하며, 오이와 고추 등 작물을 수확해 이웃들과 나눠 먹는 즐거움을 누린다.
일일농부가 되어 경험한 생태농업은 인간도 자연의 일부임을 알게 하며, 우리가 왜 친환경으로 농사를 짓고 먹어야 하는지 자연스럽게 일깨워준다.
출판사 리뷰
생태농업을 경험하며 자연에서 배우는 순리
『보약과 상약』은 생태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농가 방문 경험과 도시에서 일군 텃밭 생활 등을 통해 생태농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어린 시절 뛰어놀던 옛 농촌의 풍경을 전하는 에세이다.
도시에 살고 있지만 자연과 조화롭게 사는 삶을 꿈꾸는 저자는 동네 근처에 버려진 땅에 작은 텃밭을 꾸리고 그곳에서 자연퇴비를 이용해 작물을 키운다. 이를 통해 흙냄새와 풀 냄새가 주는 건강한 기운과 푸른 작물들이 가진 성장의 힘에 감탄하며, 오이와 고추 등 작물을 수확해 이웃들과 나눠 먹는 즐거움을 누린다.
일일농부가 되어 경험한 생태농업은 인간도 자연의 일부임을 알게 하며, 우리가 왜 친환경으로 농사를 짓고 먹어야 하는지 자연스럽게 일깨워준다.
친환경으로 키운 작물들이 가져온 변화
좁은 닭장에서 평생 알 낳는 기계처럼 살아가는 닭, 풀을 먹지 않고 옥수수 사료를 먹는 소, 항생제를 맞으며 자라는 돼지. 인간의 욕심으로 무분별하게 길러진 가축들이 병들고 있다. 심지어 이런 환경이 인간에게도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친환경 농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저자가 방문한 농가는 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으로 농사를 짓는 곳들이다. 한 예로, 참외를 키우는 귀농 부부는 화학비료 대신 짚, 토양, 미생물, 발효액 비료 등으로 농사를 짓는다고 한다.
농부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친환경으로 농작물을 키우는 게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지 알게 된다. 그러나 그렇게 키운 작물들은 토양을 튼튼하게 하며, 이는 결국 인간과 자연을 더 풍요롭게 해준다는 것을 책을 통해 다시금 깨닫게 된다.
추억 속에 남아 있는 푸근한 농촌 풍경
저자는 어린 시절, 밀사리를 하며 놀았던 기억을 회상한다. 밀사리는 과거 먹을거리가 풍부하지 않던 시절 농촌에서 해 먹던 풍습으로, 밀 수확 전 여름에 설익은 밀을 모닥불에 구워 먹는 것을 말한다. 당시 밀은 여름내 사람들의 굶주린 배를 채워주었다. 강낭콩 드문드문 놓인 밀기울 빵은 간식이었고 감자를 큼직하게 썰어 넣은 수제비는 주식이었다.
저자는 무엇보다 농사를 마친 늦은 저녁 밤하늘의 별빛 달빛 세례를 받으며 사람들과 멍석에 둘러앉아 먹던 그 맛은 지금까지의 어떤 음식도 대신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추억의 놀이가 된 밀사리는 최근 농촌이나 도시에서도 경험할 수 있다. 저자는 이렇듯 이제는 사라진 추억의 놀이를 다시금 체험할 수 있다는 반가운 소식과 함께 밀사리 이외 매실로 구슬치기, 과수원 서리 등 유년 시절 경험한 농촌 풍경을 전한다. 그곳의 풍경은 푸근하고 따뜻하다.
그런데 내가 만난 사람들은 새로운 모습의 농부였다. 산성화된 땅을 산천초목 퇴비로 개발해 곤충이 돌아오는 옥토로 만들어 놓았다. 볏짚 하나하나 거름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도 이곳에 와보고야 알았다. 볏짚이 썩으면 토착미생물로 번식하고, 그 미생물은 논을 갈아주어 다음 해 우렁이와 함께 병충해를 물리치는 데 큰 효과를 거두게 되는 것이다.
그뿐인가. 어느 날 도저히 피해 갈 수 없는 삶의 고비에 섰을 때 연약한 풀 이파리가 가져다주는 위로는 여간 대견스럽지 않다. 천둥 번개와 비바람이 몰아치는 악천후 속에서, 건강한 뿌리를 지켜내는 의지와 쓰러져 다시 일어서는 강한 생명력이 인간의 힘을 능가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내 식탁에 빠르게 봄이 왔음을 알리는 것도 미나리이다. 그 향과 맛은 겨우내 묻어 있던 칙칙한 공기를 몰아내는 데 한몫한다. 초고추장과 어우러진 맛은 영락없는 밥도둑이다. 그득했던 소쿠리가 도깨비가 훔쳐 간 듯 금방 바닥을 드러낸다. 어느새 내 가슴에 미나리를 가득 심은 기분이 든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소희
1991년 (문예사조) 수필 등단 부산문인협회 회원수상경력: 농촌문학상, 백교문학상 외 공모전 다수 수상수필집: 『보약과 상약』, 『봉하네 텃밭』
목차
생태수필집을 내면서
1부
유채꽃을 타고
제비 한 마리
내가 일군 텃밭
꼬마 농군들
도시농업
쑥국새
딸기와 아이들
비나리 마을
청정논의 인증주자
김장 수다
2부
친구와 돌나물
원두막
잡초
모내기
어느 노부부
석두산 가족
매실과 초록구슬
너와집의 화전민들
동박골 풍경
3부
반시
단걸참외
도심을 울린 방울 소리
산길 유감
들판의 보초병
운동이란 의미는!
근채삼덕芹菜三德
어느 들녘의 농부
청개구리
독초의 변신
4부
한번 놀러 오지 않을래?
보약補藥과 상약上藥
다대기
김밥과 선생님
칠월이 기다려지는 이유
감자 1
감자 2
감자 3
모동포도의 신화
추억의 밀사리